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20년대 전반기 김홍일의 항일무장투쟁 = Kim Hong-il, Hi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the 1920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18년 약관의 나이로 식민지 조선을 떠나 해방이 될 때까지 일제에 맞선 무장투쟁에 올곧게 헌신하였던 김홍일의 1920년대 전반기 항일무장투쟁 과정을 밝히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1918년 중국으로 망명한 김홍일이 목적지로 삼은 곳은 당시 중국 각 지역의 군벌들이 경쟁적으로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던 군관학교였다. 그는 처음부터 무장투쟁으로 독립을 이루려는 뜻을 두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그는 귀주육군강무학교를 졸업하고 본격적으로 항일무장투쟁의 길로 나서게 된다. 김홍일은 간도에서 군비단을 이끌고 러시아 연해주로 이동하였으며, 연해주 이만에서는 군비단을 대한의용군으로 재편하여 중대장에 임명되고, 사관학교의 교관으로 활동했다. 이후 1921년 12월에 시작된 원동해방전쟁에서 김홍일은 대한의용군을 이끌고 혁혁한 공적을 세웠다. 그 공적으로 대한의용군은 한인특립보병대대라는 이름으로 하바롭스크 주변 일대를 수비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 김홍일은 이 부대의 부대대장으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한인특립보병대대를 대규모 항일군단으로 조직하려던 김홍일의 꿈은 한인부대 내부의 갈등과 이를 핑계로 한 원동공화국 당국의 약속 불이행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한인특립보병대대는 해체되었고 김홍일은 이를 뒤로 한 채 중국령으로 돌아갔다.
      이상 간도와 연해주에서 김홍일의 활동을 살펴보면 두 가지 사항을 알 수 있다. 첫째, 김홍일의 활동이 줄곧 항일무장투쟁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어쩌면 그가 귀주육군강무학교를 선택한 이후부터는 당연한 일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는 이후까지도 항일무장투쟁의 노선에서 한 번도 눈을 돌린 적이 없다. 둘째, 김홍일은 개별적 전투를 이끌기도 했지만, 그의 궁극적 목표는 항상 대규모 항일군단의 건설에 놓여있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그는 군비단을 이끌고 자유시로 향했으며, 자유시에서의 노력이 실패로 돌아가고 난 뒤에는 연해주에서 항일군단을 조직하고자 하였다. 이는 그의 항일무장투쟁의 노선이 궁극적으로 독립전쟁론으로 이어져 있음을 뜻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1920년대 전반기 김홍일의 항일무장투쟁은 대규모 항일군단을 조직해 일본과 독립전쟁을 벌이고자 하는 희망과 계획 아래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1918년 약관의 나이로 식민지 조선을 떠나 해방이 될 때까지 일제에 맞선 무장투쟁에 올곧게 헌신하였던 김홍일의 1920년대 전반기 항일무장투쟁 과정을 밝히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

