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년교회봉사자의 번아웃 경험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기독교 상담적 제안 = A Single Case Study on the Burnout Experience of Youth church Volunteer: Proposals of Christian Couns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44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on the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cause burnout of youth church volunteer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it. In order to unders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on the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cause burnout of youth church volunteer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it. In order to understand the ‘how’ and ‘why’ burnout of youth church volunteer occurred and developed, the factors causing burnout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ree main symptoms were analyzed and general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ctors of it was classified into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and the main symptoms developed into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emotional exhaustion'-'depersonalization’. This was related to the participant's personal factors, the nature of faith and motives for volunteering, and the unique background of the Korean church,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s, and social phenomena related to youth unemployment. Christian counseling was proposed in 'life, relationship, and self', and it was a practical experience of God's presence through Sabbath, restoration of the narrative of Christ through empathy of God, and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from self-discord in one's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교회봉사자의 번아웃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기독교 상담적 예방과 치유의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단일사례연구'(single case study)로 진행하였으며, 실천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교회봉사자의 번아웃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기독교 상담적 예방과 치유의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단일사례연구'(single case study)로 진행하였으며, 실천 현장에서 청년교회봉사자의 번아웃이 ‘어떻게’ 그리고 ‘왜’ 발생되고 발전되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 요인과 요인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살피고, 세 가지 주요 증상의 발달과정을 분석하여 일반화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청년교회봉사자의 번아웃을 유발하는 요인은 개인적 차원과 조직(교회)적 차원,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차원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번아웃의 주요 증상은 ‘개인적 성취감의 감소’-‘정서적 탈진’-‘비인간화’ 순으로 발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참여자의 인구통계적, 심리적 특성과 신앙의 본질과 봉사의 동기, 그리고 한국교회의 독특한 성장배경과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 및 청년실업에 관한 사회적 현상과 관련했다. 기독교 상담적 제안은 ‘일상, 관계, 자아’의 영역에서 이루어졌으며, 일상의 중단(안식)을 통한 하나님 임재의 실천적 경험과 성육신적 공감을 통한 그리스도의 서사성 회복, 그리고 자아불일치로 부터의 하나님 형상의 회복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일, "한국적 상황에서 본 선교적 교회: 지역교회를 중심으로" 세계선교연구원 (30) : 75-115, 2012

      2 성석환, "한국사회의 청년문제와 한국교회의 과제–‘후기세속사회’의 공공신학적 관점에서"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8 (48): 95-121, 2016

      3 박석순, "한국교회청년세대를 통해 보는 한국교회의 세대갈등과 기독교적 대안의 모색" 장로회신학대학원 2014

      4 노희영, "한국교회의 섬김 문화와 노동소외: 청년 창의/예술 노동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8 (8): 73-99, 2020

      5 정재영, "한국교회, 10년의 미래" SFC출판부 2012

      6 김은혜, "한국교회 청년문제를 통해 본 한국교회의 위기와 기독교윤리적 대안"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30) : 7-36, 2014

      7 원영재, "한국교회 봉사자의 심리·정서적 경험에 나타난 '착한아이 콤플렉스' 연구"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1 : 215-245, 2010

      8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 지성사 2012

      9 김인규, "포스트모던시대 청년부 활성화를 위한 연구와 과제: 경남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2015

      10 심수명, "평신도 봉사자의 소진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한국복음주의신학회 59 : 137-165, 2011

      1 한국일, "한국적 상황에서 본 선교적 교회: 지역교회를 중심으로" 세계선교연구원 (30) : 75-115, 2012

      2 성석환, "한국사회의 청년문제와 한국교회의 과제–‘후기세속사회’의 공공신학적 관점에서"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8 (48): 95-121, 2016

      3 박석순, "한국교회청년세대를 통해 보는 한국교회의 세대갈등과 기독교적 대안의 모색" 장로회신학대학원 2014

      4 노희영, "한국교회의 섬김 문화와 노동소외: 청년 창의/예술 노동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8 (8): 73-99, 2020

      5 정재영, "한국교회, 10년의 미래" SFC출판부 2012

      6 김은혜, "한국교회 청년문제를 통해 본 한국교회의 위기와 기독교윤리적 대안"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30) : 7-36, 2014

      7 원영재, "한국교회 봉사자의 심리·정서적 경험에 나타난 '착한아이 콤플렉스' 연구"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1 : 215-245, 2010

      8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 지성사 2012

      9 김인규, "포스트모던시대 청년부 활성화를 위한 연구와 과제: 경남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2015

      10 심수명, "평신도 봉사자의 소진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한국복음주의신학회 59 : 137-165, 2011

      11 김영준, "탈진의 성경적 원리와 심리학적 관점 및 경험 연구의 통합"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59 : 104-137, 2021

      12 변금선 ; 김기헌, "청년층의 삶의 질 격차에 관한 연구: 1988-1998년생 청년의 다중격차 실태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6 (46): 257-285, 2019

      13 황대우, "청년은 왜 교회를 떠나는가?" 개혁주의 학술원

      14 장진명, "청년세대의 교회 이탈자 증가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통한 효율적인 복음전도전략 연구" 서울신학대학교대학원 2021

      15 최정민, "청년기 정체성 형성과 교회의 역할"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91 : 339-365, 2018

      16 최누리, "청년 소그룹 리더의 탈진과 치유방안"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1

      17 이금희, "청년 교회 봉사자의 탈진에 대한 성경적 상담"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2011

      18 Yin, K. R., "질적연구: 시작부터 완성까지" 학지사 2013

      19 박해경, "중소규모 사립대학 교원의 번아웃 현상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대학교 2020

