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생 수학불안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503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에 대한 학습-평가 차원과 정동-인지 차원이 교차하는 2×2 연구모형에 기초하여 수학불안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하위요인별 문항을 제작하고 전라도와 경기도지역에 소재한 7개 일반계고등학교의 학생 5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문항 내적 일관성과 각 요인별 일차원성을 살펴본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척도의 양호도를 측정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단계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모형을 논리적으로 성립 가능한 경쟁모형들과 비교하였으며, 다차원 척도법을 사용하여 제안된 요인구조를 공간적으로 시각화하였다. 또한, 척도의 준거타당도를 확인하기위해 수학불안과 관련된 실패에 대한 두려움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수학불안의 하위요인들이 수학성취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타당화한 2×2의 수학불안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 면에서 양호하며, 이론적으로 가능한 대안적 모형들보다 선호되는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수학성취는 학습정동 불안과는 약한 부적관계를, 평가정동 불안과는 약한 정적관계를 보였으며,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수학불안의 각 하위요인과 모두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연구의 결과가 함의하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에 대한 학습-평가 차원과 정동-인지 차원이 교차하는 2×2 연구모형에 기초하여 수학불안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하위요인�...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에 대한 학습-평가 차원과 정동-인지 차원이 교차하는 2×2 연구모형에 기초하여 수학불안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하위요인별 문항을 제작하고 전라도와 경기도지역에 소재한 7개 일반계고등학교의 학생 5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문항 내적 일관성과 각 요인별 일차원성을 살펴본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척도의 양호도를 측정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단계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모형을 논리적으로 성립 가능한 경쟁모형들과 비교하였으며, 다차원 척도법을 사용하여 제안된 요인구조를 공간적으로 시각화하였다. 또한, 척도의 준거타당도를 확인하기위해 수학불안과 관련된 실패에 대한 두려움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수학불안의 하위요인들이 수학성취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타당화한 2×2의 수학불안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 면에서 양호하며, 이론적으로 가능한 대안적 모형들보다 선호되는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수학성취는 학습정동 불안과는 약한 부적관계를, 평가정동 불안과는 약한 정적관계를 보였으며,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수학불안의 각 하위요인과 모두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연구의 결과가 함의하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2(learning vs. evaluation)×2(cognitive vs. affective) dimensions of mathematics anxiety. The sample consisted of 510 students in 7 high schools. A total of 28 items were developed and examined for the internal consistency, uni-dimensionality of each factor, and four-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Next, a seri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2×2 model, and to compare the proposed factor model with other alternative models. Finally, multidimensional scaling was used to visualize dissimilarities between factors on a 2-dimensional spa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2×2 model was appropriate to represent the mathematics anxiety structur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that the 2×2 model was preferred over the other alternative models. In order to examine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proposed 2×2 mathematics anxiety scale was correlated with fear of failur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prior achievement on mathematics was explored. Results showed that the affective-learning factor was negatively related to mathematics achievement while the affective-evaluation f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math achievement. The correlations between all factors of mathematics anxiety and fear of failure were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valid mathematics anxiety scale were discussed with som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2(learning vs. evaluation)×2(cognitive vs. affective) dimensions of mathematics anxiety. The sample consisted of 510 students in 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2(learning vs. evaluation)×2(cognitive vs. affective) dimensions of mathematics anxiety. The sample consisted of 510 students in 7 high schools. A total of 28 items were developed and examined for the internal consistency, uni-dimensionality of each factor, and four-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Next, a seri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2×2 model, and to compare the proposed factor model with other alternative models. Finally, multidimensional scaling was used to visualize dissimilarities between factors on a 2-dimensional spa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2×2 model was appropriate to represent the mathematics anxiety structur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that the 2×2 model was preferred over the other alternative models. In order to examine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proposed 2×2 mathematics anxiety scale was correlated with fear of failur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prior achievement on mathematics was explored. Results showed that the affective-learning factor was negatively related to mathematics achievement while the affective-evaluation f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math achievement. The correlations between all factors of mathematics anxiety and fear of failure were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valid mathematics anxiety scale were discussed with som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진승, "일반불안, 시험불안, 학업불안, 수학불안과 수학성적과의 공접 및 인과관계 분석" 경북대학교 1988

      2 박병기, "시험불안의 재개념화에 의한 척도개발 및 요인구조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87-109, 2008

