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체육학연구에 적용된 범주형 자료 분석 방법의 현황 = Current status of analysis techniques for categorical data in the Journal of KAHPER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211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사회전반에 걸쳐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보편화되었고,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설문지 및 전화인터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각 설문에 대하여 주어진 항...

      최근 사회전반에 걸쳐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보편화되었고,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설문지 및 전화인터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각 설문에 대하여 주어진 항목 중에서 답을 고르는 형식으로 자료가 수집되기 때문에 범주형 자료를 많이 수집할 수 있다. 범주형 자료는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분야에서도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자료의 형태로서 최근 삼차원 이상의 다차원 범주형 자료를 분석하고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통계기법으로 로그선형모형(log-linear model) 방법이 등장하였고, 또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로그선형모형에 대한 많은 이론이 개발되어 범주형 자료분석의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그러나 체육학 연구에서 범주형 통계자료 분석수준은 이차원 분할표의 적합도 검정(goodness-of-fit tess)에 국한되어 있으며 삼차원 이상의 자료에 대해서는 두 변수만을 발췌하여 이차원 자료로 만들어 카이제곱 검정을 주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범주형 자료 분석을 적용한 최근 5년간의 체육학회지에 실린 논문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현황파악과 연구설계의 경향파악, 범주형 자료분석 시 야기되는 전반적인 주요 오류의 유형을 점검하고 개선점을 제시하여 범주형 자료분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한국체육학회지 논문의 목적, 설계 그리고 통계기법 적용의 일관성과 결과해석의 적절성 측면에서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으며, 다차원 범주형 자료를 이차원뿐만 아니라 삼차원 이상 분석할 수 있는 통계기법 제시와 아울러 심슨 파라독스(Simpson`s paradox)와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올바른 해석도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statistical techniques employed in dissert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to review their applicability in terms of the evaluation of categorical data. 57 dissertations employing statistical techniques for cate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statistical techniques employed in dissert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to review their applicability in terms of the evaluation of categorical data. 57 dissertations employing statistical techniques for categorical data were chosen out of recent Journal of KAHPERD during 5 years. As results analysis technique for categorical data in the physical education was limited almost in the goodness-of-fit test and χ2 test despite variables including more than two dimensions of categorical data. So Log-linear model which can serve as a way to increase the validity of research methods is recommended to analyse these kinds of categorical data. It can be also helpful to avoid errors such as Simpson`s paradox in the evaluation and researc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6-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7-0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체육과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4 0.781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