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음절 정보와 복수어 단위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형태소 분석 = Korean morphological analysis using syllable information and multi-word unit infor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3994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서울大學校 大學院 , 컴퓨터工學科 , 1993

      • 발행연도

        199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028.63 판사항(3)

      • DDC

        006.35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ii], 156p. : 삽도 ; 26cm .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 해당 논문은 저작자의 요청에 따라 [원문보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제지 = 0
      • 목차 = 0
      • 그림목차 = 0
      • 목차
      • 표제지 = 0
      • 목차 = 0
      • 그림목차 = 0
      • 표목차 = 0
      • 초록 = 0
      • 1. 서론 = 1
      • 1.1 연구 배경 = 3
      • 1.2 형태소 분석의 최근 동향 = 4
      • 1.3 연구 범위 및 논문 구성 = 12
      • 2. 형태소 분석 개요 = 16
      • 2.1 기본 개념 = 17
      • 2.2 형태소 분석의 문제점 = 18
      • 2.3 한국어의 특성 = 21
      • 2.3.1 한국어의 구조적 특성 = 22
      • 2.3.2 한국어의 단어 유형 = 24
      • 3. 문법 형태소와 불규칙 현상 = 25
      • 3.1 어미의 변이체와 결합 조건 = 25
      • 3.2 선어말 어미 = 29
      • 3.2.1 선어말 어미의 정의 = 30
      • 3.2.2 결합 제약 조건 = 32
      • 3.2.3 선어말 어미의 비결정성 = 37
      • 3.3 불규칙 현상 = 41
      • 3.3.1 불규칙 유형의 분류 = 44
      • 3.3.2 어간의 모양만 바뀌는 경우 = 45
      • 3.3.3 어미의 모양만 바뀌는 경우 = 46
      • 3.3.4 어간과 어미의 모양이 모두 바뀌는 경우 = 47
      • 4. 음절 단위 분석 = 49
      • 4.1 문법 형태소 = 50
      • 4.1.1 조사 분석 = 50
      • 4.1.2 어말 어미 분석 = 53
      • 4.1.3 선어말 어미 분석 = 54
      • 4.2 어휘 형태소 = 55
      • 4.2.1 규칙어에 관한 음절 정보 = 55
      • 4.2.2 불규칙 현상에 관한 음절 정보 = 61
      • 4.3 음절 정보의 이용 = 69
      • 4.3.1 음절 특성 함수 = 70
      • 4.3.2 음절 정보의 구성 = 72
      • 4.3.3 문법 형태소 분리 = 76
      • 4.3.4 음절 단위 형태소 분석 = 77
      • 5. 복수어 단위 분석 = 80
      • 5.1 복수어 단위 정보 = 81
      • 5.2 복수어 단위 형태소 분석 알고리즘 = 88
      • 5.2.1 형태소 분석 알고리즘 = 89
      • 5.2.2 어휘 모호성 해결 = 94
      • 5.2.3 알고리즘의 복잡도 = 99
      • 5.3 사전 미등록어 추정 = 104
      • 5.3.1 복합어와 전문 용어 = 104
      • 5.3.2 붙여쓰기가 허용되는 단어 = 105
      • 5.4 사전의 구성 = 107
      • 5.4.1 복수어 단위 정보 사전 = 108
      • 5.4.2 어휘 형태소와 문법 형태소 사전 = 108
      • 5.4.3 복합 명사 및 기분석 사전 = 114
      • 5.4.4 사전의 구조 및 탐색 방법 = 115
      • 6. 구현 및 실험 = 118
      • 6.1 형태소 분석기의 구조 = 119
      • 6.2 형태소 분석을 위한 자료구조 = 123
      • 6.3 전처리 = 127
      • 6.4 실험 결과 = 129
      • 6.5 비교 및 성능 평가 = 132
      • 7. 결론 = 135
      • 참고문헌 = 138
      • 부록 1. 한국어의 단어 유형 = 144
      • 부록 2. 형태소 분석을 위한 품사의 분류 = 145
      • 부록 3. 준말의 유형 분류 = 146
      • 부록 4. 형태소 분석의 예 = 148
      • 부록 5. 한국어 음절의 쓰임새에 따른 분류 = 151
      • 부록 6. 용언의 활용에 의해 생성되는 음절 = 154
      • 부록 7. 국어 사전의 표제어로 사용되는 음절 = 156
      • ABSTRACT = 157
      • 감사의 글 = 158
      • 글 = 1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