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화와 이성: 셸링(Schelling) 『신화철학』에 있어 양자의 관계 문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5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화’와 ‘이성’의 관계 문제를 셸링의 후기논저『신화철학』(I, II권, 1842-1852년) 가운데 제 I권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목표이다. 셸링은 이 I권을 다시 두 부문으로 ...

      ‘신화’와 ‘이성’의 관계 문제를 셸링의 후기논저『신화철학』(I, II권, 1842-1852년) 가운데 제 I권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목표이다. 셸링은 이 I권을 다시 두 부문으로 나눠 제1부는 "신화철학에 대한 역사적­비판적 입문"(1842)으로, 그리고 제2부는 "신화철학에 대한 철학적 입문 또는 순수이성철학의 서술"(1847-1852)이라는 제목 하에 논하고 있다.
      이 두 부문이 각기 고유한 논점을 지니고 있음을 감안하여 본 연구 역시 두 부문 각각에 대한 별도의 연구논문을 진행하고자 하는바, 논문의 가제는 대략 다음과 같다:

      1.「 신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관점과 신화 연구방법론의 기초 ― 셸링의 『신화철학』I권의 논의를 중심으로」
      2. 「셸링 『신화철학』에 나타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성립」

      아래에서는 이 두 가지 논제 중 첫 번째 것을 중심으로 추후 작성할 글의 논지를 개략적으로나마 서술하고자 한다.

      셸링에게 신화철학이 성립하는 척도는 다름아닌 신화가 한때 현실적으로 존재했고 또 그것이 우리에게 전승되어 있다는 사실 자체이다. 따라서 신화 연구방법론의 가장 주요한 토대는 ‘신화의 현상’, 즉 건전한 인간 오성에 기반한 현실성에서 시작하여 순수 사유 속에서만 파악가능한 그 현실성의 전제들에로 이르는 상승 가운데 놓여있다.
      신화는 그 자체로 고유한 세계를 이루는 하나의 전체이다. 따라서 문제는 개개의 신화적 표상들이 아니라 신들의 상호 연관들에 의한 이야기의 총체를 어떻게 발생론적인 준거점에서까지 규정해내는가 하는 점이다. 이 점에서 『신화철학』은 신화와 예술 간의 관계를 다루었던 『예술철학』(1802-4)의 문제의식을 넘어 신화 그 자체를 겨냥한다. 나아가 그리스 신화는 어떤 우위적 자리를 점하는 게 아니라 다른 많은 신화들 가운데 주도적인 하나의 신화일 따름이다. 이것은 다신론의 문제가 특정 신화의 고찰 범위를 넘어 종교적 의미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화철학』I권 제 1부는 이제 신화에 대한 여러 해석관점들에 대한 변증법적 비판을 수행한다. 우선 가장 대표적인 통념 중 하나는 신화를 일종의 시문학(Dichtung)으로서 해석하는 관점이다. 이러한 관점의 옹호자에겐 신화는 한갓 가상일 뿐 어떤 현실적인 것도 그것에 상응해 있지 않다는 관념이 깔려있다. 그러나 셸링에 따르자면 신화적 시문학은 이미 존립해있는 신들의 세계 내지 이야기를 전제하는 셈이다. 바꿔 말해 그러한 해석은 정작 어떻게 해서 하나의 인류나 민족이 포에지적 창안에 앞서 ‘신들의 이야기’를 이미 향유하고 있는지에 설명해주는 바가 없다. 두 번째의 해석관점은 신화를 역사적, 도덕적 혹은 자연적 진리의 알레고리로서 이해하는 방식이다. 이는 하이네(Heyne, 1729-1812)를 거쳐 헤르만(Gottfried Hermann, 1772-1848)에 의해 정초된 이론으로서, 여기에선 신화 속에 진리가 의도되고 있음이 인정된다. 그러나 이 이론의 근저에는 신화의 의인화 과정을 통해 한 민족이 종교적 미신으로부터 개화된 개념으로 나아갔다는 무근거한 상정이 자리하고 있다. 동시에 여기에서는 신화의 귀결에 대한 해석에 치우쳐 정작 신화의 원천은 설명되고 있지 않다.
      셸링의 판단에 따르자면, 신화는 그 성립시기에 포에지와 철학이 하나의 근원적 통일을 이루었고, 이것이 이후 과정에 의해 비로소 분리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앞의 두 해석관점에서처럼 맨처음 철학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r Massstab, der die Philosophie der Mythologie entstehen laesst, ist bei Schelling eben das Faktum, dass die Mythen einmal wirklich einmal waren und uns ueberliefert sind. Daher liegt der wichtigste Basis fuer die Untersuchungsmethode der Mythologie...

