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왼손엔 미음그릇 오른손엔 회초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133336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보고사, 2008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895.7 판사항(22)

      • ISBN

        9788984336506 03700: ₩15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왼손엔 미음그릇 오른손엔 회초리 / 이신성 지음.

      • 기타서명

        우리 인물 유적지 이야기

      • 형태사항

        363 p. : 삽도 ; 23 cm.

      • 일반주기명

        색인 수록
        2006년 발간한 "千金을 전하기보다 學德을 전하라"의 후속편임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광주보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창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대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일대학교 세방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장로회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책을 내면서 = 5
      • 병부령(兵部令) 김후직(金后稷) 기행
      • 1 사냥은 사람의 마음을 미치게 하다 = 18
      • 2 전하께서는 사냥가지 마십시오 = 19
      • 목차
      • 책을 내면서 = 5
      • 병부령(兵部令) 김후직(金后稷) 기행
      • 1 사냥은 사람의 마음을 미치게 하다 = 18
      • 2 전하께서는 사냥가지 마십시오 = 19
      • 이징옥(李澄玉) 무용(武勇)설화
      • 1 호랑이는 비로소 겁이 나서 달아나다 = 21
      • 2 대호를 혹 타기도 하고 몰기도 하다 = 22
      • 3 호랑이는 눈을 감고 머리를 떨어뜨리다 = 23
      • 4 나라에 큰 일이 있지 않으면 너를 소환치 않겠다 = 24
      • 어계 조려(漁溪 趙旅) 기행
      • 1 호배도강(虎背渡江) 전설의 현장, 영월 청령포구(寧越 淸冷浦口) = 26
      • 2 호랑이 등 위에 비신(碑身)이 세워진 사적비(事蹟碑) = 27
      • 3 의기남아(義氣男兒)의 우국단심(憂國丹心)이 서린 관란정(觀瀾亭) = 29
      • 4 선돌은 우뚝한 자세로 굽히지 않는다 = 30
      • 5 서산서원 생육선생사적비(生六先生事蹟碑) = 32
      • 6 서산에서 캔 고사리 시냇물에 씻었네 = 33
      • 7 안개와 노을에 흠뻑 취하시며 = 35
      • 8 사람들은 그 충심(忠心)을 몰랐도다 = 37
      • 9 가인을 그리워하는 마음 잊을 수 없네 = 40
      • 10 한 집안 자손들도 알지 못하다 = 41
      • 11 북쪽 버들과 남쪽 매화에도 봄이 움틉니다 = 43
      • 공근 이숙기(公瑾 李淑琦) 기행
      • 1 말년을 잘 마치고 전쟁에 공로가 있다 = 45
      • 2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두렵다 = 47
      • 유자광(柳子光) 기행
      • 1 뿌리는 구천에 서리고 기세는 삼한을 누르네 = 50
      • 2 일이 급한데 조패는 불가하오 = 51
      • 3 봉분을 만들지 말고, 석물을 세우지 말아라 = 52
      • 내 실수이지 당신 잘못이 아니오 = 54
      • 회제 이언적(晦齋 李彦迪) 기행
      • 1 이언적에게 알려지지 않도록 부디 조심하라 = 56
      • 2 인군(人君)의 귀와 간언(諫言)을 막아 국왕(國王)을 고립시키다 = 57
      • 3 화죽(化竹)을 심고, 날마다 시를 읊조리다 = 59
      • 4 삼생(三牲)의 성찬(盛饌) 있지만 봉양할 곳 없네 = 60
      • 5 깊은 못에 다다른 듯 엷은 얼음을 밟는 듯 = 62
