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慶州 錫杖洞岩刻畵의 特徵과 그 淵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34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석장동암각화는 사회 전반에 퍼져있던 삶과 죽음, 他界觀, 祈子와 豐饒, 僻邪求福과 같은 여러 가지 길상적 관념을 민중적 입장에서 도상적으로 구체화하여 기원의 매개체로 삼았다. 석장리...

      석장동암각화는 사회 전반에 퍼져있던 삶과 죽음, 他界觀, 祈子와 豐饒, 僻邪求福과 같은 여러 가지 길상적 관념을 민중적 입장에서 도상적으로 구체화하여 기원의 매개체로 삼았다. 석장리 검파문암각화는 좌우측변의 심한 만곡과 과장된 연장선, 부가된 단선집선문으로 보아 영천 보성리 검파문암각화의 조성시기와 비교적 근접한 시기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석장동 암각화의 여근문은 외래유입을 바탕으로 재지창안 한 유형과, 남해안의 요녕식동검문 화가 융합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경주 석장리암각화의 경우에 동물발자국암각화는 星形文으로 이해하였다. 동물발자국무늬와 다공집합문의 의미는 성운문경 배면의 별자리 배치상태를 참고하면, 석장리암각화의 화형문· 동물발자국무늬·반원문은 별자리의 배치 및 운행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것이 후기로 가 면서 윷판형 및 고누판형암각화로 정형화되는 것으로 보았다. 경주 석장리암각화는 청동기시대 후기~원삼국시대 전기에 걸친 긴 기간 동안 조영되었지만, 그 조성 중심시기의 집단은 경주 탑동 및 교동집단과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초기철기시대 후기 ~원삼국시대 전기 이들 祭司長은 軍事的이며 政治的인 小王의 성격을 띠며 사회의 운영을 지배 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아마도 이 시기 劍鞘具의 용도는 제의적 제사장의 성격을 지닌 초기 무력적 제왕의 면모를 볼 수 있는 상징적 의기이다. 그 용도는 模擬戰과 같은 水田農耕 木劍祭 儀에 사용되던 우두머리의 祭儀器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okjang-dong petroglyphs embodies many symbols such as life, death, and abundance. Seokjangdong sword motif petroglyphs was created around the same time as Yeongcheon Boseong-ri petroglyphs. It is understood that the female genitalia patterns of Seok...

      Seokjang-dong petroglyphs embodies many symbols such as life, death, and abundance. Seokjangdong sword motif petroglyphs was created around the same time as Yeongcheon Boseong-ri petroglyphs. It is understood that the female genitalia patterns of Seokjang-dong site are fused with the type that comes in from the outside and the Liaoning Bronze Dagger Culture on the southern coast. I would like to interpret animal footprint-shaped petroglyphs as a pattern of constellations. It also appears to be stereotyped as Yut-pan(Korean board game board) or Gonu-pan goes into the latter phase. Seokjang-dong petroglyphs was made during the long period from the latter period of the Bronze Age to the early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but the group that made it is likely to connect with the Tap-dong and Gyo-dong groups in Gyeongju. From the latter period of the early Iron Age to the early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priest was a man who ran the society with military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Perhaps the use of sword and sheath during this period was a symbolic ceremonial object of being both priest and king. The use would have been ceremonial object of the chief used in agricultural rituals such as the mock war with wooden swor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석장동 암각화의 현상과 내용
      • Ⅲ. 각종 문양의 특징과 의미 검토
      • Ⅳ. 특징적 암각화와 제의문화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석장동 암각화의 현상과 내용
      • Ⅲ. 각종 문양의 특징과 의미 검토
      • Ⅳ. 특징적 암각화와 제의문화
      • Ⅴ.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