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066363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 2007. 8
2007
한국어
372.2
충청북도
vii, 126p. : 삽도 ; 26cm
부록 : 1.측정능력 검사 도구, 2. 수학 문제해결능력 검사 도구, 3.과학 문제해결능력 검사 도구, 4. 수학과 과학 통합 측정 활동안
지도교수 : 김숙자
참고문헌 : p.78-8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측정의 하위 영역(길이․무게․넓이․부피)별 측정기술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측정의 하위 영역(길이․무게․넓이․부피)별 비표준 단위 선택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1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2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소재하고 있는 D유치원의 만 5세 유아 30명 중 시간 차이를 두고 먼저 유치원에 등원하는 그룹 15명(남 7명, 여 8명)은 실험집단으로, 후에 도착하는 그룹 15명(남 8명, 여 7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검사 도구는 측정능력, 수학 문제해결능력, 과학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측정능력 검사 도구는 전희영(2001)이 기존의 측정능력 검사 도구와 이론을 근거로 고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학 문제해결능력 검사 도구는 Ward(1993)가 Baratta-Lorton(1976)과 Van de Walle(1988)의 아이디어를 참고하여 제작한 것으로 황정숙(1997)이 번안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과학 문제해결능력 검사 도구는 Tegano, Sawyers와 Moran(1989)의 유아 문제해결력 검사에 기초하여 안경숙(1992)과 장경혜(1994)의 연구에서 사용된 바 있는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자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통계처리 하였다.
첫째, 측정능력 중 측정기술 문항은 집단별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인 성공과 실패 빈도 차이를 McNemar검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고, 비표준 단위 선택하기 문항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집단간 비교하였다.
둘째, 문제해결능력은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고 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증가분에 대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은 유아의 측정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측정능력은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측정기술능력 중 직접 비교하여 측정하기의 경우 무게측정기술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비표준 단위를 이용한 측정하기의 경우 길이․무게․넓이․부피측정기술능력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비표준 단위 선택능력의 경우 길이․무게․넓이․부피 비표준 단위 선택능력 모두에서 측정에 가장 용이한 비표준 단위의 선택이 증가되었다.
이는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은 유아의 수학 문제해결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과학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과학 문제해결능력은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볼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