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서 동작관찰훈련 시 tDCS 적용이 거울신경세포 시스템 활성화와 그에 따른 상지 기능의 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575263
나주 :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1
2011
한국어
전라남도
viii, 60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서 동작관찰훈련 시 tDCS 적용이 거울신경세포 시스템 활성화와 그에 따른 상지 기능의 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서 동작관찰훈련 시 tDCS 적용이 거울신경세포 시스템 활성화와 그에 따른 상지 기능의 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해 편마비로 진단받은 환자 총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주 3회, 4주 동안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실험군 Ⅰ(n=9)은 사진관찰군, 실험군 Ⅱ(n=8)은 동작관찰훈련군, 실험군 Ⅲ(n=8) 동작관찰훈련 시 tDCS 적용군으로 하였다.
거울신경세포 시스템의 활성화 정도는 뇌파검사기(Electroencephalography; EEG)를 이용하여 뮤리듬(mu rhythm)을 측정하였고, 컴퓨터에 저장된 뮤리듬을 절대 뮤파워 비(absolute mu power ratio)의 연산과정을 거쳐 뮤로그 비(mu log ratio)로 환산하여 구하였다. 상지 운동기능검사는 상지 기능평가(Manual Function Test; MFT), 손 운동기능은 박스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BBT)를 이용하였고, 운동 방법에 따라 세 시점(pre, post, follow up)에서 각각 평가하였다.
뮤로그 비를 통한 그룹 간 거울신경세포 시스템의 활성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post에서는 실험군 Ⅱ과 실험군 Ⅲ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follow up에서는 실험군 Ⅱ과 실험군 Ⅲ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군 Ⅱ은 pre와 post, post와 follow up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군 Ⅲ은 pre와 post(p<.001), post와 follow up(p<.01)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상지 운동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MFT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post에서는 실험군 Ⅱ과 실험군 Ⅲ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follow up에서는 실험군 Ⅱ과 실험군 Ⅲ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군 Ⅱ는 pre와 post(p<.01), pre와 follow up(p<.01)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나, post와 follow up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군 Ⅲ은 pre와 post(p<.001), pre와 follow up(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post와 follow up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손 운동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BBT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그룹 내 비교에서는 실험군 Ⅲ에서 pre와 post(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실험군Ⅰ, 실험군 Ⅱ, 실험군 Ⅲ 모두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동작관찰훈련 시 비침습적 뇌자극 방법인 tDCS의 적용이 훈련 종료 후 뿐만 아니라 일정기간 이후까지 거울신경세포 시스템에 유의한 활성화를 이끌어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상지 및 손 기능 향상에도 일정기간 이후까지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