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 고령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nd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33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 고령자의 건강만족, 친목활동, 사회적 친밀감, 주관적 계층의식, 삶의 질 변인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영향력에 관해 파악하고 주요 변인과 삶의 질 변인 사이에서 주관적 계...

      본 연구는 중 고령자의 건강만족, 친목활동, 사회적 친밀감, 주관적 계층의식, 삶의 질 변인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영향력에 관해 파악하고 주요 변인과 삶의 질 변인 사이에서 주관적 계층의식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화 연구패널 조사(KLoSA)의 7차 년도 대상 패널 중 남녀 중 고령자 3,786명에 대해 SPSS와 AMOS program을 사용하여 각 변인 간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와 경로모형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건강만족은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질에 각각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친목활동은 주관적 계층의식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주관적 계층의식은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사회적 친밀감은 주관적 계층의식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으나 삶의 질변인에는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건강만족과 삶의 질 변인 간에는 주관적 계층의식을 매개로 하여삶의 질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이 나타났으며, 친목활동과 삶의 질, 사회적 친밀감과 삶의 질 변인 간에는 주관적계층의식을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초고령 사회를 준비하는우리 사회에서 중 고령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주관적 계층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중 고령자의 더 나은 노후의 삶의 영위를 위한 방안 마련과 정보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있어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 고령자의 주관적 계층의식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개선과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관련 인식교육프로그램의 제공, 건강 증진 측면의 실천적 지원을 활성화하여 중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지속적인 논의 및 연구의 수행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health satisfaction, social activities, social intimacy,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and to examine the med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health satisfaction, social activities, social intimacy,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between major variables and quality of life variables. For this purpos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and path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for 3,786 men and women, middle-aged and elderly among the 7th year panel survey of the KLoS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health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nd quality of life, respectively. Second, social activities showed nega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directly an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Third, social intimacy showed nega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variables. Fourth, between the variables of health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was mediated, an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was found on quality of lif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as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was mediated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and between social intimacy and quality of life variables. This study prepares a plan for better life in old age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nd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nd elderly in our society preparing for a super-aged societ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nformation and material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improve positive perceptions of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f middle-aged and elderly, build a network for information sharing, provide related awareness education programs, and activate practical support in terms of health promotion. In addition, it is proposed to conduct continuous discussions and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nd elder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조, "한국인 주관적 계층의식의 특성과 결정요인" 한국사회학회 34 : 127-153, 2000

      2 민주홍, "한국 노인의 사회참여가 주관적 건강 및 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다양한 사회참여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105-123, 2013

      3 이정아, "지역사회 사회활동 유형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및 삶의 만족도"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5 (45): 107-116, 2019

      4 강소랑, "중・고령자의 삶의 질에 관한 증험적(Evidence-Based) 정책설계 - 고령화연구패널(KLoSA)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 한국정책학회 20 (20): 353-382, 2011

      5 이효영, "중 고령자의 평생학습참여가 사회참여활동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 매개효과의 검증" 한국고용정보원 2019

      6 한수정, "중 고령자의 건강만족, 친목활동, 사회적 친밀감, 주관적 계층의식,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021

      7 주경희, "전・후기 베이비붐 세대의 특성 및 주관적 계층의식 예측변인 차이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149-1164, 2020

      8 석재은,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21-349, 2016

      9 한수정, "여성 독거노인의 가구총소득, 사회적 계층의식, 친목활동,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615-632, 2019

      10 최령, "소득계층과 주관적 계층인식에 따른 의료이용 :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33) : 117-139, 2013

      1 김병조, "한국인 주관적 계층의식의 특성과 결정요인" 한국사회학회 34 : 127-153, 2000

      2 민주홍, "한국 노인의 사회참여가 주관적 건강 및 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다양한 사회참여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105-123, 2013

      3 이정아, "지역사회 사회활동 유형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및 삶의 만족도"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5 (45): 107-116, 2019

      4 강소랑, "중・고령자의 삶의 질에 관한 증험적(Evidence-Based) 정책설계 - 고령화연구패널(KLoSA)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 한국정책학회 20 (20): 353-382, 2011

      5 이효영, "중 고령자의 평생학습참여가 사회참여활동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 매개효과의 검증" 한국고용정보원 2019

      6 한수정, "중 고령자의 건강만족, 친목활동, 사회적 친밀감, 주관적 계층의식,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021

      7 주경희, "전・후기 베이비붐 세대의 특성 및 주관적 계층의식 예측변인 차이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149-1164, 2020

      8 석재은,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21-349, 2016

      9 한수정, "여성 독거노인의 가구총소득, 사회적 계층의식, 친목활동,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615-632, 2019