      3 이현주, "수학불안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2007

      4 김연식, "수학불안 요인에 관한 연구" 5 (5): 111-128, 1995

      5 박상희, "성격유형에 따른 수학불안" 아주대학교 2007

      6 임준식, "불안 수준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1981

      7 박광배, "다차원척도법, In 심리, 사회 연구방법론 총서 시리즈: 측정․평가8" 교육과학사 2000

      8 Cooper, S. E., "The relationship of mathematics self-efficacy beliefs to mathematics anxiety and performance" 24 (24): 4-11, 1991

      9 Hembree,R, "The nature, effects, and relief of mathematics anxiety" 21 : 33-46, 1990

      10 Suinn, R. M., "The measurement of mathematics anxiety: The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for adolescents, MARS-A" 38 (38): 576-580, 1982

      1 최진승, "일반불안, 시험불안, 학업불안, 수학불안과 수학성적과의 공접 및 인과관계 분석" 경북대학교 1988

      2 박병기, "시험불안의 재개념화에 의한 척도개발 및 요인구조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87-109, 2008

      3 이현주, "수학불안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2007

      4 김연식, "수학불안 요인에 관한 연구" 5 (5): 111-128, 1995

      5 박상희, "성격유형에 따른 수학불안" 아주대학교 2007

      6 임준식, "불안 수준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1981

      7 박광배, "다차원척도법, In 심리, 사회 연구방법론 총서 시리즈: 측정․평가8" 교육과학사 2000

      8 Cooper, S. E., "The relationship of mathematics self-efficacy beliefs to mathematics anxiety and performance" 24 (24): 4-11, 1991

      9 Hembree,R, "The nature, effects, and relief of mathematics anxiety" 21 : 33-46, 1990

      10 Suinn, R. M., "The measurement of mathematics anxiety: The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for adolescents, MARS-A" 38 (38): 576-580, 1982

      11 Richardson, F. C., "The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psychometric data" 19 (19): 551-554, 1972

      12 Suinn, R. M., "The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a brief version: Psycholmetric data" 92 : 167-173, 2003

      13 Plake, B. 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revised version of the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42 (42): 551-557, 1982

      14 Ho, H., "The affective and cognitive dimensions of math anxiety: A cross-national study" 31 (31): 362-379, 2000

      15 Elliot, A. J., "Test anxiety and the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76 (76): 628-644, 1999

      16 Suinn, R. M., "Suinn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RS-E): Psychometric and normative data" 48 (48): 979-986, 1988

      17 Brush,L, "Some thoughts for teachers on mathematics anxiety" 29 (29): 37-39, 1981

      18 Pajares, F., "Self-efficacy beliefs and general mental ability i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20 : 426-443, 1995

      19 Betz,N.E, "Prevalence, distribution, and correlates of mathematics anxiety in college students" 25 : 441-448, 1978

      20 Meece, J. L., "Predictors of math anxiety and its influence on young adolescents' course enrollment intentions and performance in mathematics" 82 (82): 60-70, 1990

      21 Conroy, D. E.,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of fear of failure: The performance failure appraisal inventory" 14 : 76-90, 2002

      22 Rounds, J. B.,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mathematics anxiety" 27 (27): 138-149, 1980

      23 Stuart,V, "Math curse or math anxiety" 6 (6): 330-335, 2000

      24 Wigfield, A, "Math anxiety in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students" 80 : 210-216, 1988

      25 Fennema, E., "Fennema- Sherman mathematics attitudes scales: instruments designed to measure attitudes toward the learning of mathematics by females and males" 7 (7): 324-326, 1976

      26 Conroy, D. E., "Fear of failure and achievement goals in sport: addressing the issue of the chicken and the egg" 17 (17): 271-285, 2004

      27 Pajares, 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athematics anxiety scale" 29 (29): 3535-47, 1996

      28 Bandalos, D. L., "Effects of math self-concept, perceived self-efficacy, and attributions for failure and success on test anxiety" 87 (87): 611-623, 1995

      29 Tsui, J. M, "Effects of math anxiety and perfectionism on timed versus untimed math testing in mathematically gifted sixth graders" 29 (29): 132-139, 2007

      30 Perry,A.B, "Decreasing math anxiety in college students" 38 (38): 321-324, 2004

      31 Hu, L,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32 Hopko,D.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ath anxiety rating scale-revised" 63 (63): 336-351, 2003

      33 Liebert, R. M., "Cognitive and emotional components of test anxiety: A distintion and some initial data" 20 : 975-978, 1967

      34 Ferguson,R.D, "Abstraction anxiety: A factor of mathematics anxiety" 17 (17): 145-150,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심리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9 2.39 2.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5 3.18 3.12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