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원시 도시하천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포와 생물학적 환경평가 = Community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Its Biological-Environmental Assessments in Urban Streams of Changwo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014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study contains that the community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its biological-environmental assessments in urban streams(Gaeumjeongcheon stream, Bansongcheon stream) of Changwon city. During the period of study, 3 phyla, 5 classes, 11 orders, 27 families, 38 species 1,703 individual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In consecutive order, the species composition is Non-insecta, Ephemeroptera, Odonata, Diptera, Hemiptera, Trichoptera. In Gaeumjeongcheon stream, Asellus hilgendorfii Bovalius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as 18.56% whereas chironomidae sp. was as 32.84% in Bansongcheon stream. Overall biotic indices including diversity, richness, evenness index show higher in Gaeumjeongcheon stream except for dominance index. As a result of biological environmental evaluation and cluster analysis, water quality class of Gaeumjeongcheon stream is Ⅲ, Ⅳ overall when Bansongcheon stream is Ⅴ. Also, the two stream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groups, which is because of numerous factors such as external disturbances.
      번역하기

      The study contains that the community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its biological-environmental assessments in urban streams(Gaeumjeongcheon stream, Bansongcheon stream) of Changwon city. During the period of study, 3 phyla, 5 classe...

      The study contains that the community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its biological-environmental assessments in urban streams(Gaeumjeongcheon stream, Bansongcheon stream) of Changwon city. During the period of study, 3 phyla, 5 classes, 11 orders, 27 families, 38 species 1,703 individual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In consecutive order, the species composition is Non-insecta, Ephemeroptera, Odonata, Diptera, Hemiptera, Trichoptera. In Gaeumjeongcheon stream, Asellus hilgendorfii Bovalius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as 18.56% whereas chironomidae sp. was as 32.84% in Bansongcheon stream. Overall biotic indices including diversity, richness, evenness index show higher in Gaeumjeongcheon stream except for dominance index. As a result of biological environmental evaluation and cluster analysis, water quality class of Gaeumjeongcheon stream is Ⅲ, Ⅳ overall when Bansongcheon stream is Ⅴ. Also, the two stream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groups, which is because of numerous factors such as external disturban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에서는 창원시 도시하천(가음정천, 반송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포 조사 및 생물학적 환경평가를 하였다. 연구기간동안 조사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가음정천에서 총 3문 5강 11목 27과 38종 1,703개체이며 구성종은 비곤충류,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파리목, 노린재목, 날도래목의순이었다. 반송천에서는 총 3문 5강 9목 18과 23종 1,553개체이며 구성종은 비곤충류, 파리목,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노린재목, 날도래목 순이였다. 가음정천에는 물벌레(Asellus hilgendorfii Bovalius)가 18.56%로 전체적으로 우점하였고, 반송천에는 깔따구과 sp.(Chironomidae sp.)가 32.84%로 전체적으로 우점하였다. 생물지수는 우점도를 제외한 다양도, 풍부도, 균등도가 가음정천에서 더 높은 범위에 분포하였다. 생물학적 환경평가 결과, 가음정천은 전체적으로 수질등급 Ⅲ, Ⅳ등급 이었으며, 반송천은 수질등급 Ⅴ등급이었다. 유사도 분석결과, 두 하천이 서로 다른 그룹으로 묶였는데 이는 외부교란 등의 요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창원시 도시하천(가음정천, 반송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포 조사 및 생물학적 환경평가를 하였다. 연구기간동안 조사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가음정천에...

      본 연구에서는 창원시 도시하천(가음정천, 반송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포 조사 및 생물학적 환경평가를 하였다. 연구기간동안 조사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가음정천에서 총 3문 5강 11목 27과 38종 1,703개체이며 구성종은 비곤충류,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파리목, 노린재목, 날도래목의순이었다. 반송천에서는 총 3문 5강 9목 18과 23종 1,553개체이며 구성종은 비곤충류, 파리목,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노린재목, 날도래목 순이였다. 가음정천에는 물벌레(Asellus hilgendorfii Bovalius)가 18.56%로 전체적으로 우점하였고, 반송천에는 깔따구과 sp.(Chironomidae sp.)가 32.84%로 전체적으로 우점하였다. 생물지수는 우점도를 제외한 다양도, 풍부도, 균등도가 가음정천에서 더 높은 범위에 분포하였다. 생물학적 환경평가 결과, 가음정천은 전체적으로 수질등급 Ⅲ, Ⅳ등급 이었으며, 반송천은 수질등급 Ⅴ등급이었다. 유사도 분석결과, 두 하천이 서로 다른 그룹으로 묶였는데 이는 외부교란 등의 요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정, "창원천∙남천에서 생태복원 전∙후의 생태건강도 비교평가" 한국하천호수학회 43 (43): 307-318, 2010

