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인의 특성이 스마트 디바이스 이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정보격차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Use Outcomes of Smart Devic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45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mobile divi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use outcomes of smart devic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for periods from May 12, 2017, to May 17, 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mobile divi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use outcomes of smart devic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for periods from May 12, 2017, to May 17, 2017.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collected data, self-efficacy, information seeking desire and culture capita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se outcomes of smart device.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mobile divide, w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calculating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obile litera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mobile literacy has nega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self-efficacy and the use outcomes of smart de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nterpreted as the higher the self-efficacy and information desire for ICT technology users are. In addit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mart device is convenient in the cultural activities of individuals, and therefore, it is highly utilized. Next, among those who have excellent mobile use ability, those who have high confidence in ICT technology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low utilization because they recognize that the benefits provided by smart devices are familiar and natur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digital divide problem in the smart environment is influenc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demographic variables. Therefore, we expect the government to set appropriate polic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 2. 선행연구
      • 3. 연구 설계 및 방법
      • 4. 연구결과
      • 5. 결 론
      • 1. 서 론
      • 2. 선행연구
      • 3. 연구 설계 및 방법
      • 4. 연구결과
      • 5. 결 론
      • References
      • About the Auth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수정, "콜센터에서 정보기술과 고객지식을 이용한 고객서비스 프로세스 향상 : 컴퓨터 자기효능감의 조절역할" 한국IT서비스학회 16 (16): 185-203, 2017

      2 박해광, "정보격차의 새로운 경향" 비판사회학회 59 : 4-102, 2003

      3 김문조,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회 36 (36): 123-155, 2002

      4 김구, "정보격차 진단을 위한 평가모형 및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4 (24): 79-114, 2014

      5 윤석민, "이동전화격차(Mobile Phone Divide)" 한국언론학회 48 (48): 354-374, 2004

      6 김은정, "우리나라 정보격차실태와 정책적 함의: 2007년도 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1 (11): 75-101, 2008

      7 차민경, "온라인 미디어 시대의 관객개발을 위한 문화자본, 정보자본, 사회자본의 활용 전략 연구 - 앙상블 디토 관객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경제학회 18 (18): 99-129, 2015

      8 강월석, "스마트폰 정보 활용과 이용성과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3 (33): 199-214, 2013

      9 강응구, "스마트폰 이용동기와 활용능력이 스마트패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11 (11): 1-23, 2012

      10 신혜원,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정보격차 유형과 해소방안에 대한 규범적 검토" 미국헌법학회 25 (25): 171-203, 2014

      1 최수정, "콜센터에서 정보기술과 고객지식을 이용한 고객서비스 프로세스 향상 : 컴퓨터 자기효능감의 조절역할" 한국IT서비스학회 16 (16): 185-203, 2017

      2 박해광, "정보격차의 새로운 경향" 비판사회학회 59 : 4-102, 2003

      3 김문조,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회 36 (36): 123-155, 2002

      4 김구, "정보격차 진단을 위한 평가모형 및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4 (24): 79-114, 2014

      5 윤석민, "이동전화격차(Mobile Phone Divide)" 한국언론학회 48 (48): 354-374, 2004

      6 김은정, "우리나라 정보격차실태와 정책적 함의: 2007년도 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1 (11): 75-101, 2008

      7 차민경, "온라인 미디어 시대의 관객개발을 위한 문화자본, 정보자본, 사회자본의 활용 전략 연구 - 앙상블 디토 관객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경제학회 18 (18): 99-129, 2015

      8 강월석, "스마트폰 정보 활용과 이용성과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3 (33): 199-214, 2013

      9 강응구, "스마트폰 이용동기와 활용능력이 스마트패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11 (11): 1-23, 2012

      10 신혜원,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정보격차 유형과 해소방안에 대한 규범적 검토" 미국헌법학회 25 (25): 171-203, 2014

      11 이원태,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참여격차의 개념화와 정책과제" 21세기정치학회 23 (23): 371-396, 2013

      12 이승민, "사회자본과 정보격차의 사회적 함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8 (38): 37-58, 2007

