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교육사 연구에서 문화인류학적 지평 도입의 의의 =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in the Study of History of Korean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0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in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It was commenced to find out the solutions, since the field of history of education has been in the crisis situation that the subject ‘History of Education’ was excluded from the required courses of teachers colleges recentl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to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we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ulture of our times by means of a synchronic method. And on the basis of this, we can identify the similar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ulture through a diachronic method in the traditional societies. After all, we are to know that the traits of educational culture of now and then are almost same. And then we will understand our present education well and we can improve the conditions of our education.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 ‘History of Education’ will be appreciated.
      번역하기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in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It was commenced to find out the solutions, since the field of history of education has been in the crisis situation that th...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in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It was commenced to find out the solutions, since the field of history of education has been in the crisis situation that the subject ‘History of Education’ was excluded from the required courses of teachers colleges recentl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to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we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ulture of our times by means of a synchronic method. And on the basis of this, we can identify the similar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ulture through a diachronic method in the traditional societies. After all, we are to know that the traits of educational culture of now and then are almost same. And then we will understand our present education well and we can improve the conditions of our education.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 ‘History of Education’ will be apprecia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억, "현대 영․불 사회인류학의 역사인식" 한국문화인류학회 16 : 1984

      2 Roger Keesing, "현대 문화인류학" 현음사 1992

      3 나산 한상복교수 정년기념논총간행위원회, "한국문화인류학의 이론과 실천" 도서출판 소화 2000

      4 이광규, "한국문화의 역사인류학" 집문당 1998

      5 이원재, "한국교육사연구에서의 신문화사의 의의" 한국교육사학회 27 (27): 75-98, 2005

      6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사학회, "한국교육사 연구의 새 방향: 교육사학의 본질과 방법" 집문당 1982

      7 이동훈, "한국 군대문화 연구" 한국사회학회 29 : 1995

      8 조좌호, "학제와 과거제" 국사편찬위원회 10 : 1974

      9 "태종실록"

      10 "중종실록"

      1 김광억, "현대 영․불 사회인류학의 역사인식" 한국문화인류학회 16 : 1984

      2 Roger Keesing, "현대 문화인류학" 현음사 1992

      3 나산 한상복교수 정년기념논총간행위원회, "한국문화인류학의 이론과 실천" 도서출판 소화 2000

      4 이광규, "한국문화의 역사인류학" 집문당 1998

      5 이원재, "한국교육사연구에서의 신문화사의 의의" 한국교육사학회 27 (27): 75-98, 2005

      6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사학회, "한국교육사 연구의 새 방향: 교육사학의 본질과 방법" 집문당 1982

      7 이동훈, "한국 군대문화 연구" 한국사회학회 29 : 1995

      8 조좌호, "학제와 과거제" 국사편찬위원회 10 : 1974

      9 "태종실록"

      10 "중종실록"

      11 "인종실록"

      12 Richard van Dülmen, "역사인류학이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01

      13 이문웅, "신라친족 연구에서 혼인체계와 출계의 문제" 한국문화인류학회 17 : 1985

      14 "성종실록"

      15 "선조실록"

      16 정승모, "민속과 사회" 국사편찬위원회 29 : 1999

      17 장용수, "미국 역사인류학의 추이와 동향 -미국 인류학의 역사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35) : 43-73, 2011

      18 이광규, "문화인류학개론" 일조각 1985

      19 한상복, "문화인류학개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85

      20 김순현, "군사문화" 병학사 1990

      21 이종각, "교육인류학의 탐색" 도서출판 하우 1997

      22 김영찬, "교육인류학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화인류학회 11 : 19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Of Histor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7 1.215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