      • 6 벗이 먼 곳에서 온다면, 즐겁지 않겠는가 = 64
      • 7 옥산정사 대청(大廳)에서 나무 창살을 통해 바라본 계류(溪流) = 65
      • 8 선생을 경모(敬慕)함이 늙을수록 더욱 깊어 = 67
      • 9 다른 사람과 다투면 부모님이 근심하느니라 = 68
      • 10 독락당 너머 우뚝 솟은 정혜사지 13층석탑 = 70
      • 잠계 이전인(潛溪 李全仁) 기행
      • 1 학문에 뜻 둔 자가 취할 바 아니다 = 72
      • 2 너는 과연 내 아들이니라 = 74
      • 3 석비(石非)를 낳아 길러 데리고 있음이 명백하옵니다 = 75
      • 4 노친 걱정 덜어드리고 강녕(康寧)케 한 공로가 매우 크다 = 77
      • 5 위안이 되게 받들지 못하고 다만 민망하여 울 뿐이다 = 78
      • 6 선생에게 아들이 있다고 이를 만하다 = 80
      • 송강 정철(松江 鄭澈) 기행
      • 1 홀로 우뚝 서 바른 말하네 = 82
      • 2 누가 강가에서 사미인곡을 부르는가 = 83
      • 3 명성이 나에게는 짝할 수 없네 = 84
      • 4 함께 죽을 텐데 영결은 무슨 영결입니까? = 85
      • 5 우리 모두 귀밑털이 반백이로세 = 87
      • 6 내 이미 뽕밭 속 기쁨을 나누고 있네 = 89
      • 7 석양에 홀로 정자에 올랐네 = 90
      • 8 늙어가는 몸이 봄맞이에 발광하고 싶네 = 91
      • 9 술 속에 묘리 있다지만 나는 알지 못해 = 92
      • 10 친한 자는 슬퍼하고 소원(疎遠)한 이는 침을 뱉는다 = 94
      • 11 창계(蒼溪)에서 용이 승천(昇天)하는 꿈을 꾸다 = 95
      • 12 환벽당(環碧堂) 용소(龍沼)가 배 앞에 다다랐느냐 = 97
      • 13 나무그늘에 피하니 그림자가 없어지다 = 98
      • 14 일백일을 피고 지는 백일홍꽃 = 99
      • 15 하늘을 이고 살면서 하늘 보기 어려워라 = 101
      • 16 아첨과 총애가 아닌 명백한 증거이다 = 102
      • 17 면전에서 권귀(權貴)를 가리지 않고 꾸짖다 = 104
      • 고죽 최경창(孤竹 崔慶昌) 기행
      • 1 귀국에 인물이 번성함을 널리 알리겠다 = 106
      • 2 초췌하고 수심어린 눈썹은 첩의 몸임을 = 107
      • 3 이번에 멀리 떠나면 언제쯤 돌아오려는고 = 108
      • 4 고죽유고(孤竹遺稿)를 짊어지고 다녀서 병화(兵火)를 면하다 = 109
      • 5 산속 객관(客館)에 나무만 울창하네 = 111
      • 6 어찌 전날의 은혜를 생각했으리 = 112
      • 7 새벽 꾀꼬리 한없이 우는 것은 이별의 정 때문이네 = 113
      • 8 시인 홍랑지묘(詩人洪娘之墓)에서 만난 연인(戀人)들 = 115
      • 동강 김우옹(東岡 金宇顒) 기행
      • 1 이 쇠방울에게 죄를 짓지 말아라 = 117
      • 2 흐트러진 마음을 잡는 공부입니다 = 118
      • 3 올바른 사람이 정권을 맡아 기강(紀綱)을 바로 잡아야 한다 = 120
      • 4 남명(南冥)의 높은 기풍 특별히 존경했네 = 121
      • 5 도학으로 동방의 유종(儒宗)이 되다 = 122
      • 한강 정구(寒岡 鄭逑) 기행
      • 1 앞장 서서 전은설(全恩說)로 이름을 높이려 하다 = 124
      • 2 민첩함이 도리어 병통이 될까 두렵다 = 125
      • 3 백성 돌보기를 갓난아기 돌보듯하다 = 127
      • 4 유적 유물(遺蹟遺物)은 제자리에 있어야 빛난다 = 128
      • 5 봉황새 날아드는 봉비암(鳳飛巖)과 수정 같은 밝은 소(沼) = 130
      • 6 인간세상 이곳처럼 그윽한 곳 없을 듯 = 131
      • 7 근원은 본디 말로 못할 묘함이 있나니 = 132
      • 8 겨울은 따뜻하고 여름은 서늘하다 = 133
      • 촌은 유희경(村隱 劉希慶) 기행
      • 1 어질고 착한 자가 어찌 한정이 있을까마는 = 135
      • 2 의분(義奮)을 떨쳐 왜적 토벌의 뜻을 세웠으니 = 136
      • 3 박엽으로 하여금 사나운 성질을 잃게 하다 = 137
      • 4 침류대에 올라 시를 짓고 노래 부르다 = 139
      • 5 침류대 산수를 사랑해 여생마칠 계획을 세우다 = 140