      10 최령, "소득계층과 주관적 계층인식에 따른 의료이용 :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33) : 117-139, 2013

      11 금현섭, "사회보험과 주관적 계층의식의 변동"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1 (21): 61-86, 2011

      12 김진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27-153, 2007

      13 이경란, "복합 만성질환자의 시력저하와 고용상태에 따른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단적 비교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019

      14 이성규,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73-86, 2014

      15 이원지, "베이비부머 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9 (9): 95-114, 2019

      16 김정영, "노인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심리적 안녕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34 (34): 179-208, 2013

      17 최윤정,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09-218, 2018

      18 김보현, "노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에 관한 탐색적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5 (15): 141-160, 2008

      19 최현석, "노인의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559-568, 2012

      20 박선숙, "노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의사결정트리모형을 이용하여" 사회과학연구소 29 (29): 39-57, 2018

      21 김은경, "노인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지지가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811-820, 2013

      22 권현수, "노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8 (18): 995-1008, 2009

      23 김수희,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식적․비공식적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167-191, 2018

      24 이정훈, "노인의 공식/비공식적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66) : 287-305, 2014

      25 남석인, "노인의 계층인식이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인식의 이중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121-150, 2016

      26 노재현, "노인의 경제력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건강상태의 매개효과: 경제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 (20): 287-318, 2018

      27 이영균, "노인사회활동 참여 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 한국정책과학학회 20 (20): 151-180, 2016

      28 허준수,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인과모형 연구: 유형별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673-691, 2017

      29 허준수,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 유형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4) : 235-263, 2014

      30 김정엽, "노인교육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48) : 7-30, 2010

      31 나항진, "노인교육을 위한 이론적 탐색"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15 : 111-131, 2000

      32 김근홍, "노인 평생교육 참여 특성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33 : 29-57, 2016

      33 전명수, "노인 평생교육 참여 동기 유형이 교육만족도와 삶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38-448, 2012

      34 권중돈,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 20 (20): 61-76, 2000

      35 장수지,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전후기노인 및 성별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75-100, 2010

      36 김준범, "노년기 빈곤이 계층의식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9 (39): 93-108, 2019

      37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0

      38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 19 (19): 161-177, 2000

      39 한창묵, "고령자의 사회관계가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 (20): 31-52, 2018

      40 김현정, "고령은퇴남성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21 : 253-280, 2009

      41 Knowles, M. S., "Toward a model of lifelong education: Working paper for consultative group on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school curriculum" UNESCO Institute for Education Hamburg 9-12, 1972

      42 Palgi, Y., "The predicament of time near the end of life : Time perspective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old-old" 14 (14): 577-586, 2010

      43 Brown, J. S., "The hale elderly : Health behavior and its correlates" 9 : 317-329, 1986

      44 서찬란, "The Role of Subjective Social Status between Family Economic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 Focusing on Household Heads" 한국생애학회 8 (8): 159-184, 2018

      45 Wynne, L. C., "The Epigenesis of Relational Systems : A Model for Understanding Family Development" 23 (23): 297-318, 1984

      46 Rowe, J. W., "Successful aging" Pantheon Books 1998

      47 Manmot, M., "Status syndrome : a challenge to medicine" 295 (295): 1304-1307, 2006

      48 Demakakos, P.,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 The role of subjective social status" 67 (67): 330-340, 2008

      49 Gilmour, H.,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health and well-being of Canadian seniors" 23 (23): 23-32, 2012

      50 Idler, EL.,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38 (38): 21-37, 1997

      51 Adler, N. E., "Relationship of subjective and objective social status wi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functioning : Preliminary data in healthy White women" 19 (19): 586-592, 2000

      52 Kraus, M. W., "Is the association of subjective SES and selfrated health confounded by negative mood? An experimental approach" 32 (32): 138-145, 2013

      53 Wilkinson, R., "Health, hierarchy and social anxiety" 896 (896): 48-63, 1999

      54 Chapman, N. J., "Environmental predictor of well-being for at risk older adults in mid-sized city" 38 (38): 237-244, 1983

      55 Jackman, M. R., "An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38 : 569-582, 1973

      56 배병렬,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청람 2011

      57 Rodin, J., "Aging Lables : The decline of control and the full of self-esteem" 36 (36): 12-29, 1980

      58 Jenkins, R.,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24 (24): 124-149, 2002

      59 Havighurst, R. J., "A social-psychological perspective on aging" 8 (8): 67-71, 1968

      60 허성호, "2006년 고령화 패널조사에 나타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다차원적 영향 분석" 한국노년학회 31 (31): 407-418,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