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유산의 불법유출 방지와 보호규범에 대한 비판적 고찰 = the Prevention of the Stolen or Illegally Exported Cultural Heritage and the Law on the Protection of Culture Herit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507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이를 현존하는 현상대로 관리 및 유지하여 다음 세대에 전승하는 것이 관건이지만 이에 더하여 과거의 역사에서 불법하게 유출된 것을 회복하고 현재에 있어...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이를 현존하는 현상대로 관리 및 유지하여 다음 세대에 전승하는 것이 관건이지만 이에 더하여 과거의 역사에서 불법하게 유출된 것을 회복하고 현재에 있어서는 불법유출이 우려되는 위험상황에 적절히 대응하는 문제 역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절취와 손괴, 도굴 등 선행되는 문화유산범죄와 이에 따른 불법유출에 대처하는 형벌규범의 내용은 다양한 범죄행위의 유형을 분석하고 구성요건을 체계적으로 정비해야 한다. 따라서 일률적인 엄형주의의 선언만으로는 의도하는 범죄방지와 예방의 효과를 거둘 수 없다. 그러므로 불법 유출되는 문화유산을 규범적 측면에서 보호하기 위한 형사정책의 설계에 있어서는 관련 범죄의 행위객체를 재검토하고, 불법유출에 대한 실증적 조사와 유출경로를 정확히 파악하는 한편, 국내 소장 외국 문화유산에 대한 원 소유국가 반환의 문제, 관련 국제규범의 가입과 이에 수반되는 국내규범의 정비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문화유산의 경우 화폐가치로 쉽게 환산할 수 있는 특성상 절취와 손괴, 도굴 등 관련범죄가 밀반출행위를 위한 사전행위로 일어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밀반출에 의한 유출행위는 그 반환과 회복을 어렵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점에서 다른 재산범죄보다 심각성이 더욱 부각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관련 규범은 엄형 예고에만 그치고 있고 구체적인 범죄구성요건이나 법정형의 산정 등에 있어서 입법적 불비와 흠결을 보인다. 따라서 비교법적 관점에서 여러 나라들의 관련 규정을 분석하여 실질적인 범죄대응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문화유산범죄에 대한 형벌규범의 내용을 비판적 시각으로 검토하고, 다른 나라와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에 대한 밀반출금지규범을 비교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ality of society’s approaching to multi-cultural, addicting to nationalistic single-culture system cannot be accepted any more agreeably,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 basis of identity has to be changed or disappeared. So, what we want pursue ...

      In reality of society’s approaching to multi-cultural, addicting to nationalistic single-culture system cannot be accepted any more agreeably,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 basis of identity has to be changed or disappeared. So, what we want pursue is laid in developments of incumbent society and nation’s permanency, and this has been inherited from the past, and has to be connected to the future by intermediating now through crystallization called cultural heritages. Cultural heritages do not mean tangible and intangible objects that have excellent creative values by cultural activities, especially designated as protected things from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 simply, it contains the rise and fall of specific countries and nations together with their immaterial, mental identity symbolically.
      Based on these reasons, activities of trying to get back cultural heritages having been drained away to abroad are being promoted from government-wide dimensions. However, various difficulties are scattered actually, and the necessity of having to solve these pre-conditional barriers first is coming to the front intensely. That is, concepts on cultural heritages charged with properties have to be changed into value-centered ones, and returned cases of foreign countries shall be reviewed closely together with grasping drained cultural heritage’s status empirically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our country has to do early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norm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protections having been delayed till now, and confirm on whether there are not cultural heritages of foreign countries that have to be returned based on principles of reciprocity in international laws, and hasten restorations to its original countries without any conditions if such objects are existed.
      Besides, right recognitions on cultural heritages are required to be enlightened so as to correct fetishistic public sentiment in which cultural heritages are regarded as converting means to monetary values, and social environments that instigate it have to be improved too. In relation with this point, current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 is foretelling such like damaging or removing cultural heritages to abroad illegally will be dealt with strict punishments. However, it brought limitations on sentencing processes to practitioners as penalty norms for bluffs literally, and became a punishment of not making general prevention to the society or special ones to criminals. Therefore, the law has to be revised toward reasonable directions so that recognitions of being certainly punished without exceptions could be implanted from relevant penalty regul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의 제기
      • Ⅱ. 문화유산범죄에 대한 형벌규범의 내용
      • Ⅲ. 문화유산 밀반출금지규범의 비교법적 분석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문제의 제기
      • Ⅱ. 문화유산범죄에 대한 형벌규범의 내용
      • Ⅲ. 문화유산 밀반출금지규범의 비교법적 분석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경옥, "형법상 재산상 이익의 개념과 ‘이익을 얻을 가능성’의 범위"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2 (12): 75-92, 2010