      • 수은 강항(睡隱 姜沆) 간양록 기행
      • 1 건차록(巾車錄)이 간양록으로 된 까닭 = 142
      • 2 지성대의는 상설(霜雪)을 짓밟고 일월을 뚫는다 = 144
      • 3 누가 물속에 빠져 죽을 줄 알았겠는가 = 145
      • 4 이배 저배 탄 사람 모두 눈물 흘리네 = 147
      • 5 슬픈 마음에 좋은 소식 들리다 = 149
      • 석주 권필(石洲 權韠) 기행
      • 1 가난한 장사꾼이 어찌 그걸 알겠습니까? = 151
      • 2 술집 아이들도 다 그 이름 외운다네 = 152
      • 3 슬프다, 한잔 술 다시 권할 수 없으니 = 154
      • 4 낮은 벼슬 처량해 굶주림도 면치 못했네 = 155
      • 5 도끼날이 네 목엔 닿지 않는다 하던가 = 156
      • 6 궁궐 버들은 푸르디푸르러 꾀꼬리 어지러이 날아들고 = 157
      • 7 조물주는 생사를 미리 정해두다 = 158
      • 8 문장 알아 제 몸에 재앙되었네 = 159
      • 9 약관에 인걸(人傑)들을 다 사귀다 = 160
      • 10 날로 달로 잘라내어 남은 게 없네 = 161
      • 11 이제부터 입을 봉하고 생을 끝내려 하네 = 162
      • 12 어머니 연세가 여든셋일세 = 163
      • 인조반정과 김류(金瑬)ㆍ이기축(李起築) 이야기
      • 1 간밤 꿈에 상감께서 납시었습니다 = 165
      • 2 기축이 장군목을 꺾고 들어가다 = 166
      • 서포 김만중(西浦 金萬重) 기행
      • 1 전란(戰亂) 중 선상(船上) 출생의 유복자(遺腹子) = 168
      • 2 왼손엔 미음그릇, 오른손엔 회초리 = 169
      • 3 자체(字體)가 정세(精細)하여 구슬을 꿴 듯하다 = 170
      • 4 애통(哀痛)하며 울부짖다 병이 되어 졸하다 = 172
      • 5 가마의 주렴(珠簾)을 매어드리고 문 곁에 서서 바라보다 = 173
      • 6 글자를 쓰기 전에 눈물 이미 넘쳐나네 = 175
      • 7 남해(南海) 유배지(流配地)에서 쓴 서포만필(西浦漫筆) = 177
      • 8 순언의 이름이 중국에 진동하다 = 178
      • 9 색동옷 입고 사이좋게 지내면 어머니 기뻐하셨지 = 179
      • 서포만필(西浦漫筆) 소재(所載) 홍순언일화(洪純彦逸話)
      • 1 유락녀는 뒤에 제상처가 되다 = 183
      • 2 나이 반백에 내일을 알 수 없네 = 184
      • 3 흰실이 물든다고 생각하니 = 185
      • 4 성사(成事) 권한은 예부에 있다 = 186
      • 5 저를 다시 태어나게 하신 분은 의사(義士)입니다 = 188
      • 6 실로 그대의 충절(衷節)을 옳게 인도했소 = 189
      • 7 이 말은 사실에 가깝다 = 190
      • 서포만필(西浦漫筆) 소재(所載) 기타 일화
      • 1 오성 한음 일화-70세 고모를 모시다 = 191
      • 2 숙운사론(宿雲詞論)-시는 사람을 감동시키다 = 193
      • 3 척화론(斥和論) 비판-죽으면 박장하라 유언하다 = 194
      • 4 유근(柳根) 일화-장인어른의 문장은 새우젓과 같습니다 = 196
      • 심산 김창숙(心山 金昌淑) 기행
      • 1 어릴 때 잔병 많더니 늙어 앉은뱅이가 되다 = 198
      • 2 역적들을 성토치 않는 자도 역적이다 = 199
      • 3 스스로 생각해도 미쳤다 할 수밖에 없다 = 201
      • 4 어미가 보아도 네가 미친 것 같다 = 202
      • 5 곽면우 선생의 지시를 따르기로 하다 = 203
      • 6 돌아가고픈 마음 미칠 듯해라 = 204
      • 효자 최루백(崔婁伯) 기행
      • 1 부친은 사냥 중 호랑이의 밥이 되어 버리다 = 206
      • 2 이제 내가 너를 잡아먹어야겠다 = 207
      • 3 호랑이 잡아 원한 갚았으니, 너무나 대견하네 = 208
      • 효자 오준(吳竣) 기행
      • 1 고을 사람들이 효감천이라 하다 = 210
      • 2 오 아무개를 잡아왔습니다 = 211
      • 3 어찌하여 흥덕의 효자를 잘못 잡아왔느냐? = 213
      • 4 이치 밖의 일이 아닌 듯하다 = 214
      • 효자 모계 조강(慕溪 趙綱) 기행
