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ALT 기반 음성 웹 페이지의 자동 생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utomatic Generation of the Voice Web Page based on the SAL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558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음성처리기술, 전화기술 및 웹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를 결합하여 음성응용 프로그램을 웹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음성 브라우저가 등장하게 되었다. W3C 컨소시엄의 음성 브라우저 작업그룹에서는 음성 브라우저를 위한SIF(Speech Interface Framework)를 정의하였다. SIF의 한 구성요소인 대화처리기(Dialog Manager)는 대화스크립트 받아 그 내용에 따라 대화를 진행시킨다. 이 스크립트는 대화의 시나리오를 SALT(Speech Application Language Tags) 또는 VoiceXML(Voice 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의하여 기술된 문서이다.
      음성 브라우저가 등장함에 따라, 음성 대화 어플리케이션이 웹 환경에서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음성 웹 페이지는 SALT등으로 대화가 기술되어야한다. 기존 웹 페이지들은 음성 대화를 고려하지 않고 비쥬얼용으로 제작되었지만, 이들 웹 페이지에도 음성 대화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요소들이있다. 예를 들면 "회원가입 페이지" 에서 이름을 키보드 대신 음성으로 입력하여 처리하는 것이 더 편리한 인터페이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주얼용으로 제작된 WML 또는 HTML 웹 페이지로부터 대화처리가 가능한 요소들을 추출하고 해당대화를 SALT로 생성해내는 음성 웹 페이지의 자동 생성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음성 웹 페이지자동 생성기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1. WML과 HTML로 기술된 비주얼 웹 페이지에서 음성 대화로 처리 가능한 하이퍼링크 및 입력태그 요소를 추출한다.
      2. 추출된 요소정보를 이용하여 SALT로 음성 대화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3. 이 스크립트를 비주얼 웹 페이지에 삽입하여 음성 웹 페이지를 완성한다.
      4. WML로 기술된 문서를 WML+SALT로 기술된 문서로 변환하는 번역기를 개발하였다.
      5. HTML로 기술된 문서를 HTML+SALT로 기술된 문서로 변환하는 번역기를 개발하였다.
      6. 번역 결과 문서는 기존의 마우스, 키보드를 이용한 처리도 가능하고 음성 대화처리도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기존의 비주얼 웹 페이지를 음성 웹 페이지로 변환해주므로, 개발자는 기존에 개발된 비주얼 웹 페이지를 본 연구의 자동 생성기로 번역하도록 환경을 설정하기만 하면 되며, 사용자는 회원 가입이나 게시판 등 입력 박스가 있는 웹 페이지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하여 글을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 명령으로도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이 제약적인 모바일 환경에서 음성 대화로 웽 컨텐츠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번역하기

      음성처리기술, 전화기술 및 웹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를 결합하여 음성응용 프로그램을 웹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음성 브라우저가 등장하게 되었다. W3C 컨소시엄의 음성 브라우저 작업그...

      음성처리기술, 전화기술 및 웹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를 결합하여 음성응용 프로그램을 웹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음성 브라우저가 등장하게 되었다. W3C 컨소시엄의 음성 브라우저 작업그룹에서는 음성 브라우저를 위한SIF(Speech Interface Framework)를 정의하였다. SIF의 한 구성요소인 대화처리기(Dialog Manager)는 대화스크립트 받아 그 내용에 따라 대화를 진행시킨다. 이 스크립트는 대화의 시나리오를 SALT(Speech Application Language Tags) 또는 VoiceXML(Voice 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의하여 기술된 문서이다.
      음성 브라우저가 등장함에 따라, 음성 대화 어플리케이션이 웹 환경에서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음성 웹 페이지는 SALT등으로 대화가 기술되어야한다. 기존 웹 페이지들은 음성 대화를 고려하지 않고 비쥬얼용으로 제작되었지만, 이들 웹 페이지에도 음성 대화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요소들이있다. 예를 들면 "회원가입 페이지" 에서 이름을 키보드 대신 음성으로 입력하여 처리하는 것이 더 편리한 인터페이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주얼용으로 제작된 WML 또는 HTML 웹 페이지로부터 대화처리가 가능한 요소들을 추출하고 해당대화를 SALT로 생성해내는 음성 웹 페이지의 자동 생성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음성 웹 페이지자동 생성기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1. WML과 HTML로 기술된 비주얼 웹 페이지에서 음성 대화로 처리 가능한 하이퍼링크 및 입력태그 요소를 추출한다.
