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안전관리 인식수준과 안전사고 대응태도가 노인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 조절된 매개효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and Safety Accident Response Attitude of the Care Givers at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on the Care Giving Attitude for the Elderly: Focused 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33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요양서비스가 필요한 노인은 노인요양시설에서 편안하고 안전한 삶을 누릴 권리가 있고, 노인요양시설에서는 이용자의 생명·건강 등의 안전을 당연히 확보해야 할 의무가 있다. 안전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기 때문에 서비스 질 관리의 중요성과 함께 리스크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노인요양시설의 안전관리의 질은 요양서비스와 직결된다고 하여도 지나치지 않으며, 노인요양서비스에서 안전관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본 연구는 안전관리 인식수준은 안전과 관련된 전체적인 체계(시스템)에 대한 것이고, 안전사고 대응태도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대응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줄이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으로서 안전관리 인식수준과 안전사고 대응태도가 요양보호사의 노인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된 매개효과로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을 조사하여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C시의 노인요양시설 107개소의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조사는 총 321부를 배부하여 26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단순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순서대로 분석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안전관리 인식수준은 안전사고 대응태도와 노인돌봄태도에 대해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냈으며, 직무만족도는 안전관리 인식수준이 안전사고 대응태도에 미치는 정적 효과를 촉진되었으며, 노인돌봄태도에 미치는 효과가 직무만족도의 수준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실천적 제언으로 첫째, 환경과 체계의 문제로 안전관리 인식수준이 중요하다. 인식수준 향상을 위한 질적 및 양적인 안전관리의 환경개선, 관리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노력, 사고가 발생하면 대응하기 위한 보고체계와 위원회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둘째, 안전사고 대응태도의 문제로 교육이 중요하다. 안전사고의 대응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을 통하여 노인요양시설 내에 안전이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의 문제이다.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을 위한 업무환경 개선 및 정서직지지, 소통, 상사의 관계, 보상 등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요양서비스가 필요한 노인은 노인요양시설에서 편안하고 안전한 삶을 누릴 권리가 있고, 노인요양시설에서는 이용자의 생명·건강 등의 안전을 당연히 확보해야 할 의무가 있다. 안전은 인...

      요양서비스가 필요한 노인은 노인요양시설에서 편안하고 안전한 삶을 누릴 권리가 있고, 노인요양시설에서는 이용자의 생명·건강 등의 안전을 당연히 확보해야 할 의무가 있다. 안전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기 때문에 서비스 질 관리의 중요성과 함께 리스크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노인요양시설의 안전관리의 질은 요양서비스와 직결된다고 하여도 지나치지 않으며, 노인요양서비스에서 안전관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본 연구는 안전관리 인식수준은 안전과 관련된 전체적인 체계(시스템)에 대한 것이고, 안전사고 대응태도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대응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줄이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으로서 안전관리 인식수준과 안전사고 대응태도가 요양보호사의 노인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된 매개효과로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을 조사하여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C시의 노인요양시설 107개소의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조사는 총 321부를 배부하여 26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단순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순서대로 분석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안전관리 인식수준은 안전사고 대응태도와 노인돌봄태도에 대해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냈으며, 직무만족도는 안전관리 인식수준이 안전사고 대응태도에 미치는 정적 효과를 촉진되었으며, 노인돌봄태도에 미치는 효과가 직무만족도의 수준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실천적 제언으로 첫째, 환경과 체계의 문제로 안전관리 인식수준이 중요하다. 인식수준 향상을 위한 질적 및 양적인 안전관리의 환경개선, 관리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노력, 사고가 발생하면 대응하기 위한 보고체계와 위원회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둘째, 안전사고 대응태도의 문제로 교육이 중요하다. 안전사고의 대응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을 통하여 노인요양시설 내에 안전이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의 문제이다.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을 위한 업무환경 개선 및 정서직지지, 소통, 상사의 관계, 보상 등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lderly in need of care service have the right to enjoy a comfortable and safe life at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and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naturally has the obligation to ensure the safety of the users’ life and health. Since safety is a fundamental human desire,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control of service, interest in risk management has increased. It would not be enough to stress that the quality of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s safety management is directly related to the care service, and the interest in safety management in th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has increasingly grown. In this study,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concerns the entire system related to safety, and the safety accident response attitude concerns the response in the event of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how to reduce safety accidents which might occur at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and also to seek practical alternatives for preventing them in advance by surveying the job satisfaction as an Moderated Mediationeffect for the effect on the caring attitude for the elderly of the care giver in the context of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and safety accident response attitude. Data were collected from care givers at 107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in the city of C, and a total of 321 copies of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69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performed analysis in the sequence of the simple mediated effect, adjusted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oneffect, and the results of major studie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caring attitude for the elderly along with the safety accident response attitude, while the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facilitated a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accident response attitude, and the effect on the caring attitude for the elderly varied as p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s for the practical recommendations, first,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is important as an issue of environment and system. Needed are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safety management, efforts for safety management of the administrator, reporting system for response in the event of incidents, and systematization of committee. Second, education is important as it is a matter of the response attitude for safety accidents. To improve the response attitude for safety accidents, efforts must be made to ensure safety within the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via education and training. Third, it is a matter of job satisfaction of the care giver. For the care givers’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emotional support, communication, relationship with superior officers, and compensation, etc., are required.
      번역하기