      • 1 송골매가 오리를 떨어뜨리다 = 215
      • 2 이놈아, 산 애비는 염두에도 없단 말이냐 = 216
      • 3 효자 집안에 효자 난다 = 219
      • 효자 황무진(黃戊辰) 기행
      • 1 정신을 가다듬고 용기를 내어, 호랑이를 노려보며 꾸짖다 = 222
      • 2 사등 선생 행차(四燈先生 行次)라고 일컬어지다 = 223
      • 3 충과 효를 겸비(兼備)했다 하여, 충효(忠孝)라 시호(諡號)하다 = 224
      • 4 효자(孝子)만으로 효자 못 되고, 효부(孝婦)만으로 효부 못 된다 = 226
      • 효자 박태성(朴泰星) 기행
      • 1 탁본(拓本)을 끌어안고 괴성(怪聲)을 지르며 춤을 추다 = 227
      • 2 아버지 얼굴을 몰라, 지극히 슬픕니다 = 228
      • 3 착한 이에게 복 내림은 증거가 있도다 = 230
      • 4 효자가 호랑이를 타고 묘소참배(墓所參拜)를 가다 = 231
      • 효자 홍차기 (洪次奇) 기행
      • 1 매번 깜짝 놀라 울며 음식을 먹지 않다 = 233
      • 2 걸어서 서울에 들어가 신문고를 치다 = 234
      • 3 아버지가 살아나셨다. 아버지가 살아나셨다! = 235
      • 부여(扶餘) 정효자(鄭孝子) 기행
      • 1 선생은 저에게 무엇을 가르쳐 주시겠습니까? = 237
      • 2 조금 전 준 물은 참기름이었습니다 = 238
      • 효자 야계 도시복(也溪 都始復) 기행
      • 1 솔개가 고기를 낚아채다 = 240
      • 2 호랑이가 앞길을 막고 타라는 시늉을 하다 = 241
      • 효부(孝婦) 여주이씨(驪州李氏) 기행
      • 1 지극정성(至極精誠) 효행에 천신(天神)이 감응(感應)하다 = 243
      • 2 평생 전복회를 먹어보지 못하다 = 244
      • 3 인자한 시어머니와 효성 다한 며느리 = 246
      • 절부(節婦) 화순최씨(節婦 和順崔氏) 기행
      • 1 아버지 어머니는 어디에 돌아가시렵니까? = 248
      • 2 못다한 부부연(夫婦緣)은 최씨담(崔氏漂)으로 승화되고 = 250
      • 전주 효녀(全州孝女) 감응설화(感應說話)
      • 1 전주 한벽당(寒碧堂)의 소(沼)에 처녀를 제물(祭物)로 바치다 = 252
      • 2 천년(千年) 묵은 지네가 염갱(鹽羹)에 간이 되어 떠오르다 = 253
      • 관기제도 존폐론(存廢論)
      • 그렇다면 후(詡)와 눌(訥)은 어디서 낳는고? = 255
      • 송도기생 황진이(黃眞伊) 기행
      • 1 병부교 아래에서 빨래하다 = 257
      • 2 절색이라, 나의 일이 낭패로다 = 258
      • 3 진랑은 이술(異術)을 가져서 그러했는가 = 259
      • 4 화담은 끝내 조금도 동요하지 않다 = 260
      • 5 송도엔 3가지 빼어난 것이 있사옵니다 = 261
      • 6 하인 한 명이 있는데, 매우 굶주렸습니다 = 263
      • 7 그대와 6년 동안 같이 살아야 되겠습니다 = 264
      • 8 매화는 피리소리에 향기롭구나 = 265
      • 9 뒤돌아보다가 나귀에서 떨어지다 = 267
      • 10 달빛 아래 한 송이 요염(妖艶)한 꽃을 대하다 = 268
      • 11 홍안(紅顔)은 어디 두고 백골(白骨)만 묻혔는가 = 269
      • 부안기생 매창(梅窓) 기행
      • 1 부안(扶安)과 명원 이매창지묘(名媛李梅窓之墓)의 의미 = 271
      • 2 사승(寺僧)이 개암사에서 목판에 새기다 = 272
      • 3 이 노래를 지어 부르며 수절하다 = 273
      • 4 글 재주와 노래 솜씨 서울까지 울렸어라 = 275
      • 5 그리움 사무쳐도 서로 보지 못하고 = 276
      • 6 붉디붉은 입술은 만 사람의 향기라네 = 277
      • 7 금비녀 매만지며 고개만 까딱하네 = 278
      • 8 이별은 매번 많은데 만날 날이 적으니 = 279
      • 9 하룻밤 자는 값이 천금이라네 = 280
      • 밀양기생 추향(秋香) 이야기
      • 1 추향은 전혀 슬픈 기색(氣色)이 없다 = 282
      • 2 홀연히 한 소년이 들어와 절하다 = 283
      • 3 주색의 골에 빠져 죽는다 = 284
      • 4 공의 넋 따라 관 앞에서 죽으리라 = 285
      • 밀양 아랑설화(阿娘說話)
