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江都志』와 『重訂南漢志』에 수록된 병자호란 관련 기록의 특징과 성격 등을 고찰한 연구이다. 李衡祥은 강화도의 인문지리 정보를 집대성하는 한편, 保障處로서 강화도의 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江都志』와 『重訂南漢志』에 수록된 병자호란 관련 기록의 특징과 성격 등을 고찰한 연구이다. 李衡祥은 강화도의 인문지리 정보를 집대성하는 한편, 保障處로서 강화도의 군...
이 논문은 『江都志』와 『重訂南漢志』에 수록된 병자호란 관련 기록의 특징과 성격 등을 고찰한 연구이다. 李衡祥은 강화도의 인문지리 정보를 집대성하는 한편, 保障處로서 강화도의 군사적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강도지』를 저술하였다. 따라서, 군사나 재정 등에 관한 내용이 매우 풍부하다. 그는 미 버클리대 소장본 계열의 『江都錄』을 典據資料로 활용하여 『강도지』의 병자호란 관련 기록을 정리하였다. 金瑬․金慶徵 부자에 대한 평가는 당시 척화론자들의 일반적인 인식을 따랐다. 다른 관련 기록들에 비해, 『강도지』에는 강화도 함락 전후의 戰況과 殉節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담겨 있다. 왕실 관련 인사들의 비난받을 만한 행적은 상세히 기록되지 않았다. 이형상이 제안한 강화도 守禦策의 일부는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아이디어 차원에 불과한 것이었다.
洪敬謨는 본인의 역사지리적 관심, 廣州 留守로서의 재임 경험을 계기로 하여 『남한중정지』를 편찬하였다. 병자호란 관련 기록이 집중 수록된 「城史」 항목은 『燃藜室記述』과 그 인용 사료를 典據資料로써 활용하여 재구성하였다. 「城史」는 남한산성이란 무대를 중심으로 벌어진 병자호란의 여러 사건을 상세히 조망하였다. 그러나, 다른 관찬 사료와는 달리 朝廷의 상세한 논의와 대응, 朝․淸 간의 교섭 내용 등은 대폭 생략하였다. 반면, 농성군의 전투 상황, 성 안팎의 정황, 인조의 愛民 행적 등은 가능한 풍부하게 서술하였다. 김류와 주화파 인물에 대해서는 다른 병자호란 관련 기록과 마찬가지로 부정적 평가를 내렸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유승, "홍경모의 생애와 저술-『관암전서(冠巖全書)』를 중심으로-" 문헌과 해석사 52 : 2010
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3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4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연구" 일지사 2010
5 김문식, "조선후기 국왕의 南漢山城 행차" 조선시대사학회 (60) : 105-138, 2012
6 우경섭, "조선중화주의의 성립과 동아시아" 유니스토리 2013
7 양보경, "조선시대 읍지의 체재와 특징" 강남대학교 4 : 1997
8 이종필, "조선 중기의 전쟁과 고소설의 기억" 소명출판 2017
9 계승범, "정지된 시간: 조선의 대보단과 근대의 문턱"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1
10 구지현, "이형상의 일본지리지 『동이산략(東耳散略)』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4) : 5-30, 2015
1 장유승, "홍경모의 생애와 저술-『관암전서(冠巖全書)』를 중심으로-" 문헌과 해석사 52 : 2010
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3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4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연구" 일지사 2010
5 김문식, "조선후기 국왕의 南漢山城 행차" 조선시대사학회 (60) : 105-138, 2012
6 우경섭, "조선중화주의의 성립과 동아시아" 유니스토리 2013
7 양보경, "조선시대 읍지의 체재와 특징" 강남대학교 4 : 1997
8 이종필, "조선 중기의 전쟁과 고소설의 기억" 소명출판 2017
9 계승범, "정지된 시간: 조선의 대보단과 근대의 문턱"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1
10 구지현, "이형상의 일본지리지 『동이산략(東耳散略)』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4) : 5-30, 2015
11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 지리지종합정보"
12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 "서사문학의 시대와 그 운명: 17세기 소설사" 소명출판 2013
13 김남일, "병자호란 시기 『승정원일기』의 전거 자료 『南漢日記』 연구 - 개수본 『승정원일기』와 『남한일기』・이도장의 『승정원일기』의 비교 -" 한국사학사학회 (32) : 247-292, 2015
14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DB"
15 강석화, "관암 홍경모와 19세기 학술사" 경인문화사 2011
16 이창숙, "관암 홍경모와 19세기 학술사" 경인문화사 2011
17 이종묵, "관암 홍경모와 19세기 학술사" 경인문화사 2011
18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19 池敎憲, "韓國思想家의 새로운 發見"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20 金容傑, "韓國思想家의 새로운 發見"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21 洪敬謨, "重訂南漢志" 廣州市 廣州文化院 1990
22 李衡祥, "譯註 江都志 전2권"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2015
23 權寧徹, "甁窩李衡祥硏究" 韓國硏究院 1978
24 李衡祥, "甁窩全書 전10권"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
25 오세운, "甁窩全書 江都志 解題"
26 박민철, "甁窩 李衡祥의 著述과 家藏 文獻의 書誌的 分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27 이군선, "洪敬謨 「羅德憲傳」 分析" 동방한문학회 (45) : 33-56, 2010
28 李星齡, "春坡堂日月錄"
29 石之珩, "南漢日記"
30 南礏, "南漢日記" 보고사 2012
31 서인원, "冠巖 洪敬謨의 歷史・地理 認識"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4) : 250-277, 2010
32 허태구, "仁祖代 對後金(對淸) 방어책의 추진과 한계 - 守城 전술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61) : 79-114, 2012
33 羅萬甲, "丙子錄" 韓國自由敎養推進會 1985
34 柳承宙, "丙子胡亂의 戰況과 金化戰鬪 一考" 고려대학교 사학회 55 : 2002
35 柳在城, "丙子胡亂史"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6
36 허태구, "丙子胡亂 이해의 새로운 시각과 전망- 胡亂期 斥和論의 성격과 그에 대한 맥락적 이해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7) : 163-200, 2015
37 허태구, "丙子胡亂 江華島 함락의 원인과 책임자 처벌 - 金慶徵 패전책임론의 재검토를 중심으로 -" 진단학회 (113) : 99-128, 2011
38 손성필, "『북새기략』의 편찬 경위와 편찬자 문제" 한국고전번역원 43 : 301-333, 2014
39 이상규, "『四夷總說』 해설"
40 李敏雄, "18세기 강화도 수비체제의 강화"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41 노영구, "17~18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조선의 도성 수비체제 이해의 방향" 조선시대사학회 (71) : 225-247, 2014
42 양보경, "16-17世紀 邑誌의 編纂背景과 그 性格" 대한지리학회 27 : 1983
43 李衡祥, "(國譯) 甁窩集 전3권"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0
『園幸乙卯整理儀軌』 圖式, 그림으로 전하는 효과와 전략
19세기 전라감영의 재정상황과 부담전가의 양상: 규장각 소장 全羅監營 재정자료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6-05-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5 | 1.856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