      2. 추출된 요소정보를 이용하여 SALT로 음성 대화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3. 이 스크립트를 비주얼 웹 페이지에 삽입하여 음성 웹 페이지를 완성한다.
      4. WML로 기술된 문서를 WML+SALT로 기술된 문서로 변환하는 번역기를 개발하였다.
      5. HTML로 기술된 문서를 HTML+SALT로 기술된 문서로 변환하는 번역기를 개발하였다.
      6. 번역 결과 문서는 기존의 마우스, 키보드를 이용한 처리도 가능하고 음성 대화처리도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기존의 비주얼 웹 페이지를 음성 웹 페이지로 변환해주므로, 개발자는 기존에 개발된 비주얼 웹 페이지를 본 연구의 자동 생성기로 번역하도록 환경을 설정하기만 하면 되며, 사용자는 회원 가입이나 게시판 등 입력 박스가 있는 웹 페이지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하여 글을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 명령으로도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이 제약적인 모바일 환경에서 음성 대화로 웽 컨텐츠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echnologies such as speech, telephony, and web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respectively and attempted to be converged into the voice browser. The voice browser is a web browser that provides an interactive voice user interface on the web environment.
      W3C consortium's Voice Working Group defined SIF(Speech Interface Framework) for the voice browser. Dialog manager is one of the components of SIF. The manager accepts a dialog script from the web and causes the dialog to be proceed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at script. The script is a kind of dialog scenario to complete a task andis specified by using SALT(Speech Application Language Tags) or VoiceXML(Voice eXtensible Markup Language).
      As voice browser has been developed, the voice applications are available on the web environment. The voice application has a dialog script. There are lots of web pages that has been generated for visual usage. However, they have potential capacities for dialog. In case of the name field in the member-registration page of any web site, it might be more convenient interface for name field to be filled using voice utterance than to be typed using key boar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an automatic generation method of voice web page based on the SALT as follows: 1)It extracts components such as hyper-links and input tags in the visual web pages. Those components are potential capacities for voice dialog. 2)It generates dialog scripts specified using SALT from the extracted components. 3) These scripts are added in the original visual web page that is called voice web page. 4)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wo translators. One is the translator that generates documents specified using SALT and WML from the WML documents. The other is the translator that generates documents specified using SALT and HTML from the HTML documents. 5) The translators are designed as being handled by not only voice dialog but also key board or mouse.
      This translators have the function that translates automatically visual web pages into voice web pages. Therefore, the web developers need only to install this translator without any extra efforts such as the regeneration of voice versions of visual web pages and to the users, the translated voice web pages provides convenient interactive voice interface.
      번역하기

      The technologies such as speech, telephony, and web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respectively and attempted to be converged into the voice browser. The voice browser is a web browser that provides an interactive voice user interface on the web env...

      The technologies such as speech, telephony, and web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respectively and attempted to be converged into the voice browser. The voice browser is a web browser that provides an interactive voice user interface on the web environment.
      W3C consortium's Voice Working Group defined SIF(Speech Interface Framework) for the voice browser. Dialog manager is one of the components of SIF. The manager accepts a dialog script from the web and causes the dialog to be proceed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at script. The script is a kind of dialog scenario to complete a task andis specified by using SALT(Speech Application Language Tags) or VoiceXML(Voice eXtensible Markup Language).
