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연구 동향 분석 =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90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진 PCK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연구 방향 모색을목적으로 한다. 이에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이루어진 학술지 논문 13편, 학위 논문 9편 총 22편을 대상...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진 PCK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연구 방향 모색을목적으로 한다. 이에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이루어진 학술지 논문 13편, 학위 논문 9편 총 22편을 대상으로 연도 및 유형별, 용어별, 연구 주제별, 연구 방법별, 연구 대상별, 교과 영역별 내용을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교육에서의 PCK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박사 학위 논문 중심, 신진 학자 중심으로 연구되는 양상을 보였다. 용어는 학위 논문에서는 교수학적 내용지식, 학술지에서는 PCK 사용이 많았고 연구 주제로는 현직교사를 대상으로한 교사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 혼합 연구, 질적 연구가 고루 이루어졌으며 교과 영역으로는 문법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에 있어서는 KSL과 KFL 상황에있는 원어민, 비원어민 현직 교사 대상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진 PCK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by analyzing previous PCK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ly, 22 papers comprising 13 journal entries and 9 these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20 were analyzed in 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by analyzing previous PCK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ly, 22 papers comprising 13 journal entries and 9 these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20 were analyzed in terms of year and type, terminology, 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 research target, and subject area. Based on the analysis, there were not many studies on PC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they are increasing consistently. Researches were focused on doctoral theses and rising scholars. Frequently used terminologies wer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ses and PCK use in journal entrie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as on teachers. Research methods were evenly distributed among literatur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For subject area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as about grammar. For research targets, many studies targeted current native and non-native teachers in KSL and KFL situ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analyzing PCK research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esenting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준영,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항내용 분석" 연세대학교 2016

      2 김민경,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의 구조 및 발달 연구" 고려대학교 2020

      3 강소영,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인식 및 구현 양상 연구 : 문화 교육 수업설계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19

      4 신은경,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5 김민경,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발달을 위한 ‘CoRe(Content Representation)’ 개발 연구" 한성어문학회 43 : 103-129, 2020

      6 허용, "한국어 교사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9

      7 정대현, "한국어 경력교사의 교수 지식 분석 연구" 국어교육학회 (41) : 581-612, 2011

      8 문영하, "태국중등학교 한국어 교사의 역량 제고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20

      9 김호정,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4 (14): 75-110, 2017

      10 장경숙, "중등 영어 교사의 내용 교수 지식 발달에 관한 연구 : 형식초점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1 (1): 61-80, 2008

      1 장준영,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항내용 분석" 연세대학교 2016

      2 김민경,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의 구조 및 발달 연구" 고려대학교 2020

      3 강소영,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인식 및 구현 양상 연구 : 문화 교육 수업설계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19

      4 신은경,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5 김민경,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발달을 위한 ‘CoRe(Content Representation)’ 개발 연구" 한성어문학회 43 : 103-129, 2020

      6 허용, "한국어 교사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9

      7 정대현, "한국어 경력교사의 교수 지식 분석 연구" 국어교육학회 (41) : 581-612, 2011

      8 문영하, "태국중등학교 한국어 교사의 역량 제고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20

      9 김호정,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4 (14): 75-110, 2017

      10 장경숙, "중등 영어 교사의 내용 교수 지식 발달에 관한 연구 : 형식초점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1 (1): 61-80, 2008

      11 주뢰, "중국 내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2018

      12 양유진, "유아교육분야 교과교육학지식(PCK) 연구동향 탐색: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학회 11 (11): 111-128, 2019

      13 주영주, "온라인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과 교사효능감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45) : 379-404, 2014

      14 방성원, "예비 한국어 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향상을 위한 팀 프로젝트 중심 교육의 효과 연구" 한국중원언어학회 (38) : 261-284, 2016

      15 양호환,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삼지원 1997

      16 송근영,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16 (16): 265-287, 2013

      17 조대훈, "사회과 PCK 연구 동향 및 연구 담론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115-143, 2015

      18 배윤경, "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탐색-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11 : 27-45, 2016

      19 강소영, "문화 영역 PCK에 따른 한국어 교사용 문화 교재 내용 분석"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163-190, 2020

      20 박태호, "국어과 PCK-PIE 수업 컨설팅 절차" 54 (54): 1-13, 2017

      21 이해영, "국내 한국어 교원 재교육 현황 조사 및 시사점" 한국국어교육학회 (111) : 83-113, 2017

      22 이미경, "교수의 교과교육학 지식과 전문번역 수업에 대한 소고"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6 (16): 109-131, 2018

      23 이유리, "교수내용지식(PCK)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교육종합연구원 9 (9): 112-131, 2011

      24 박환선, "교수내용지식(PCK)의 구성 요소를 고려한 한국어 교사용 지침서의 개발 방향 및 단원 구성연구" 경인교육대학교 2016

      25 원효헌, "교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내용 교수 지식(PCK) 관련 교수활동 요소의 탐색"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2 (22): 231-244, 2010

      26 곽영순,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개발 연구의 이론과 실제" 10 : 81-114, 2006

      27 Freeman, D., "hidden side of the work: Teacher knowledge and learning to teach" 35 : 1-13, 2002

      28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 :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4, 1986

      29 신은경, "PCK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교육개론’ 대학 교재 내용 분석" 동남어문학회 1 (1): 365-389, 2017

      30 김남은,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연구 동향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1-, 2017

      31 최일주, "PCK 개념의 비판적 고찰" 한국교원대학교 2017

      32 김경한,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개념의 교과교육적 확장 모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11-542, 2019

      33 Shulman. L. S., "Knowledge and Teaching :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 1-22, 1987

      34 박진욱, "KSL 배경 학령기 학습자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1 (31): 51-76, 2020

      35 우형식, "(학습활동을 겸한) 한국어 문법론" 부산외국어대학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