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무용지도자의 교육목적과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Purposes and Roles of Elderly Dance Instru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936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bjectives of elderly dance education and the role of instructors as perceived by elderly dance instructors based on their field experiences. To do this, 12 participants with at least 3 years of experienc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bjectives of elderly dance education and the role of instructors as perceived by elderly dance instructors based on their field experiences. To do this, 12 participants with at least 3 years of experience in elderly dance education and currently working as elderly dance instructors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ssessment using open-end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oustakas (1994)'s phenomenological analysis procedure to derive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ly, an analysis of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perceived by elderly dance instructors revealed 33 meaning units, 7 themes, and 3 essential themes. The essential themes derived from the study were 'happy and enjoyable dance education,' 'dance education for self-actualization and self-expression,' and 'dance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Secondly, the analysis of the main focus of the instructor's role perceived by elderly dance instructors resulted in 25 meaning units, 7 themes, and 3 essential themes. The derived themes were 'creative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learners' characteristics,' 'close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 learners,' and 'inclusive attitude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difficult situ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useful information for prospective dance instructors and elderly facility workers who want to work in the field of elderly dance education, and as meaningful data for exploring ways to activate elderly dance education in the future super-aged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노인무용지도자가 현장 경험을 토대로 인식하고 있는 노인무용교육의 목적과 지도자 역할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은 3년 이상 노인무용...

      이 연구는 노인무용지도자가 현장 경험을 토대로 인식하고 있는 노인무용교육의 목적과 지도자 역할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은 3년 이상 노인무용교육 경험이 있고 현재 노인무용지도자로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12명을 선정하였고, 개방형 설문을 통한 자기평가 기입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oustakas(1994)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를 참고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 첫째, 노인무용지도자가 인식하는 무용교육의 목적에 대해 분석하여 33개의 의미 단위, 7개의 주제, 3개의 본질적인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에서 도출된 본질적 주제는 ‘행복하고 즐거운 무용교육’, ‘자아실현과 자기표현을 위한 무용교육’, ‘삶의 질을 높이는 무용교육’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무용지도자가 인식하는 지도자 역할의 주안점에 대한 분석 결과, 25개의 의미 단위, 7개의 주제와 3개의 본질적인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창의적 교수법’, ‘학습자와의 친밀한 관계와 소통능력’, ‘포용적인 태도와 문제상황 대응력’으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노인무용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예비 무용지도자들과 노인시설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향후 초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무용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