      Der Massstab, der die Philosophie der Mythologie entstehen laesst, ist bei Schelling eben das Faktum, dass die Mythen einmal wirklich einmal waren und uns ueberliefert sind. Daher liegt der wichtigste Basis fuer die Untersuchungsmethode der Mythologie darin, dass wir von der Wirklichkeit zu ihren nur im reinen Denken fassbaren Voraussetzungen aufsteigen.
      Die Mythologie ist ein Ganzes, das in sich eine eigene Welt bildet. Deshalb wird zunaechst nach diesem Ganzen, nicht nach dieser oder jener einzelnen mythologischen Vorstellung gefragt. Ferner geht es darum, wie das Ganze der Goettergeschichte genetisch bestimmen werden soll. In diesem Punkt zielt die Philosophie der Mythologie auf die Mythologie selbst, nicht auf das Verhaeltnis von Mythos und Kunst in der Philosophie der Kunst. Und die griechische Mythologie nimmt jetzt keine Vorzugsstellung ein, sondern ist nur (wenigsten zunaechst) eine Mythologie unter mehreren anderen. Dementsprechend wird die religioesen Bedeutung der Mythologie, das Problem des Polytheismus, beruecksichtigt.
      In der historisch­kritischen Einleitung in die Philosophie der Mythologie(Band I, Teil 1) verfaehrt Schelling die dialektische Kritik ueber die verschiedene Deutungsansichten der Mythologie. Ein oft vermeinter Standpunkt ist die Deutungsansicht der Mythologie als Dichtung. Bei diesem Vertreter ist die Mythologie ein Schein, dem aber kein Wirkliches entspricht. Und zwar zeugt diese Auffassung ueber die mythologische Dichtung nach Schelling von einer schon bestehenden Goetterwelt. D.h. koennen die Vertreter dieser These gar nicht erklaeren, wie die Menschheit oder die Voelker in ihrer fruehesten Zeit gleichmaessig von einem unwiderstehlichen inneren Trieb bafallen.
      Der zweite Deutungsansicht ist es, dass sich die Mythologie nichts anders als die Allegorie einer historischen, moralischen oder physikalischen Wahrheit verstehen lassen wolle. Dies stammt durch den Ansatz Heynes von Gottfried Hermann. In dieser Theorie enthaelt die Mythologie zwar eine Wahrheit, aber darin setzten sie schon einen religioesen Aberglauben voraus, vo dem das Volk durch die Theorie befreit werden sollte. Dieses Ziel wurde aber nicht erreicht. Ferner ankuendigen sie das Konsequenz der Mythologie und weisen nicht auf das Ursprung der Mythologie hin.
      Nach Schelling handelt es bei der Mythologie darum, dass in ihrer Entstehungszeit Poesie und Philosophie eine urspruengliche Einheit bildeten und erst durch einen spaeteren Prozess voneinander getrennt wurden. Es ist also nicht so zu denken (wie bei den ersten beiden Erklaerungen), dass zuvor schon Philosophie und Poesie bestanden und dann die Mythologie erzeugten. So waere die Mythologie ein organisches Gebilde, weder ein freies noch ein unfreies Erzeugnis, weder absichtlich noch unabsichtlich, sondern die Einheit von Freiheit und Notwendigkeit. Von dieser sog. poetisch­philosophischen Deutung her beginnt Schelling nun die Philosophie der Mythologie als ein geschichtliches Phaenomen darzustelle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