      2 문병철, "해외 소재 우리 문화재의 환수 및 활용에 관한 법률안 검토보고서"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2008

      3 김성룡, "절도죄의 재물과 제3자 영득에 관한 해석론의 문제점"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2 (12): 129-150, 2010

      4 이경열, "재산범죄와 불법령득의 의사" 법조협회 53 (53): 51-80, 2004

      5 권오걸, "장물의 성립요건과 범위 - 컴퓨터등사용사기죄와 배임죄를 중심으로" 한국비교형사법학회 8 (8): 403-430, 2006

      6 이규창, "북한 문화재보호법제에 관한 연구" 법제처 2010

      7 이동기, "문화재환수협약의 성립경위와 현황 - 유네스코 협약과의 관계를 포함하여 -" 법학연구소 22 (22): 109-157, 2009

      8 김두진, "문화재보호법제 개선방안" 법제처․한국법제연구원 2002

      9 손진상, "문화재보호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안암법학회 23 : 2006

      10 신의기, "문화재범죄의 효율적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1

      1 안경옥, "형법상 재산상 이익의 개념과 ‘이익을 얻을 가능성’의 범위"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2 (12): 75-92, 2010

      2 문병철, "해외 소재 우리 문화재의 환수 및 활용에 관한 법률안 검토보고서"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2008

      3 김성룡, "절도죄의 재물과 제3자 영득에 관한 해석론의 문제점"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2 (12): 129-150, 2010

      4 이경열, "재산범죄와 불법령득의 의사" 법조협회 53 (53): 51-80, 2004

      5 권오걸, "장물의 성립요건과 범위 - 컴퓨터등사용사기죄와 배임죄를 중심으로" 한국비교형사법학회 8 (8): 403-430, 2006

      6 이규창, "북한 문화재보호법제에 관한 연구" 법제처 2010

      7 이동기, "문화재환수협약의 성립경위와 현황 - 유네스코 협약과의 관계를 포함하여 -" 법학연구소 22 (22): 109-157, 2009

      8 김두진, "문화재보호법제 개선방안" 법제처․한국법제연구원 2002

      9 손진상, "문화재보호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안암법학회 23 : 2006

      10 신의기, "문화재범죄의 효율적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1

      11 박기석, "문화재범죄의 실태와 대책" 한국형사정책학회 16 (16): 37-60, 2004

      12 최철호, "문화재 보호와 손실보상" 한국비교공법학회 12 (12): 381-408, 2011

      13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문화재 관련 법안에 대한 공청회 자료집" 2009

      14 서헌제, "도난․불법반출 문화재에 관한 법리적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7

      15 高升, "国际法视野下中国追索非法流失文物的策略研究" 11 (11): 2008

      16 中山研一, "カンボジアの新刑法典草案(二․完): 二〇〇〇年フランス․プロジェクト" 高岡大学 14 (14): 2003

      17 James Cuno, "Who Owns Antiquity? : Museums and the Battle Over Our Ancient Herit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18 Jeanette Greenfield, "The return of cultural treas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9 Ivan Karp, "Museum frictions : public cultures/global transformations" Duke University Press 2006

      20 Peter Hopkirk, "Foreign Devils on the Silk Road" John Murray 2011

      21 J. Jokilehto, "Definition of cultural heritage references to documents in history, In Heritage and Society" 2005

      22 Lyndel V. Protta, "Cultural Heritage’ or ‘Cultural Property’?" International Cultural Property Society 1 (1): 1992

      23 Barbara T. Hoffman, "Art and cultural heritage: law, policy, and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4 "2010년도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요구자료(최종)" 문화재청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w Dong-A University -> 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Dong-A University KCI등재
      2020-04-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ONG-A LAW REVIEW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7 0.84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