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안 연구 : 제주 곶자왈을 대상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73170

      • 저자
      • 발행사항

        제주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 , 2016. 8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5.1

      • 발행국(도시)

        제주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Project Approach-applie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eaching Methods: Focused on Jeju Gotjawal

      • 형태사항

        v, 61 p. : 삽도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박성진
        참고문헌 : p.58-59

      • 소장기관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미술교육은 현재 우리의 삶과 분리된 학문이 아니라 인간의 삶 속에서 역동적
      으로 살아 숨 쉬며 균형 잡힌 전인적 인격형성에 영향을 주는 통합적 생명활동
      의 하나로써 의미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
      하는 미술교육방법의 하나로써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연계하여 제주 곶자왈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미술교육 지도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제주 곶자왈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유아 미술 교육의 효
      율적인 지도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미술수업에 효율적으로 다가가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과정으로 먼저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해를 위해 프로젝트 접근
      법의 개념과 특성, 교수 방법, 교육적 의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유아의 발달
      단계, 미술표현의 특징에 따라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
      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제주의 자연환경에 대해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접근법을 누리과정에 지역화 내용으로 재구성하고 이에 따
      라 지도함으로써 유아 자신이 사는 지역의 자연과 문화를 아름답게 볼 수 있는
      감수성과 그에 대한 주체적인 표현능력을 키울 수 있는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안
      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하는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서로의 작품에 주목하여 개별성과 차이를 인정
      하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둘째, 유아들이 자신이 사는 지역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끌게 되고 더 나아가
      자신의 고장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질 수 있다.
      셋째, 하나의 주제에 대하여 일회성 교육이 아닌 다양하고 깊이 있는 미술 활
      동을 통해 미술의 모든 영역에 대한 유아의 표현 능력을 이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주제 중심, 교사중심의
      수업이 아닌 학생과 교사가 함께 수업을 진행하고, 한 가지 주제를 깊이 있고 다
      양하게 접근해보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유아들이 창의적 표
      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미술교육방법과의 비교 연구가 아니라 다양한 미술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중 유아들이 미술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느끼고 주체적으로
      미술수업에 참여하면서 프로젝트 접근법이 적합하며, 흥미롭고 의미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에 긍정적인 의의를 두었다.
      번역하기

      미술교육은 현재 우리의 삶과 분리된 학문이 아니라 인간의 삶 속에서 역동적 으로 살아 숨 쉬며 균형 잡힌 전인적 인격형성에 영향을 주는 통합적 생명활동 의 하나로써 의미를 확대해 나...

      미술교육은 현재 우리의 삶과 분리된 학문이 아니라 인간의 삶 속에서 역동적
      으로 살아 숨 쉬며 균형 잡힌 전인적 인격형성에 영향을 주는 통합적 생명활동
      의 하나로써 의미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
      하는 미술교육방법의 하나로써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연계하여 제주 곶자왈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미술교육 지도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제주 곶자왈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유아 미술 교육의 효
      율적인 지도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미술수업에 효율적으로 다가가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과정으로 먼저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해를 위해 프로젝트 접근
      법의 개념과 특성, 교수 방법, 교육적 의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유아의 발달
      단계, 미술표현의 특징에 따라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
      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제주의 자연환경에 대해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접근법을 누리과정에 지역화 내용으로 재구성하고 이에 따
      라 지도함으로써 유아 자신이 사는 지역의 자연과 문화를 아름답게 볼 수 있는
      감수성과 그에 대한 주체적인 표현능력을 키울 수 있는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안
      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하는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서로의 작품에 주목하여 개별성과 차이를 인정
      하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둘째, 유아들이 자신이 사는 지역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끌게 되고 더 나아가
      자신의 고장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질 수 있다.
      셋째, 하나의 주제에 대하여 일회성 교육이 아닌 다양하고 깊이 있는 미술 활
      동을 통해 미술의 모든 영역에 대한 유아의 표현 능력을 이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주제 중심, 교사중심의
      수업이 아닌 학생과 교사가 함께 수업을 진행하고, 한 가지 주제를 깊이 있고 다
      양하게 접근해보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유아들이 창의적 표
      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미술교육방법과의 비교 연구가 아니라 다양한 미술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중 유아들이 미술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느끼고 주체적으로
      미술수업에 참여하면서 프로젝트 접근법이 적합하며, 흥미롭고 의미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에 긍정적인 의의를 두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Not as learning separated from out life, art education is currently expanding its
      meaning as one of integrated activities of live affecting formation of balanced holistic
      personality drawing breath in human life. As one of art education methods coping
      actively with such changes and flow, this study looked for project approach-applie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eaching methods focusing on Jeju Gotjawal by
      connecting with Nuri curriculum.
      This study aimed to prepare grounds for the necessity of teaching of project
      approach-applied art education at kindergartens, and access art class effectively by
      concretely suggest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rough consideration of Jeju Gotjawal.
      As research processes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first examined focusing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roject
      approach for understanding project approach, and suggested a direction for project
      approach-applie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young children and characteristics of art expression.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researche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eaching
      methods enabling young children to develop sensitivity and independent expressivity
      capable of looking at the nature and culture of the region they live by reconstituting
      project approach suited to localized contents of Nuri curriculum and teaching you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 aforementioned to enable young children to learn
      natural environment of Jeju in a natural way.
      Educational effects expect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interactions may occur in the course of accepting and sharing
      individuality and difference by paying attention to each other’s work while project is
      being carried out.
      Second, young children become to have interest and concern for the region they
      live, and furthermore, they will be able to have pride and self-esteem about one’s
      region.
      Third, project approach-applied art education can lead young children’s expressivity
      for all areas of art through various and in-depth art activities, not as one-time
      education for a single subject.
      In conclusion, study results show that project approach-applied art class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 proceed with class together and access a single subject in a
      more in-depth and various way, not subject or teacher-centered classes that are
      commonly conducted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has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This study is not a comparative study with existing methods of art education and
      gives a positive signification to the fact that project approach is one of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art education which is suitable and can become an
      interesting and meaningful teaching·learning method for young children to participate
      in art class initiatively with interest and confidence in art.
      번역하기

