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인공지능시대 알고크라시(Algocracy)에서의 민주적 정당화의 문제 = Die demokratische Legimation in der Algokratie im Zietalter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ünstliche Intelligenz(KI, artificial Intelligence:AI) gilt als Kerntechnologie des 21. Jahrhunderts. Im Verhältnis zu den hohen Hoffnungen und Erwartungen sind die Ängste und Sorgen nicht geringer. Die Verdichtung dieser Angst und Sorge ist die Bedrohung durch die Algokratie. Die Algokratie ist keine andere als digitale Herrschaft. Sie bedroht die Legitimität öffentlicher Entscheidungsprozesse(legitimacy of public decision-making processes) Das Individuum als freies Subjekt ist die a priori Existenz des modernen Verfassungsstaates und das letzte Subjekt der Legitimationszurechnung. Daher ist es natürlich, dass Algocrasi eine sehr Bedrohung darstellt. Das Algokratiesproblem im öffentlichen Recht ist letztendlich die Frage der Legitimation. Der Output des Computersystems muss dem Legitimationssubjekt im Legitimationszusammenhang in dem Sinne zugeordnet werden, dass es durch Entscheidung hinreichend bestimmt wird. Die derzeitige Ausübung staatlicher Herrschaft erfolgte in der Struktur der Legitimation auf der Grundlage der analogen Organisationsmethode der Bürokratie. In Systemen mit künstlicher Intelligenz treffen Computersysteme Entscheidungen und handeln im Namen von Menschen, wobei der Prozess der menschlichen Anerkennung weggelassen wird. Dies steht eindeutig im Widerspruch zu dieser traditionellen Legitimationsstruktur.
      번역하기

      Künstliche Intelligenz(KI, artificial Intelligence:AI) gilt als Kerntechnologie des 21. Jahrhunderts. Im Verhältnis zu den hohen Hoffnungen und Erwartungen sind die Ängste und Sorgen nicht geringer. Die Verdichtung dieser Angst und Sorge ist die Be...

      Künstliche Intelligenz(KI, artificial Intelligence:AI) gilt als Kerntechnologie des 21. Jahrhunderts. Im Verhältnis zu den hohen Hoffnungen und Erwartungen sind die Ängste und Sorgen nicht geringer. Die Verdichtung dieser Angst und Sorge ist die Bedrohung durch die Algokratie. Die Algokratie ist keine andere als digitale Herrschaft. Sie bedroht die Legitimität öffentlicher Entscheidungsprozesse(legitimacy of public decision-making processes) Das Individuum als freies Subjekt ist die a priori Existenz des modernen Verfassungsstaates und das letzte Subjekt der Legitimationszurechnung. Daher ist es natürlich, dass Algocrasi eine sehr Bedrohung darstellt. Das Algokratiesproblem im öffentlichen Recht ist letztendlich die Frage der Legitimation. Der Output des Computersystems muss dem Legitimationssubjekt im Legitimationszusammenhang in dem Sinne zugeordnet werden, dass es durch Entscheidung hinreichend bestimmt wird. Die derzeitige Ausübung staatlicher Herrschaft erfolgte in der Struktur der Legitimation auf der Grundlage der analogen Organisationsmethode der Bürokratie. In Systemen mit künstlicher Intelligenz treffen Computersysteme Entscheidungen und handeln im Namen von Menschen, wobei der Prozess der menschlichen Anerkennung weggelassen wird. Dies steht eindeutig im Widerspruch zu dieser traditionellen Legitimationsstruktu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공지능이 21세기의 핵심기술로 여겨진다. 희망과 기대가 높은 것에 비례해서 불안과 우려 역시 그에 못지않다. 이런 불안과 우려가 응축된 개념이 바로 알고리즘의 지배(Algocracy; Algokratie)의 위협이다. 알고리즘의 지배(Herrschaft der Algorithmen) 즉, 알고크라시는 다름 아닌 디지털지배(digitale Herrschaft)이다. 알고크라시는 공공의 의사결정과정의 정당성(legitimacy of public decision-making processes)을 위협한다. 자유로운 주체로서의 개인은 현대 헌법국가의 선험적인 존재이고, 모든 정당성의 최후의 주체이기에, 알고크라시는 매우 위협으로 다가오는 것은 자연스럽다. 공법에서 알고크라시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정당화(Legitimation)의 물음이다. 국가적 맥락에서 도입된 컴퓨터시스템의 아웃풋은 정당화의 주체가 결정을 통해 충분히 정해져 있다는 의미에서 정당화의 주체에 귀속될 수밖에 없다. 현재의 국가권력의 행사는 관료제의 아날로그 조직방식에 기반한 정당화의 구조에서 이루어져 왔는데, 컴퓨터시스템이 사람의 인식과정이 생략된 채 사람을 대신하여 어떤 결정을 내리고 행위를 하는 인공지능시스템은 분명 이런 전통적인 정당화의 구조와는 충돌한다. 따라서 인공지능시스템을 공공부문에 도입하는 데 있어서는 먼저 다소간 자율적인 컴퓨터시스템을 고권주체가 도입하는 것이 이런 범주에서 정당화될 수 있는지 여부와 아니면 디지털지배의 시대를 위한 새로운 정당화구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지 여부의 물음이 검토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인공지능이 21세기의 핵심기술로 여겨진다. 희망과 기대가 높은 것에 비례해서 불안과 우려 역시 그에 못지않다. 이런 불안과 우려가 응축된 개념이 바로 알고리즘의 지배(Algocracy; Algokratie)...

