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절과 이동의 변증법과 금문 지역경제의 변화 = Fixity-Mobility Dialectics and Economic Changes of Kin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945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historical changes of Kinmen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alectics between fixity and mobility with special focus on the development of Kaoliang liquor-related economies in Kinmen. Traditionally, Kinmen had been 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historical changes of Kinmen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alectics between fixity and mobility with special focus on the development of Kaoliang liquor-related economies in Kinmen.
      Traditionally, Kinmen had been deeply connected to the economies of flow, which have been established in southern China and southeast Asia on the basis of formal and informal networks of overseas Chinese migrants. Since 1949, however, Kinmen had suffered from economic hardship because it had been disconnected from the economies of flow due to the geo-political tensions between China and Taiwan. Kinmen Kaoliang liquor was born on the basis of local efforts to overcome the economic hardship when Kinmen was isolated and not fully incorporated to the national economy of Taiwan in the late 1950s. Kinmen Kaoliang liquor became nationally famous in Taiwan as the Taiwanese soldiers, who served in Kinmen, returned to their home with bottles of Kinmen Kaoliang after their military service. With the nationalization of Kinmen Kaoliang liquor, the Kinmen economy became fully incorporated into the Taiwanese national economy. As the China-Taiwan relationship has been greatly improved since the 1990s, the economies of flow have been revitalized in Kinmen. The revitalization of the economies of flow would provide new windows of opportunites to Kinmen, but at the same time, it can provide new challenges as the tensions between the economies of flow and the particular placeness and territoriality of Kinmen have been growing in recent yea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금문고량주를 소재로 ‘단절과 이동의 변증법’이라는 관점에서 대만 금문도의 지역경제를 살펴보려는 시도 중 하나이다. 금문은 전통적으로 남중국과 동남아에 걸쳐 형성된 흐...

      이 논문은 금문고량주를 소재로 ‘단절과 이동의 변증법’이라는 관점에서 대만 금문도의 지역경제를 살펴보려는 시도 중 하나이다. 금문은 전통적으로 남중국과 동남아에 걸쳐 형성된 흐름의 경제에 편입되어 있었으나, 1949년 이후로 이 흐름에서 단절되어 경제적으로 고립되는 어려움을 맛보았다. 중국의 복건성과는 단절되었으나, 대만본섬과는 아직 경제적으로 연결되지 않았던 시기에 고립경제의 어려움을 돌파하기 위한 모색 속에서 탄생한 것이 금문고량주였다. 1950년대 후반부터 금문도에 복무하러 온 대만본섬 출신 군인들이 기념품으로 금문 고량주를 대만본섬으로 갖고 나가면서 이것이 유명해졌다. 이때부터 고립경제의 상징이었던 금문고량주는 대만 본섬과 금문 사이의 새로운 이동의 상징이 되었다. 계엄해제와 소삼통(小三通) 이후 금문의 경제는 다시 흐름의 경제에 접속하게 되었다. 현재 흐름의 경제는 금문의 지역사회와 경제에 새로운 기회의 창을 제공해주지만, 동시에 금문 사회에 형성된 독특한 장소성, 영역성과의 충돌과 갈등도 심해지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 2. 이론적 논의: 단절과 이동의 변증법 및 중충적 스케일의 동시성
      • 3. 전사(前史): 금문과 전통적인 흐름의 경제
      • 4. 흐름의 단절과 고립의 경제: 금문고량 주의 탄생
      • 5. 금문경제의 국가화(nationalization):대만경제로의 편입
      • 1. 서 론
      • 2. 이론적 논의: 단절과 이동의 변증법 및 중충적 스케일의 동시성
      • 3. 전사(前史): 금문과 전통적인 흐름의 경제
      • 4. 흐름의 단절과 고립의 경제: 금문고량 주의 탄생
      • 5. 금문경제의 국가화(nationalization):대만경제로의 편입
      • 6. 탈냉전과 부활하는 양방향 흐름의 경제
      • 7. 결론을 대신하여: 金廈대교 건설 논쟁과 금문의 미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