      The elderly in need of care service have the right to enjoy a comfortable and safe life at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and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naturally has the obligation to ensure the safety of the users’ life and health. Since ...

      The elderly in need of care service have the right to enjoy a comfortable and safe life at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and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naturally has the obligation to ensure the safety of the users’ life and health. Since safety is a fundamental human desire,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control of service, interest in risk management has increased. It would not be enough to stress that the quality of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s safety management is directly related to the care service, and the interest in safety management in th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has increasingly grown. In this study,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concerns the entire system related to safety, and the safety accident response attitude concerns the response in the event of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how to reduce safety accidents which might occur at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and also to seek practical alternatives for preventing them in advance by surveying the job satisfaction as an Moderated Mediationeffect for the effect on the caring attitude for the elderly of the care giver in the context of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and safety accident response attitude. Data were collected from care givers at 107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in the city of C, and a total of 321 copies of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69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performed analysis in the sequence of the simple mediated effect, adjusted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oneffect, and the results of major studie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caring attitude for the elderly along with the safety accident response attitude, while the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facilitated a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accident response attitude, and the effect on the caring attitude for the elderly varied as p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s for the practical recommendations, first,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perception is important as an issue of environment and system. Needed are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safety management, efforts for safety management of the administrator, reporting system for response in the event of incidents, and systematization of committee. Second, education is important as it is a matter of the response attitude for safety accidents. To improve the response attitude for safety accidents, efforts must be made to ensure safety within the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via education and training. Third, it is a matter of job satisfaction of the care giver. For the care givers’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emotional support, communication, relationship with superior officers, and compensation, etc., are requi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일, "한국 노인요양시설에서 위험관리의 필요성과 위험관리시스템 구축 과제" 94-95, 2011

      2 김미영, "치매노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 김이자, "치매노인생활시설의 케어 리스크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지역 노인생활시설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4 김종재, "조직행위론" 박영사 1991

      5 김승렬, "전략적 위기경영 실천방법" 소프트전략경영연구원 2008

      6 이숙희, "일 간호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노인간호학회 16 (16): 18-26, 2014

      7 정윤모,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3688-3699, 2010

      8 이형렬,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2

      9 정명희,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만족도가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긍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177-201, 2016

      10 김행열,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 조직 몰입 및 이직 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거버넌스학회 17 (17): 205-227, 2010

      1 박경일, "한국 노인요양시설에서 위험관리의 필요성과 위험관리시스템 구축 과제" 94-95, 2011

      2 김미영, "치매노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 김이자, "치매노인생활시설의 케어 리스크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지역 노인생활시설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4 김종재, "조직행위론" 박영사 1991

      5 김승렬, "전략적 위기경영 실천방법" 소프트전략경영연구원 2008

      6 이숙희, "일 간호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노인간호학회 16 (16): 18-26, 2014

      7 정윤모,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3688-3699, 2010

      8 이형렬,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2

      9 정명희,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만족도가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긍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177-201, 2016

      10 김행열,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 조직 몰입 및 이직 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거버넌스학회 17 (17): 205-227, 2010

      11 김성자,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노화불안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2

      12 박영희,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한국노인복지학회 (52) : 349-368, 2011

      13 이혜자,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51) : 125-144, 2011

      14 박경일, "사회복지조직에서 위험관리의 필요성과 대책 및 과제: 미국과 일본의 위험관리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 361-385, 2006