      인공지능이 21세기의 핵심기술로 여겨진다. 희망과 기대가 높은 것에 비례해서 불안과 우려 역시 그에 못지않다. 이런 불안과 우려가 응축된 개념이 바로 알고리즘의 지배(Algocracy; Algokratie)의 위협이다. 알고리즘의 지배(Herrschaft der Algorithmen) 즉, 알고크라시는 다름 아닌 디지털지배(digitale Herrschaft)이다. 알고크라시는 공공의 의사결정과정의 정당성(legitimacy of public decision-making processes)을 위협한다. 자유로운 주체로서의 개인은 현대 헌법국가의 선험적인 존재이고, 모든 정당성의 최후의 주체이기에, 알고크라시는 매우 위협으로 다가오는 것은 자연스럽다. 공법에서 알고크라시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정당화(Legitimation)의 물음이다. 국가적 맥락에서 도입된 컴퓨터시스템의 아웃풋은 정당화의 주체가 결정을 통해 충분히 정해져 있다는 의미에서 정당화의 주체에 귀속될 수밖에 없다. 현재의 국가권력의 행사는 관료제의 아날로그 조직방식에 기반한 정당화의 구조에서 이루어져 왔는데, 컴퓨터시스템이 사람의 인식과정이 생략된 채 사람을 대신하여 어떤 결정을 내리고 행위를 하는 인공지능시스템은 분명 이런 전통적인 정당화의 구조와는 충돌한다. 따라서 인공지능시스템을 공공부문에 도입하는 데 있어서는 먼저 다소간 자율적인 컴퓨터시스템을 고권주체가 도입하는 것이 이런 범주에서 정당화될 수 있는지 여부와 아니면 디지털지배의 시대를 위한 새로운 정당화구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지 여부의 물음이 검토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진, "행정의 민주적 정통화론" (290) : 2017

      2 김중권, "행정에 인공지능시스템 도입의 공법적 문제점" 법조협회 69 (69): 53-77, 2020

      3 김중권, "행정법" 법문사 2019

      4 김배원, "지능정보사회와 헌법 - 인공지능(AI)의 발전과 헌법적 접근 -" 한국비교공법학회 21 (21): 67-108, 2020

      5 김남진, "제4차 산업혁명시대와 중요 법적 문제" (319) : 2020

      6 이재훈, "전자동화 행정행위에 관한 연구 -독일 연방행정절차법 제35조의a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29 (29): 143-192, 2017

      7 이재훈, "전자동화 행정행위 도입 후 독일 행정절차법제 논의의 전개 양상"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481-515, 2018

      8 김중권, "자동적 행정행위(컴퓨터 행정행위)에 관한 소고" 28 (28): 2000

      9 김중권, "인공지능시대에 완전자동적 행정행위에 관한 소고" 법조협회 66 (66): 146-182, 2017

      10 김중권, "인공지능시대에 알고리즘에 의한 행위조종과 가상적 행정행위에 관한 소고" 한국공법학회 48 (48): 287-312, 2020

      1 김남진, "행정의 민주적 정통화론" (290) : 2017

      2 김중권, "행정에 인공지능시스템 도입의 공법적 문제점" 법조협회 69 (69): 53-77, 2020

      3 김중권, "행정법" 법문사 2019

      4 김배원, "지능정보사회와 헌법 - 인공지능(AI)의 발전과 헌법적 접근 -" 한국비교공법학회 21 (21): 67-108, 2020

      5 김남진, "제4차 산업혁명시대와 중요 법적 문제" (319) : 2020

      6 이재훈, "전자동화 행정행위에 관한 연구 -독일 연방행정절차법 제35조의a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29 (29): 143-192, 2017

      7 이재훈, "전자동화 행정행위 도입 후 독일 행정절차법제 논의의 전개 양상"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481-515, 2018