      As voice browser has been developed, the voice applications are available on the web environment. The voice application has a dialog script. There are lots of web pages that has been generated for visual usage. However, they have potential capacities for dialog. In case of the name field in the member-registration page of any web site, it might be more convenient interface for name field to be filled using voice utterance than to be typed using key boar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an automatic generation method of voice web page based on the SALT as follows: 1)It extracts components such as hyper-links and input tags in the visual web pages. Those components are potential capacities for voice dialog. 2)It generates dialog scripts specified using SALT from the extracted components. 3) These scripts are added in the original visual web page that is called voice web page. 4)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wo translators. One is the translator that generates documents specified using SALT and WML from the WML documents. The other is the translator that generates documents specified using SALT and HTML from the HTML documents. 5) The translators are designed as being handled by not only voice dialog but also key board or mouse.
      This translators have the function that translates automatically visual web pages into voice web pages. Therefore, the web developers need only to install this translator without any extra efforts such as the regeneration of voice versions of visual web pages and to the users, the translated voice web pages provides convenient interactive voice interf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0
      • 표목차 = i
      • 그림목차 = ii
      • 국문요약 = 0
      • Ⅰ. 서론 = 1
      • 목차 = 0
      • 표목차 = i
      • 그림목차 = ii
      • 국문요약 = 0
      • Ⅰ. 서론 =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1.2. 연구 내용 = 4
      • 1.3. 논문 구성 = 6
      • Ⅱ. 관련 기술 및 연구 = 7
      • 2.1.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 = 7
      • 2.1.1. VoiceXML 기반의 음성 인터페이스 구조 = 8
      • 2.1.2. SALT 기반의 음성 인터페이스 구조 = 11
      • 2.1.3.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징 = 14
      • 2.1.4.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화 분류 = 15
      • 2.1.5.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Multimodal Interface) = 19
      • 2.2. 웹 페이지 기술 언어 = 21
      • 2.2.1. WML(Wireless Markup Language) 언어 = 21
      • 2.2.2.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언어 = 24
      • 2.2.3. SALT(Speech Application Language Tags) 언어 = 25
      • Ⅲ. 음성 웹 페이지의 자동 생성기 설계 = 27
      • 3.1. 비주얼 웹 페이지와 음성 웹 페이지 특징 = 28
      • 3.2. 비주얼 웹 페이지로부터 음성 웹 페이지로 변환과정 = 34
      • 3.3. 음성 대화 분류에 의한 설계 방법 = 41
      • 3.3.1. 양식 채우기 대화 방식 = 42
      • 3.3.2. 메뉴 선택 대화 방식 = 48
      • 3.4. HTML+SALT 음성 웹 페이지의 자동 생성기 설계 = 53
      • 3.4.1. 단순 문법을 이용한 설계 방법 = 53
      • 3.4.2. 오류 복구 기능을 이용한 설계 방법 = 62
      • 3.5. WML+SALT 음성 웹 페이지의 자동 생성기 설계 = 68
      • 3.5.1. 단순 문법을 이용한 설계 방법 = 68
      • 3.5.2. 오류 복구 기능을 이용한 설계 방법 = 72
      • Ⅳ. 음성 웹 페이지 자동 생성기 구현 = 77
      • 4.1. 음성 웹 페이지의 자동 생성기 구조 = 77
      • 4.2. HTML+SALT 음성 웹 페이지의 자동 생성기 구현 = 78
      • 4.2.1. HTML+SALT 어휘 분석기 = 79
      • 4.2.2. HTML+SALT 구문 분석기 = 84
      • 4.2.3. HTML+SALT 코드 생성 = 91
      • 4.3. WML+SALT 음성 웹 페이지의 자동 생성기 구현 = 96
      • 4.3.1. WML+SALT 어휘 분석기 = 96
      • 4.3.2. WML+SALT 구문 분석기 = 100
      • 4.3.3. WML+SALT 코드 생성 = 104
      • Ⅴ. 실험 및 결과 = 105
      • 5.1. 실험 환경 및 절차 = 105
      • 5.2. 음성 웹 페이지 자동 생성기를 위한 실험 = 106
      • 5.3. 현재 호스팅 중인 비주얼 웹 페이지의 실험 = 110
      • Ⅵ. 결론 = 114
      • Ⅶ. 참고문헌 = 116
      • ABSTRACT = 120
      • 부록 = 1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