      Not as learning separated from out life, art education is currently expanding its meaning as one of integrated activities of live affecting formation of balanced holistic personality drawing breath in human life. As one of art education methods coping...

      Not as learning separated from out life, art education is currently expanding its
      meaning as one of integrated activities of live affecting formation of balanced holistic
      personality drawing breath in human life. As one of art education methods coping
      actively with such changes and flow, this study looked for project approach-applie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eaching methods focusing on Jeju Gotjawal by
      connecting with Nuri curriculum.
      This study aimed to prepare grounds for the necessity of teaching of project
      approach-applied art education at kindergartens, and access art class effectively by
      concretely suggest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rough consideration of Jeju Gotjawal.
      As research processes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first examined focusing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roject
      approach for understanding project approach, and suggested a direction for project
      approach-applie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young children and characteristics of art expression.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researche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eaching
      methods enabling young children to develop sensitivity and independent expressivity
      capable of looking at the nature and culture of the region they live by reconstituting
      project approach suited to localized contents of Nuri curriculum and teaching you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 aforementioned to enable young children to learn
      natural environment of Jeju in a natural way.
      Educational effects expect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interactions may occur in the course of accepting and sharing
      individuality and difference by paying attention to each other’s work while project is
      being carried out.
      Second, young children become to have interest and concern for the region they
      live, and furthermore, they will be able to have pride and self-esteem about one’s
      region.
      Third, project approach-applied art education can lead young children’s expressivity
      for all areas of art through various and in-depth art activities, not as one-time
      education for a single subject.
      In conclusion, study results show that project approach-applied art class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 proceed with class together and access a single subject in a
      more in-depth and various way, not subject or teacher-centered classes that are
      commonly conducted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has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This study is not a comparative study with existing methods of art education and
      gives a positive signification to the fact that project approach is one of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art education which is suitable and can become an
      interesting and meaningful teaching·learning method for young children to participate
      in art class initiatively with interest and confidence in a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ⅰ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 Ⅱ. 이론적 배경 3
      • 국문초록 ⅰ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 Ⅱ. 이론적 배경 3
      • 1. 유아 미술교육 3
      • 2. 유아의 미술표현 6
      • 3. 프로젝트 접근법 10
      • Ⅲ.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유아 미술교육 지도방안의 실제 14
      • 1. 곶자왈 프로젝트 준비단계 14
      • 2. 곶자왈 프로젝트 시작단계 25
      • 3. 곶자왈 프로젝트 전개단계 27
      • 4. 곶자왈 프로젝트 마무리단계 47
      • 5. 곶자왈 프로젝트 평가단계 51
      • 6. 곶자왈 프로젝트 평가 결과 및 분석 54
      • Ⅳ. 결론 및 제언 56
      • 참고문헌 58
      • ABSTRACT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