      20 오현주, "주일학교 자원봉사자의 사역만족도 연구: 미국교회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1 : 39-62, 2005

      21 김규보, "자기 형성과 트라우마, 은혜의 치료적 기능"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8 (28): 5-50, 2020

      22 Arnett, J. J., "인간발달: 문화적 접근" 시그마프레스 2018

      23 이정관 ; 이성훈, "에코세대를 위한 대학에서의 결혼준비교육과 기독교적 교육의 당위성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7) : 203-230, 2015

      24 Fowler, J. W., "신앙의 발달단계" 한국장로교출판사 2010

      25 변재봉, "신대원생의 직무 및 역할스트레스가 탈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목회상담적 함의"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49 : 36-74, 2018

      26 Yin, K. R.,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6

      27 허은정 ; 김우성,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한국소비문화학회 10 (10): 31-53, 2007

      28 박수정 ; 김민규 ; 이훈재 ; 김도윤 ; 박봉섭 ; 정지현 ; 서정은 ; 박정열, "번아웃 증후군의 조작적 정의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교육연구소 23 (23): 297-326, 2017

      29 장수미 ; 장은하 ; 정휘경 ; 김가빈 ; 박혜경, "밀레니얼 세대 사회복지사의 일의 의미" 사회복지연구소 17 (17): 5-40, 2020

      30 오태균, "목회자의 탈진에 대한 교회 교육학적 과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2) : 293-325, 2009

      31 하재성, "목회자의 우울증과 탈진: ‘거룩한’ 자기 착취의 성과"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3 (23): 315-341, 2015

      32 김준수, "목회자의 스트레스와 탈진"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8 : 33-58, 2007

      33 김옥순, "디아코니아신학 관점에서 본 장애인과 함께하는 교회 공동체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42) : 663-698, 2014

      34 MacDonald, G., "내면의 세계의 질서와 영적 성장" IVP 2017

      35 이준원, "기독청년 스트레스의 해소방안에 대한 목회적 연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08

      36 황규명, "기독교 상담에서의 직면과 복음"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4 : 8-28, 2005

      37 신승범 ; 이종민, "기독 청년들의 교회를 떠나고 싶은 이유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66) : 273-307, 2021

      38 김성환, "근무형태별 경찰공무원의 직무소진(번아웃 증후군)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22 (22): 259-278, 2015

      39 조철현, "교회 자원봉사자들의 사역참여 만족도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55) : 157-182, 2017

      40 이상민 ; 안성희, "교육에서의 소진에 관한 이론적 고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6 (16): 57-66, 2014

      41 김성건, "고도성장 이후의 한국교회 : 종교사회학적 고찰"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8) : 5-50, 2013

      42 이대웅, "가나안 성도들에게 ‘교회 채출석 의사’ 물었더니 48.5%가···"

      43 양희송,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 포이에마 2014

      44 Dierendonck, D., "Toward a process model of burnout: Results from a secondary analysis" 10 (10): 41-52, 2002

      45 Maslach, C., "The oxford handbook of organizational well being" Oxford University Press 86-108, 2009

      46 Leiter, M. P., "The impact of interpersonal environment of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9 : 297-308, 1988

      47 Freudenberger, H. J., "Staffburn-out" 30 (30): 159-165, 1974

      48 Higgins, E. T.,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94 : 319-340, 1987

      49 Robins, G., "Relational discrepancy theory: The implications of self-discrepancy theory for dynamic relationships and for the emergence of social structure" 7 : 56-74, 2003

      50 Leiter, M. P.,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Taylor and Francis 237-250, 1993

      51 Golembiewski, R. T., "Phrases of burnout; Developments in concepts and applications" Praeger 1988

      52 Tulgan, B., "Not everyone gets a trophy: How to manage generation Y" Jossey-Bass 2009

      53 Maslach, C.,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Consulting Psycholoyist Press 1986

      54 Maslach, C., "Job burn out" 52 : 397-422, 2001

      55 Erikson, E. H., "Insight and responsibility" W.W. Norton 1964

      56 Erikson, E. H., "Identity: Youth and crisis" W. W. Norton 1968

      57 Purvanova, R. K., "Gender differences in burnout: A meta-analysis" 77 : 168-185, 2010

      58 Farrar, R. B., "Factors affecting volunteerism in church related activities" University of Houston 1985

      59 Noth, M., "Exodus: A commentary. The old testament library series" The Westminster Press 1962

      60 Stebnicki, M. A., "Empathy fatigue: Healing the mind, body, and spirit of professional counselors" Springer 2008

      61 Guba, E., "Effective evaluation" Jossey Bass 1981

      62 Figley, C. R., "Compassion fatigue: Psychotherapists’ chronic lack of self-care" 58 : 1433-1441, 2002

      63 Kumar, S., "Burnout for experts: Prevention in the context of living and working" Springer 99-118, 2013

      64 Ahola, K., "Burnout as a predictor of all cause mortality among industrial employees: A 10 year prospective register linkage study" 69 (69): 51-57, 2010

      65 Palfrey, J., "Born digital: Understanding the first generation of digital natives" Basic Books 2008

      66 Lewin, J., "A process model of burnout among salespeople: Some new thought" 60 : 1216-1224, 2007

      67 Cordes, C. L., "A Review of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18 : 621-656, 1993

      68 최윤식, "2020 2040 한국교회 미래지도" 생명의말씀사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9-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기독교상담학회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영문명 : Korean Christian Counseling Association -> Korean Evangelical Counseling Society
      KCI등재
      2019-12-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
      영문명 : Korea Evangelical Counseling Society -> Korean Christian Counseling Associ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KCI등재
      2015-02-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Gospel and Counseling -> Journal of Counseling and Gospel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0.8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