      • 강화도(江華島) 손돌목 여울의 손돌풍(孫乭風) 유래 = 287
      • 1 딸과 유모가 사라져버리다 = 288
      • 2 부인이 붉은 깃발을 든 혼령을 보고 원통함을 씻어주다 = 289
      • 3 가슴에 칼이 꽂힌 채 온몸에 피를 흘리다 = 291
      • 4 아랑이 어찌 영남루를 알았으리오? = 292
      • 5 내 원통함 하소연해도 사람들은 절로 놀라 = 294
      • 울산 처용가(處容歌) 기행
      • 1 빼앗아 간 것을 어찌하리 = 295
      • 2 오석(烏石)에 새겨진 처용가비 = 296
      • 3 명당(明堂) 자리 산소(山所) = 298
      • 4 호국대룡(護國犬龍)의 가호(加護) = 299
      • 5 문화 유적지와 공단 조성 = 300
      • 6 관용(寬容)과 포용정신(包容精神) = 302
      • 7 시급(時急)한 동신사(洞神社) 복원 = 304
      • 8 바다를 바라보는 절, 망해사(望海寺)의 현주소(現住所) = 305
      • 울산의 별호(別號), 학성(鶴城)의 유적(遺蹟)들 = 307
      • 영광군(靈光郡) 기행
      • 1 불갑사 세심정의 물맛 = 309
      • 2 대신리 구절부순의처(九節婦殉義處) = 311
      • 3 노루목 원불교 발상지 = 312
      • 4 법성포 백제 불교 도래지(液來地), 영광굴비의 고장 = 313
      • 5 아담하고 세련미 갖춘 삼층석탑 = 315
      • 곡성 성주 의마비(義馬碑) 설화
      • 1 곡성 의로운 말의 무덤 = 317
      • 2 대호를 만난 계백은 말 아래로 떨어지다 = 318
      • 진천(鎭川)ㆍ용인(龍仁) 이야기
      • 살아서는 진천에 살고. 죽어서는 용인에 간다 = 320
      • 지옥순례(地獄巡禮)
      • 수명(壽命)이 아직 40년 남았으니 속히 돌려보내라 = 322
      • 1 산 사람을 억지로 염을 하다 = 323
      • 2 잡혀온 죄인이 어찌 까닭을 알겠소? = 324
      • 3 어찌 만에 하난들 속지할 수 있겠는가? = 325
      • 4 밤중에 흉복통으로 갑자기 죽다 = 327
      • 5 혹시 대부인마님도 뵈었느냐? = 328
      • 6 대부인마님은 소인 아비와 사십니다 = 329
      • 이야기꾼 오물음(吳物音) 기행
      • 1 식성이 오이와 나물을 즐겨 먹다 = 331
      • 2 명정(銘旌)이 앞을 서니 상여소리 구슬프다 = 332
      • 3 사람이 죽으려 할 때는 그 말이 착하다 = 333
      • 한국인의 아명(兒名)ㆍ자호(字號)ㆍ시호(諡號) 문화
      • 1 북두칠성의 정기(精氣)에 감응되어 태어나다 = 334
      • 2 너는 대중(大衆)과 화합(和合)하여라 = 335
      • 3 나라가 힘을 떨치지 못함을 근심하다 = 336
      • 4 나라를 염려하여 집안일을 잊었으니 충이요 = 338
      • 잘못 알고 있는 일본식 한자어
      • 이조에 들어와 벼슬이 이어지다 = 340
      • 찾아보기 = 341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예스24.com

      왼손에 미음그릇 오른손엔 회초리

      판매중 15,000원 13,500원 (10%)

      종이책 구매

      150포인트 (1%)
      알라딘

      왼손에 미음그릇 오른손엔 회초리 - 우리 인물 유적지 이야기

      판매중 15,000원 14,250원 (5%)

      종이책 구매

      750포인트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NAVER

      왼손엔 미음그릇 오른손엔 회초리 (우리 인물 유적지 이야기)

      '우리 고사성어 설화문학 여행'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천금을 전하기 보다 학적을 전하라』의 후속편이다. 우리 역사상의 인물들이 우리 국토를 기행한 이야기와 그 와중에 남긴 문장들을 전하고 있다. 발품을 팔아 찍은 사진들을 최대한 실었고, 역사적 인물이나 유묵 사진들도 최대한 구해 실었다. 인물열전을 따로 구성하여 인물에 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