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선도 수련과 요가 수행 비교연구 : 국선도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384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선도의 수련과 요가의 수행법을 비교연구를 통하여 실제적으로 정신적, 육체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고자하였다. 본 연구는 국선도와 요가의 역사적인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국선도와 요가의 수련원리를 통하여 그 차이점을 비교하였고, 국선도와 요가의 호흡 방법 비교, 국선도와 요가의 좌법 비교, 국선도와 요가의 음식비교, 국선도와 요가의 소리명상 비교, 국선도와 요가의 치유효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국선도의 수련원리는 정기신 삼단전 원리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요가에서는 차크라의 원리에 의하여 해탈에 이른다. 국선도의 호흡법은 정기신 삼단전을 활용한 단전호흡이며, 요가의 호흡법은 숨을 깊게 마시고 깊게 내쉬는 원리로 이루어져 있다, 국선도와 요가에서의 음식은 육식보다는 채식위주의 음식을 권하고 있다. 국선도와 요가에서의 호흡자세는 좌법을 권장하며, 또한 이러한 수련을 통하여 자기 자신에 대한 치유효과를 얻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선도와 요가 수행법의 올바른 이해와 현대인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많은 도움을 주었으면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국선도의 수련과 요가의 수행법을 비교연구를 통하여 실제적으로 정신적, 육체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고자하였다. 본 연구는 국선도와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선도의 수련과 요가의 수행법을 비교연구를 통하여 실제적으로 정신적, 육체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고자하였다. 본 연구는 국선도와 요가의 역사적인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국선도와 요가의 수련원리를 통하여 그 차이점을 비교하였고, 국선도와 요가의 호흡 방법 비교, 국선도와 요가의 좌법 비교, 국선도와 요가의 음식비교, 국선도와 요가의 소리명상 비교, 국선도와 요가의 치유효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국선도의 수련원리는 정기신 삼단전 원리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요가에서는 차크라의 원리에 의하여 해탈에 이른다. 국선도의 호흡법은 정기신 삼단전을 활용한 단전호흡이며, 요가의 호흡법은 숨을 깊게 마시고 깊게 내쉬는 원리로 이루어져 있다, 국선도와 요가에서의 음식은 육식보다는 채식위주의 음식을 권하고 있다. 국선도와 요가에서의 호흡자세는 좌법을 권장하며, 또한 이러한 수련을 통하여 자기 자신에 대한 치유효과를 얻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선도와 요가 수행법의 올바른 이해와 현대인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많은 도움을 주었으면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2
      • 1. 국선도의 이론적 배경 = 2
      • 1) 국선도의 정의 = 2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2
      • 1. 국선도의 이론적 배경 = 2
      • 1) 국선도의 정의 = 2
      • 2) 국선도의 목적 = 3
      • 3) 국선도의 유래 = 3
      • 4) 국선도의 전파(傳播) = 5
      • 2. 국선도의 수련원리 = 6
      • 1) 단리 = 6
      • 2) 단전의 정의 = 8
      • 3) 단전호흡 = 8
      • 4) 호흡시의 자세 = 8
      • (1) 정좌법(正坐法) = 8
      • (2) 와법(臥法) = 9
      • (3) 입법(立法) = 9
      • (4) 복법(伏法) = 10
      • 5) 정기신(精氣神) 원리 = 10
      • (1) 下丹田의 精 = 11
      • (2) 上丹田의 氣 = 12
      • (3) 中丹田의 神 = 12
      • 3. 국선도 수련내용 = 14
      • 1) 기혈순환 유통법 = 14
      • (1) 준비운동 = 15
      • (2) 정리운동 = 19
      • 2) 단전행공 = 24
      • 3) 기신법(氣身法) = 25
      • 4. 국선도 수련단계 = 25
      • 1) 단법의 체계 = 25
      • 2) 정기신 삼단전 이단호흡개요 = 26
      • (1) 정기신 삼단전의 개요 = 26
      • (2) 정기신 삼단전 통일 방법 = 28
      • 3) 입문 호흡법 = 30
      • (1) 입문호흡 개요 = 30
      • (2) 입문호흡 방법 = 31
      • 4) 중기단법의 원리 = 33
      • (1) 중기단법 개요 = 33
      • (2) 중기단법 호흡방법 = 34
      • (3) 중기단법 행공방법 = 37
      • 5) 건곤단법의 원리 = 38
      • (1) 건곤단법 개요 = 38
      • (2) 건곤단법 호흡방법 = 39
      • (3) 건곤단법 행공법 = 42
      • 6) 원기단법의 원리 = 42
      • (1) 원기단법 개요 = 42
      • (2) 원기단법 수련방법 = 44
      • 7) 진기단법 = 44
      • 8) 삼합단법 = 44
      • 9) 조리 단법 = 45
      • Ⅲ. 요가(Yoga)의 이론적 배경 = 45
      • 1. 요가(Yoga)의 기원과 발달 = 45
      • 1) 요가의 기원 = 45
      • 2) 요가의 어원(語源) = 46
      • 3) 우파니샤드에서의 요가 = 46
      • 4) 마하바라타에서의 요가 = 48
      • 5) 상카이 철학체계 = 48
      • 2. 요가-수트라의 사상 = 49
      • 1) 심론 = 49
      • (1) 마음 (心) = 49
      • (2) 마음의 작용(作用) = 51
      • 2) 요가 수행론 = 52
      • (1) 팔지칙(八支則) = 53
      • 3) 해탈(解脫) = 56
      • 3. 요가의 수행 = 58
      • 1) 좌법(坐法) = 59
      • 2) 호흡(呼吸) = 60
      • 3) 명상(暝想) = 61
      • Ⅳ. 국선도 수련과 요가 수행 비교 = 63
      • 1. 국선도의 삼단전과 요가의 차크라와 비교 = 63
      • 2. 국선도와 요가의 호흡법 비교 = 66
      • 3. 국선도의 좌법과 요가의 좌법 비교 = 67
      • 4. 국선도와 요가의 소리명상 비교 = 68
      • 5. 국선도와 요가의 음식 비교 = 69
      • 6. 국선도와 요가의 치유효과 비교 = 70
      • 1) 국선도의 치유효과 = 70
      • 2) 요가의 치유효과 = 71
      • Ⅴ. 결론 = 73
      • 참고문헌 = 76
      • 국문초록 =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