본 연구의 목적은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경험한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탐색하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22376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1-342(32쪽)
2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의 목적은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경험한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탐색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경험한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통합학급 교사 6명이었으며, 15주 동안 협력교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 교사교육에 지원한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은 협력교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나, 협력교수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협력교수가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전제조건이라는 점에 동의하고 있었다. 둘째, 협력교수 교사교육에 참여한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은 협력교수 수행을 시도함으로써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끌려는 의지를 보였다.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은 통합학급 교사로서의 교육철학과 신념, 역할과 책임, 전문성 발달과 향상, 협력과 소통 등으로 세분화 되어 나타났으며, 각각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의 협력교수 수행은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따라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점과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실천은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의 협력적 체계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of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co-teaching performance in a teacher support program for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A teacher support program for collaborative inclusive ed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of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co-teaching performance in a teacher support program for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A teacher support program for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developed by Yang jin-hee(2008) was us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collaboration of the team of 6 co-teachers including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period of 15 weeks.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of co-teachers related to the changes in co-teaching performance.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classified and arranged by the purpose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rist, the philosophy and belief on co-teaching performance of co-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 was changed to mutual confidence and trust between the co-teachers. The co-teachers shared communication techniques on overall aspects about co-teaching.
Second, the thought on role and the responsibility of co-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 was changed to the designation of the rol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imit of responsibility. The co-teachers shared the method of trouble-shooting on overall aspects about co-teaching.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t supporting systems that are responsive to the requests of instructors while co-teaching with co-teach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정한,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웹기반 협력교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2 박영배, "협력교수에 의한 통합교육 운영" 20 : 94-102, 1999
3 최성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실태와 인식 및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151-172, 2006
4 방명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간 협력에 대한 인식비교" 36 (36): 65-82, 2001
5 박은혜, "통합교육의 한 방법론으로서의 협력교수" 7 : 47-66, 2000
6 한옥란, "통합교육의 촉진을 위한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협력 정도와 개선 방안"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7 이소현,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일반교사간 협력 모형: 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7 : 67-87, 2000
8 최승숙,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협력교수 실제"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269-292, 2004
9 김현숙, "통합교육을 시행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0 김소영,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가 협력관계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 우정한,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웹기반 협력교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2 박영배, "협력교수에 의한 통합교육 운영" 20 : 94-102, 1999
3 최성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실태와 인식 및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151-172, 2006
4 방명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간 협력에 대한 인식비교" 36 (36): 65-82, 2001
5 박은혜, "통합교육의 한 방법론으로서의 협력교수" 7 : 47-66, 2000
6 한옥란, "통합교육의 촉진을 위한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협력 정도와 개선 방안"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7 이소현,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일반교사간 협력 모형: 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7 : 67-87, 2000
8 최승숙,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협력교수 실제"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269-292, 2004
9 김현숙, "통합교육을 시행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0 김소영,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가 협력관계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1 김수진, "통합 유아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사 연수프로그램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2 노지영, "통합 유아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사 연수프로그램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3 서 석,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실태 개선 방안"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14 유장순, "초등학교 통합하급에서 협력교수 실행에 관한 협력교사들의 인식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99-123, 2006
15 김미옥,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4) : 99-126, 2002
16 윤미경, "장애유아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간 협력관계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4
17 박소영, "장애유아를 위한 협력교수의 수행요소와 전제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73-201, 2007
18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유치원 교육과정:사회적 통합 촉진을 위한 활동-중심의 교육과정" 학지사 2002
19 박현옥,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특수교사-일반교사간 협력" 31 (31): 37-52, 2000
20 유수옥,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천의 방애요인에 관한 연구" 22 (22): 111-132, 2002
21 남춘단,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경험한 유치원 교사들의 내러티브 탐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2 이현숙, "장애유아 통합교육에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역할과 협력교수에 대한 인식 및 실태분석" 6 : 49-74, 2004
23 김현정, "장애유아 통합교육 일반유아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24 유은연, "장애유아 통합관련 교사교육이 일반유아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5 권주석, "일반교육교사와 특수교육교사의 협력교수를 통한 통합교육 실천방안" 12 : 34-54, 2002
26 양진희, "유치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에 관한 의미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49-175, 2005
27 양진희, "유치원에서 장애유아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한국아동학회 26 (26): 209-230, 2005
28 이윤미, "유아통합학급의 협력교수 운영 실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29 정혜련, "유아교육기관의 팀티칭 운영실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0 문정희, "유아교육기관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으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공립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1 백경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특수유아 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93-214, 2005
32 우이구, "웹기반 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33 유수옥,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탐색연구" 18 (18): 169-190, 1998
34 양진희,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171-201, 2008
35 Spradley, J. P,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 방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8
36 유혜령, "교재․교구 경험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 113-135, 1998
37 김영옥, "공동교수 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38 Thousand, J, S, "The many faces of collaborative planning and teaching" 45 (45): 239-248, 2006
39 Snell, M, E, "Teacher's guide to inclusive practices: Collaborative teaming" Paul H. Brookes 2005
40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 1985
41 Bauwens, J, "Making co-teaching a mainstreaming strategy" 35 (35): 19-24, 1991
42 Kmanes, M. W, "Learning about co-teaching: A collaborative student teaching experience for preservice teachers" 30 (30): 155-166, 2007
43 Richey, D. D,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lmar Publishers 2000
44 Stang, K. K, "Effects of modeling collaborative teaching for pre-service teachers" 31 (31): 182-194, 2008
45 Weiss, M, P, "Congruence between roles and actions of secondary special educators in co-taught and special education settings" 36 (36): 58-68, 2002
46 Shank, M. J, "Common space, common time, common work" 62 (62): 16-, 2005
47 Nevin, A. I, "Collaborative teaching for teacher educators - What does the research say" 25 (25): 569-574, 2009
48 Monda-Amaya, L, "Collaboration with other professionals for inclusive education" 33 : 28-41, 1999
49 Diez, M. E, "Collaboration for teacher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dvanced master's programs" 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Washington. DC 2002
50 Cook, L, "Co-teaching: guidelines for creating effective practices" 28 (28): 1-16, 1995
51 Cook, L, "Co-teaching: Principles, practices and pragmatics" 2004
52 Marti, O'Dell, "A case study of inclusion: Its time to get mad" Oregon State University Doctor of Philosophy 2002
53 Sandall, S, "A building blocks model for effective instruction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settings" 4 (4): 3-9, 2001
54 전은희, "2003 통합학급 운영 실태조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11 (11): 73-82, 2004
유아의 수학적 태도 및 능력 수준에 따른 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과정에서의 차이
유치원 생활에서 나타난 남성 한부모 가정 네 유아의 삶의 모습
유치원 지도서의 활동목표와 활동방법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7-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2.35 | 2.35 | 2.39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2.52 | 2.45 | 2.634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