      이 글은 1918년 약관의 나이로 식민지 조선을 떠나 해방이 될 때까지 일제에 맞선 무장투쟁에 올곧게 헌신하였던 김홍일의 1920년대 전반기 항일무장투쟁 과정을 밝히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1918년 중국으로 망명한 김홍일이 목적지로 삼은 곳은 당시 중국 각 지역의 군벌들이 경쟁적으로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던 군관학교였다. 그는 처음부터 무장투쟁으로 독립을 이루려는 뜻을 두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그는 귀주육군강무학교를 졸업하고 본격적으로 항일무장투쟁의 길로 나서게 된다. 김홍일은 간도에서 군비단을 이끌고 러시아 연해주로 이동하였으며, 연해주 이만에서는 군비단을 대한의용군으로 재편하여 중대장에 임명되고, 사관학교의 교관으로 활동했다. 이후 1921년 12월에 시작된 원동해방전쟁에서 김홍일은 대한의용군을 이끌고 혁혁한 공적을 세웠다. 그 공적으로 대한의용군은 한인특립보병대대라는 이름으로 하바롭스크 주변 일대를 수비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 김홍일은 이 부대의 부대대장으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한인특립보병대대를 대규모 항일군단으로 조직하려던 김홍일의 꿈은 한인부대 내부의 갈등과 이를 핑계로 한 원동공화국 당국의 약속 불이행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한인특립보병대대는 해체되었고 김홍일은 이를 뒤로 한 채 중국령으로 돌아갔다.
      이상 간도와 연해주에서 김홍일의 활동을 살펴보면 두 가지 사항을 알 수 있다. 첫째, 김홍일의 활동이 줄곧 항일무장투쟁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어쩌면 그가 귀주육군강무학교를 선택한 이후부터는 당연한 일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는 이후까지도 항일무장투쟁의 노선에서 한 번도 눈을 돌린 적이 없다. 둘째, 김홍일은 개별적 전투를 이끌기도 했지만, 그의 궁극적 목표는 항상 대규모 항일군단의 건설에 놓여있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그는 군비단을 이끌고 자유시로 향했으며, 자유시에서의 노력이 실패로 돌아가고 난 뒤에는 연해주에서 항일군단을 조직하고자 하였다. 이는 그의 항일무장투쟁의 노선이 궁극적으로 독립전쟁론으로 이어져 있음을 뜻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1920년대 전반기 김홍일의 항일무장투쟁은 대규모 항일군단을 조직해 일본과 독립전쟁을 벌이고자 하는 희망과 계획 아래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the process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of the eminent patriot, Kim Hong-il, who left colonized Josun at his young age in 1918, dedicated himself for armed struggl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until the day of liberation.
      In 1918, after exiling in China, Kim Hong-il settled down at the military school. At that time, warlords from each region of China were competitively establishing and operating military schools. This suggests that from the very first, he had his mind in achieving liberation by armed struggle. Eventually, he began a journey for armed struggl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fter graduating from the Military school in Guijou. Kim Hong-il led Kunbidan in Kando and moved to Maritime province in Russia. In Iman, Kunbidan was reorganized as Taehanuiyonggun(Korean Voluntary Army). Consequently, he was nominated as a commander of Taehanuiyonggun and worked as an instructor in the military school. During the Liberation War in Far East, which started in December 1921, Kim Hong-il commanded Taehanuiyonggun an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hanks to this contribution, Taehanuiyonggun began in charge of defending the surroundings of Khabarovsk under the name of Korean infantry battalion. Hong-il Kim was appointed to general of this troop and had a dream to organize Korean infantry battalion into large-scale anti-Japanese troop. However, this dream put an end because of internal conflicts in Korean force and failure to keep the promise of the Far Eastern Republic. Thus, Korean infantry battalion was deactivated and Kim Hong-il went back to Chinese territory behind all these incidents.
      Following Hong-il Kim’s activities in Gando and Maritime province reveals two facts. Firstly, his activities were mostly concentrated in militant anti-Japanese movement, which might seem natural since he had chosen the Military school in Guijou. However, he never turned his attention away from the militant anti-Japanese movement even at later times. Secondly, although he had led individual battles, his ultimate aim was to build a large-scale anti-Japanese army. He led Kunbidan to the Jayu-si(city Svabodnii) to achieve this goal, and when his efforts proved futile, he tried to form an anti-Japanese army in Maritime province. This suggests that he intended his militant anti-Japanese movement to lead a war of independen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Kim Hong-il’s militant anti-Japanese movement in early 1920s was carried out under the hope and plan of forming a large anti-Japanese army and starting a war of independence against Japa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the process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of the eminent patriot, Kim Hong-il, who left colonized Josun at his young age in 1918, dedicated himself for armed struggl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unti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the process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of the eminent patriot, Kim Hong-il, who left colonized Josun at his young age in 1918, dedicated himself for armed struggl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until the day of liberation.
      In 1918, after exiling in China, Kim Hong-il settled down at the military school. At that time, warlords from each region of China were competitively establishing and operating military schools. This suggests that from the very first, he had his mind in achieving liberation by armed struggle. Eventually, he began a journey for armed struggl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fter graduating from the Military school in Guijou. Kim Hong-il led Kunbidan in Kando and moved to Maritime province in Russia. In Iman, Kunbidan was reorganized as Taehanuiyonggun(Korean Voluntary Army). Consequently, he was nominated as a commander of Taehanuiyonggun and worked as an instructor in the military school. During the Liberation War in Far East, which started in December 1921, Kim Hong-il commanded Taehanuiyonggun an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hanks to this contribution, Taehanuiyonggun began in charge of defending the surroundings of Khabarovsk under the name of Korean infantry battalion. Hong-il Kim was appointed to general of this troop and had a dream to organize Korean infantry battalion into large-scale anti-Japanese troop. However, this dream put an end because of internal conflicts in Korean force and failure to keep the promise of the Far Eastern Republic. Thus, Korean infantry battalion was deactivated and Kim Hong-il went back to Chinese territory behind all these incidents.
      Following Hong-il Kim’s activities in Gando and Maritime province reveals two facts. Firstly, his activities were mostly concentrated in militant anti-Japanese movement, which might seem natural since he had chosen the Military school in Guijou. However, he never turned his attention away from the militant anti-Japanese movement even at later times. Secondly, although he had led individual battles, his ultimate aim was to build a large-scale anti-Japanese army. He led Kunbidan to the Jayu-si(city Svabodnii) to achieve this goal, and when his efforts proved futile, he tried to form an anti-Japanese army in Maritime province. This suggests that he intended his militant anti-Japanese movement to lead a war of independen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Kim Hong-il’s militant anti-Japanese movement in early 1920s was carried out under the hope and plan of forming a large anti-Japanese army and starting a war of independence against Jap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망명-군관학교 졸업과 독립운동 참가
      • 3. 군비단 군사부를 이끌고 연해주로
      • 4. 대한의용군사의회와 대한의용군
      • 5. 원동해방전쟁에 참가
      • 1. 머리말
      • 2. 망명-군관학교 졸업과 독립운동 참가
      • 3. 군비단 군사부를 이끌고 연해주로
      • 4. 대한의용군사의회와 대한의용군
      • 5. 원동해방전쟁에 참가
      • 6. 다시 간도로
      • 7.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영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시준, "李奉昌 義士의 日王狙擊義擧" 한국근현대사학회 17 : 2001

