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은 독일 통일 20주년이 되는 해이다. 통일독일이 통합의 틀을 빨리 갖추어 나갈 수 있었던 것은 통일 과정에서 동서독에 배치된 엄청난 군사력에도 불구하고 전혀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18195
2007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69-88(2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0년은 독일 통일 20주년이 되는 해이다. 통일독일이 통합의 틀을 빨리 갖추어 나갈 수 있었던 것은 통일 과정에서 동서독에 배치된 엄청난 군사력에도 불구하고 전혀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
2010년은 독일 통일 20주년이 되는 해이다. 통일독일이 통합의 틀을 빨리 갖추어 나갈 수 있었던 것은 통일 과정에서 동서독에 배치된 엄청난 군사력에도 불구하고 전혀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도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이다. 독일이 통독시 군사적 통합에 있어서 취한 기본 원칙은 ‘구 동독군의 신속한 해체와 일부 동독군의 서독군으로의 편입’이었다. 특히 모든 계급의 정치군인들이 강제예편되어 구체제와 관련된 주요 권력 기반을 제거하였다.
통일한국도 독일의 예를 따라 전부 혹은 일부의 북한군을 제외하곤 모두 강제 예편시켜야 할 것이다. 특히 북한의 민군관계에서 살펴보았듯이, 북한 군부의 사상적 편향성과 정치적 정향은 한국 군대가 수용하기 어려울 것이다. 한국의 통일은 무엇보다도 북한지역에서의 현재와 같은 ‘병영적 국가’를 해체하고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건설해가는 과정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군의 규범과 가치들을 북한 군부에 이식시켜 나가는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통일한국의 상비군 규모를 약 50만명 선으로 설정했을 때 2020년까지 50만명으로 감축될 한국군의 규모가 그대로 통일한국군의 상비군 규모가 될 것이다.
아울러 한국의 민군관계는 헌팅턴이 지적한대로 군의 직업주의 극대화를 통한 객관적 문민통제의 원칙을 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일한국의 민군관계 발전 방향은 독일식의 문민우월국가 모델보다는 미국식의 민군양립국가의 모델을 지향목표로 설정하고 여기에 부합되는 조건과 여건을 충족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민군관계는 군대를 정치권력에 복종하도록 수직적인 통제장치로 다스리는 것 보다는 군대가 문민의 정치적 통제를 받되 국가를 위해 봉사하도록 자율성과 전문성을 최대한 보장해 줌으로서 수평적인 상호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year 2010 is the 20th anniversary of German unification.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ntegration of West-East Germany was possible, because there were no military conflicts in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The basic principle of mil...
The year 2010 is the 20th anniversary of German unification.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ntegration of West-East Germany was possible, because there were no military conflicts in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The basic principle of military integration in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was to dissolve East German army immediately and to enlist a part of East German army into the West German military forces.
And all the political officers of East Germany were unavoidably registered on the reserve list by force.
The historic experience of German cases will be able to contribute the military integration of two Koreas. As we analyzed the civil-military relationship in North Korea, the ideological prejudice and the political attitude of the North Korean military will be difficult for the South Korean military to accept.
The Korean reunification may mean that the 'garrison state' of North Korea should be dissolved and the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should be established.
The Korean military forces will be reduced to 500,000 standing army by 2020. This number will be the proper size of the military forces of the unified Korea.
After the Korean Reunification, it would be desirable that the rule of 'Civilian Supremacy' and the principle of 'Objective Civilian Control‘ should be established.
목차 (Table of Content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9-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 COMMUNICATION | ![]() |
2005-06-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Korean Political Science And Communication -> THE ASSOCIATION OF KOREAN POLITICAL SCIENCE AND COMMUNI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5 | 1.05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7 | 0.99 | 1.591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