      8 김중권, "자동적 행정행위(컴퓨터 행정행위)에 관한 소고" 28 (28): 2000

      9 김중권, "인공지능시대에 완전자동적 행정행위에 관한 소고" 법조협회 66 (66): 146-182, 2017

      10 김중권, "인공지능시대에 알고리즘에 의한 행위조종과 가상적 행정행위에 관한 소고" 한국공법학회 48 (48): 287-312, 2020

      11 김남진, "인공지능(AI)기술과 공법학의 변용" (321) : 2020

      12 김중권, "이른바 입법아웃소싱의 공법적 문제점에 관한 소고" 10 (10): 2016

      13 허완중, "민주적 정당성" 한국법학원 (128) : 132-153, 2012

      14 황성기, "디지털 기본권의 의미와 내용" 한국헌법학회 24 (24): 1-38, 2018

      15 김중권, "국가권력행사에 AI도입과 민주적 법치국가원리" 2019

      16 金重權, "行政自動節次에 관한 法的 考察"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3

      17 Bull, "Über die rechtliche Einbindung der Technik" 58 : 57-, 2019

      18 Zeidler, "Über die Technisierung der Verwaltung" 1959

      19 Guckelberger, "Öffentliche Verwaltung im Zeitalter der Digitalisierung" 2019

      20 Stelkens, "Verwaltungsverfahrensgesetz" 2018

      21 Maier, "Verfassungsrechtliche Aspekte der Digitalisierung des Besteuerungsverfahrens" 614-, 2017

      22 Danaher, "The Threat of Algocracy: Reality, Resistance and Accommodation" 245-, 2016

      23 Wischmeyer, "Regulierung intelligenter Systeme" 143 : 1-, 2018

      24 Borges, "Rechtliche Rahmenbedingungen für autonome Systeme" 977-, 2018

      25 Frese, "Recht im zweiten Maschinenzeitalter" 2090-, 2015

      26 Kersten, "Menschen und Maschinen" 70 : 1-, 2015

      27 Dederer, "Letale Autonome Waffensysteme(LAWS)" 380-, 2018

      28 Buchholz, "Legal Tech" 956-, 2017

      29 Herberger, "Künstliche Intelligenz und Recht" 2825-, 2018

      30 H. Dreier, "Hierachische Verwaltung im demokratischen Staat" 1991

      31 Bauer, "Handbook on the Economics of the Internet" 2016

      32 Böckenförde, "HStR Ⅲ" 34-, 2005

      33 Schmidt-Aßmann, "Grundlagen des Verwaltungsrechts, Bd.Ⅰ" 2012

      34 Masing, "Grundlagen des Verwaltungsrechts, Bd.Ⅰ" 7-, 2012

      35 Ertel, "Grundkurs Künstliche Intelligenz" 2016

      36 H. Dreier, "GG Ⅱ" 2015

      37 Schuppert, "Funktionell-rechtliche Grenzen der Verfassungsinterpretation" 1980

      38 김중권, "EU행정법연구" 법문사 2018

      39 Ruffert, "EUV/AEUV" 2016

      40 Teubner, "Digitale Rechtssubjekte?" 218 : 155-, 2018

      41 Trute, "Die demokratische Legitimation der Verwaltung"

      42 Boehme-Neßler, "Die Macht der Algorithmen und die Ohnmacht des Rechts" 3031-, 2017

      43 Polomski, "Der automatisierte Verwaltungsakt" 1993

      44 Unger, "Demoktratie und künstliche Intelligenz" 113-, 2019

      45 Unger-Stenberg, "Demoktratie und künstliche Intelligenz" 2019

      46 Hoffmann-Riem, "Demoktratie und künstliche Intelligenz" 129-, 2019

      47 Klaas, "Demokratieprinzip im Spannungsfeld mit künstlicher Intelligenz" 84-, 2019

      48 Petersen, "Demokratie und Grundgesetz" 2008

      49 Unger, "Das Verfassungsprinzip der Demokratie" 2008

      50 Ahrendt, "Alte Zöpfe neu geflochten–Das materielle Recht in der Hand von Programmierern" 537-, 2017

      51 Boehme-Neßler, "Algorithmen und Demokratie: Anmerkungen zur Digitalisierung des Verfassungsrechts" 129-, 2019

      52 Martini, "Algorithmen als Herausforderung für die Rechtsordnung" 1017-, 2017

      53 김중권, "21세기 국가모델을 위한 행정법의 현대화와 개혁" 한국공법학회 48 (48): 387-419,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2-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Lawyers Association Journal -> Korean Lawyers Association Journal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Lawyers Association Journal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법조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6 1.1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05 1.09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