      13 고삼석, "디지털 전환에 따른 방송에서의 정보격차에 대한 연구: 접근격차, 이용격차, 성과격차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5 (25): 46-91, 2011

      14 이호영, "디지털 시대의 문화자본과 불평등"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3) : 69-95, 2010

      15 OECD,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 OECD 2001

      16 Jung, G.G., "The Solution Plan of Digital Divide According to Digital Broadcasting Switchover" KADO 2008

      17 Putnam, R. D., "The Prosperous Community" 4 (4): 35-42, 1993

      18 Correa, T., "The Participation Divide among “Online Experts” : Experience, Skills and Psychological Factors as Predictors of Collegestudents’Web Content Creation" 16 (16): 71-92, 2010

      19 Doong, S.H., "The Impact of ICT Development on the Global Digital Divide" 11 (11): 518-533, 2012

      20 Bourdieu, P., "The Forms of Capital(1986)" 81-93, 1986

      21 Lee, Y.H.,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Inner and Outer States of ICT on Engagement in Online Reading Activities and PISA 2009 Reading Literac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and New Reading Literacy" 22 (22): 336-342, 2012

      22 Broos, A., "The Digital Divide in the Playstation Generation :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ICT Adoption Among Adolescents" 34 (34): 306-317, 2006

      23 OECD, "The Digital Divide : Enhancing Access to ICTs"

      24 Dewan, S., "The Digital Divide : Curren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6 (6): 13-, 2005

      25 KISA,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2017

      26 Lim, G.G., "Social Damage Cost Estimation Model for Mobile Digital Divide" 95 (95): 6268-6277, 2017

      27 Coleman, J.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94 : S95-S120, 1988

      28 Yoo, S.C., "Social Capital and Korean Society" 8 : 87-125, 2002

      29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 1977

      30 Selwyn, N., "Reconsidering Political and Popular Understandings of The Digital Divide" 6 (6): 341-362, 2004

      31 허균, "PISA 2009에서 ICT 활용능력과 학습목적 컴퓨터 사용 영향요인에 대한 다층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 (16): 51-61, 2013

      32 Han, S. E., "Orientation and Challenges of the Digital Divide Solution Policy : Balance and Integration" 237-251, 2006

      33 Atkin, C. K., "News Media Exposure, Political Knowledge and Campaign Interest" 53 (53): 231-237, 1976

      34 Park, S.H., "New Issues in the Smart Age : New Information Gaps in the Smart Age ‘Mobile Divide’" 68 : 12-15, 2011

      35 Thompson, L. F., "Motivating Online Performance The Influences of Goal Setting and Internet selfefficacy" 20 (20): 149-160, 2002

      36 Eastin, M.S., "Internet Self-Efficacy and The Psychology of The Digital Divide" 6 (6): 2000

      37 이혜정, "IT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팀 내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 한국IT서비스학회 10 (10): 133-147, 2011

      38 DiMaggio, P., "From Unequal access to Differentiated Use : A Literature Review and Agenda for Research on Digital Inequality" 355-400, 2004

      39 Rice, R.E., "Comparing Internet and Mobile Phone Usage : Digital Divides of Usage, Adoption, and Dropouts" 27 (27): 597-623, 2003

      40 Zeng, 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the Second-level Digital Divide : An Empirical Analysis" 7 (7): 42-, 2011

      41 Lam, J., "Bridging the Digital Divide-The Roles of Internet Self-efficacy towards Learning Computer and the Internet Among elderly in Hong Kong, China" 2005

      42 Farlie, R.W., "Are We Really a Nation Online? :Ethnic and Racial Disparities in Access to Technology and Their Consequences" 2005

      43 전우천,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Web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5 (15): 81-89, 2014

      44 Seol J.H., "A Study on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apital on Use Outcome of Smart Device" 614-616, 2017

      45 Son, K.A., "A Path Analysis of PC Digital Divide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19 (19): 135-162, 2001

      46 NIA, "2014 Information Gap Index and Survey"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5-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8-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SI학회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System Integrati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KCI등재후보
      2006-08-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SI학회 -> 한국IT서비스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System Integration ->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KCI등재후보
      2006-06-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SI학회 -> 한국IT서비스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System Integration ->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627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