      15 이진열,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서비스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8) : 29-56, 2018

      16 박미은, "사회복지 위험관리의 이해" 집문당 2010

      17 이상곤, "방문요양센터 요양보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이 요양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0) : 9-30, 2015

      18 이형권, "매개분석·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신영사 2015

      19 김순희, "대학병원 간호사의 노인낙상예방 활동과 환자안전문화 인식" 한국생활환경학회 20 (20): 81-87, 2013

      20 박빈희,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문화와 낙상에 대한 태도 및 예방활동" 한국노인간호학회 17 (17): 166-174, 2015

      21 이주재, "노인장기요양 인력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1 (31): 277-290, 2011

      22 황옥화,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관리자의 리더십·직무만족·서비스 질의 관계구조 연구 : 상황적합 이론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3

      23 주찬희, "노인요양시설의 안전사고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 안전문화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2015

      24 최희경, "노인요양시설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가족과 요양보호사의 인식 및 기대 비교 연구" 한국가족학회 22 (22): 1-31, 2010

      25 강정희,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시설여가프로그램의 특성과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1) : 151-178, 2016

      26 윤기혁, "노인요양시설 위험관리시스템 모형구축 및 적용성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2015

      27 박경일, "노인요양시설 위험관리(Risk Management)매뉴얼"

      28 박경일,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갈등과 돌봄태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3) : 149-179, 2014

      29 윤경아, "노인생활시설의 케어리스크 매니지먼트 체계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년학회 26 (26): 505-520, 2006

      30 박양수, "노인복지관 이용자의 리스크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은평구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31 권용신, "경상북도 노인요양시설의 안전사고 실태 및 안전사고매니지먼트 매뉴얼 개발 연구" 경북행복재단 2016

      32 三田寺裕治, "高齢者福祉施設におけるリスクマネジメント-介護 老人福祉施設における介護事故の状況及び関連要因の検討-" 44 : 85-100, 2005

      33 橫瀨和彦, "福祉施設における介護事故の現況と課題-事故低減の可能性をめぐる" 早稲田大學人間科學部 2013

      34 全国社会福祉協議会, "指定介護老人福祉施設の介護事故発生防止等に向けた指針策定" 全国社会福祉施設経営者協議会 2008

      35 厚生労働省, "介護事故発生ゼロをめざす―ケアリスクマネジメントハンドブック"

      36 美阪由紀子, "事故報告書が伝えてくれる介護事故の實態と課題の一考察" 1 : 55-70, 2010

      37 Sanders, G, F,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3 (3): 59-70, 1984

      38 Orem, D. E., "Views of human beings specific to nursing" 10 (10): 26-31, 1997

      39 Hayes, A. F., "The relative trustworthiness of inferential tests of the indirect effect in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Does method really matter?" 24 : 1918-1927, 2013

      40 Hayes, A. F., "The effects of government censorship of war-related news coverage on interest in the censored coverage" 10 : 423-438, 2007

      41 Tuckett, A. G., "The care encounter: Pondering caring, honest communication and control" 11 (11): 77-84, 2005

      42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16 (16): 74-94, 1986

      43 Lookinland. S., "Perpetuation of ageist attitudes among present and future health care personnel : Implication for elder care" 21 : 47-56, 1995

      44 Hope, K. W., "Nurse's attitudes towards older people: A comparison between nurses working in acute medical and acute care of elderly patients settings" 20 : 605-612, 1994

      45 Burns, R., "Interdisciplinary geriatric primary care evaluation andmanagement: Two-year outcomes" 48 : 8-13, 2000

      46 Varkey, P., "Improving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7 (7): 224-229, 2006

      47 Hayes, A. F., "Cautions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regression coefficients and hypothesis tests in linear models with interaction" 6 : 1-11, 2012

      48 Maxwell, A. J., "Attitudes toward the geriatric patient among family practice residents" 28 (28): 341-345, 1980

      49 Preacher, K, J., "Ass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42 : 185-227, 2007

      50 Deery, Day Fildes, "An impact evaluation of a falls prevention program among older people" 32 (32): 427-433, 2000

      51 Erdemir, F., "A Turkish version of Kogan's attitude toward older people(KAOP)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52 : e162-e165,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11-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KCI등재
      2018-05-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of Academy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9 1.62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