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행정학은 물론 사회과학분야의 전반에 걸쳐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바로 '거버넌스' 연구이다. 국내에서 발간되는 문헌 중에는 거버넌스를 협치(協治), 공치(共治), 국정관리(國...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5491651
오승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006
Korean
거버넌스 ; 신공공관리론 ; 국가중심적 거버넌스 ; 사회중심적 거버넌스 ; 메타 거버넌스
350
학술저널
47-75(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최근 행정학은 물론 사회과학분야의 전반에 걸쳐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바로 '거버넌스' 연구이다. 국내에서 발간되는 문헌 중에는 거버넌스를 협치(協治), 공치(共治), 국정관리(國...
최근 행정학은 물론 사회과학분야의 전반에 걸쳐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바로 '거버넌스' 연구이다. 국내에서 발간되는 문헌 중에는 거버넌스를 협치(協治), 공치(共治), 국정관리(國政管理), 국가경영(國家經營) 등의 용어로 번역하는 경우가 있으나, 그것이 원래 의미하고 있는 바를 정확히 전달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원어 그대로 '거버넌스'로 쓰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거버넌스는 국가를 둘러싼 행정환경의 변화와 함께, 사회의 공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모색된 국정운영방식을 일컫는 말로, 최근 들어 실로 방대한 문헌들에서 이 '거버넌스'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그러나 이들 문헌을 살펴보면 거버넌스는 아직도 충분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여 개념적 혼란을 거듭하고 있으며, 아직 이론으로서의 필요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버넌스는 오늘날 사회과학의 전 영역에서 매우 각광받고 있는 분석틀이며, 이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장에서는 거버넌스란 무엇인가와 그 등장배경, 그리고 거버넌스에의 접근 방법들과 한계점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와 교육불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