      2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역사비평사 2003

      3 김주용, "중국 長白地域 독립운동단체의 활동과 성격 -大韓獨立軍備團과 光正團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92) : 105-139, 2008

      4 신용하, "백범과 민족운동연구 1" 2003

      5 윤상원, "만들어진 ‘신화’–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대한독립군단” 서술의 문제점" 고려사학회 (51) : 291-322, 2013

      6 윤상원, "러시아혁명기 원동해방전쟁과 한인부대의 활약" 한국근현대사학회 (67) : 662-699, 2013

      7 "독립군의 수기"

      8 한상도, "韓國獨立運動과 中國軍官學校" 문학과지성사 1994

      9 "韓國獨立運動史資料集 - 洪範圖편" 정신문화연구원 1995

      10 김종문, "金弘壹의 생애와 독립운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1 한시준, "李奉昌 義士의 日王狙擊義擧" 한국근현대사학회 17 : 2001

      2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역사비평사 2003

      3 김주용, "중국 長白地域 독립운동단체의 활동과 성격 -大韓獨立軍備團과 光正團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92) : 105-139, 2008

      4 신용하, "백범과 민족운동연구 1" 2003

      5 윤상원, "만들어진 ‘신화’–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대한독립군단” 서술의 문제점" 고려사학회 (51) : 291-322, 2013

      6 윤상원, "러시아혁명기 원동해방전쟁과 한인부대의 활약" 한국근현대사학회 (67) : 662-699, 2013

      7 "독립군의 수기"

      8 한상도, "韓國獨立運動과 中國軍官學校" 문학과지성사 1994

      9 "韓國獨立運動史資料集 - 洪範圖편" 정신문화연구원 1995

      10 김종문, "金弘壹의 생애와 독립운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11 "遲耘 金錣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현대사연구소 1999

      12 "誠齋 李東輝 全書 下卷"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9

      13 한상도, "日帝下 在中韓人獨立運動의 國際的 背景 - 中國軍閥政權 및 國民黨政府와 의 관계를 중심으로" 8 : 1993

      14 金弘壹, "大陸의 憤怒 - 老兵의 回想記" 文潮社 1972

      15 반병률,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1.44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