      2 김형곤, "지리산 주요 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포의 특성" 한국환경과학회 23 (23): 291-302, 2014

      3 김필재, "저수지를 포함한 도시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한국물환경학회 29 (29): 825-831, 2013

      4 손정원, "부산 대천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한국환경과학회 19 (19): 185-196, 2010

      5 이승원, "도심하천 복원 전·후의 생태적 특성 비교" 한국환경기술학회 15 (15): 255-262, 2014

      6 Hilsenhoff, W. L., "Using a biotic index to evaluate water quality in streams"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1982

      7 Shannon, C. E.,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v. Illinois press 1-144, 1949

      8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Check list of insects from Korea" Kon-Kuk University Press 5-744, 1994

      9 Hynes, H. B. N., "The Ecology of Running Waters" Univ. of Toronto 1970

      10 Margalef, R., "Temporal succession and spatial heterogenity in natural phytoplankton, In perspectives in marine biology" Univ. of California Press 323-349, 1958

      1 김현정, "창원천∙남천에서 생태복원 전∙후의 생태건강도 비교평가" 한국하천호수학회 43 (43): 307-318, 2010

      2 김형곤, "지리산 주요 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포의 특성" 한국환경과학회 23 (23): 291-302, 2014

      3 김필재, "저수지를 포함한 도시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한국물환경학회 29 (29): 825-831, 2013

      4 손정원, "부산 대천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한국환경과학회 19 (19): 185-196, 2010

      5 이승원, "도심하천 복원 전·후의 생태적 특성 비교" 한국환경기술학회 15 (15): 255-262, 2014

      6 Hilsenhoff, W. L., "Using a biotic index to evaluate water quality in streams"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1982

      7 Shannon, C. E.,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v. Illinois press 1-144, 1949

      8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Check list of insects from Korea" Kon-Kuk University Press 5-744, 1994

      9 Hynes, H. B. N., "The Ecology of Running Waters" Univ. of Toronto 1970

      10 Margalef, R., "Temporal succession and spatial heterogenity in natural phytoplankton, In perspectives in marine biology" Univ. of California Press 323-349, 1958

      11 Allan, J. D., "Stream ecology,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Chapman & Hall 2-388, 1995

      12 Pielou, E. C., "Species-diversity and pattern diversity in the study of ecological succession" 10 : 370-383, 1975

      13 McNaughton, S. J.,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nia grassland" 216 : 168-169, 1967

      14 Tittizer, T.,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biological methods of water analysis, Biological Indicators of Water Quality" John Wiley and Sons 4.1-4.21, 1979

      15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List of Animals in Korea (excluding insects)"

      16 Kwon, O. G.,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2" Min. Edu 2-446, 1990

      17 Yoon, I. B.,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0 (aquatic insects)" Min. Edu 7-840, 1988

      18 Lee, C. 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12" Min. Edu 386-448, 1971

      19 Wilhm, J. L., "Graphic and mathematical analysis of biotic communities in polluted stream" 17 : 223-252, 1972

      20 Bledsoe, B. P., "Effects of urbanization on channel instability" 37 : 225-270, 2001

      21 Hellawell, J. M., "Biological Indicators of Freshwater Pollu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Elsevier 546-, 1986

      22 Won, D. H., "Aquatic insects of Korea" Korea Ecosystem Service 1-415, 2005

      23 Kawai, T., "Aquatic insects of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27-1275, 2005

      24 Williams, D. D., "Aquatic insects" CBA International 2-358, 1992

      25 McCafferty, W. Patrick, "Aquatic entomology:the fisherman’s and ecologist’s illustrated guide to insects and their relatives" Science Books international 2-448, 1981

      26 Ward, J. V., "Aquatic Insect Ecology" John Wiley & Sons 438-, 1992

      27 Yoon, I. B., "A Revision of the taxonomy of Korean black-flies (Simuliidae: Diptera) I, The larval and pupal stages of subgenus Simulium" 15 : 35-64,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In Korea ->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KCI등재
      2017-10-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Technolog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7-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기술학회 -> 한국환경기술학회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7 0.24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