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신사[通信使] 기록을 통한 단령[團領]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2544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시대통신사행렬" 부산: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과천: 국사편판위원회 127-, 2005

      2 "조선시대통신사행렬" 부산: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과천: 국사편판위원회 127-, 2005

      3 "조선시대통신사행렬" 부산: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과천: 국사편판위원회 379-, 2005

      4 "조선시대기록화의 세계" 서울: 고려대학교박물관 38-, 2001

      5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時服)과 상복(常服)제도 변천" 55 (55): 43-45, 2005

      6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時服)과 상복(常服)제도 변천" 55 (55): 38-50, 2005

      7 "조선 태종대 관복제정에 관한 연구복식" 56 (56): 69-78, 2006

      8 "일본의 수도인 도쿄 의 옛 명칭."

      9 "은 교토나 에도 등 도시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며 은 국서 를 막부 장군에게 전하기 위해 장군이 살고 있는 성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10 "위의 책. 癸未 11/6 대마도 하선연"

      1 "조선시대통신사행렬" 부산: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과천: 국사편판위원회 127-, 2005

      2 "조선시대통신사행렬" 부산: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과천: 국사편판위원회 127-, 2005

      3 "조선시대통신사행렬" 부산: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과천: 국사편판위원회 379-, 2005

      4 "조선시대기록화의 세계" 서울: 고려대학교박물관 38-, 2001

      5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時服)과 상복(常服)제도 변천" 55 (55): 43-45, 2005

      6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時服)과 상복(常服)제도 변천" 55 (55): 38-50, 2005

      7 "조선 태종대 관복제정에 관한 연구복식" 56 (56): 69-78, 2006

      8 "일본의 수도인 도쿄 의 옛 명칭."

      9 "은 교토나 에도 등 도시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며 은 국서 를 막부 장군에게 전하기 위해 장군이 살고 있는 성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10 "위의 책. 癸未 11/6 대마도 하선연"

      11 "왕세자출궁도의 복식 연구" 31 : 47-58, 1997

      12 "앞의 책. 15집 543면 黑色 非我國所産 而不可常着. 常參朝參拜辭時 必以時服見者 以禮見也."

      13 "실록에 의하면 경국대전이 편찬되기 이전인 태종 6년 丙戌 등의 기사에서 시복에 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14 "쇼군(しょうぐん). 일본의 역대 무신정권(武臣政權)인 막부(幕府)의 수장(首長)을 가리키는 칭호" 두산동아백과사전연구소 15 : 259-260, 2002

      15 "쇼군(しょうぐん). 일본의 역대 무신정권(武臣政權)인 막부(幕府)의 수장(首長)을 가리키는 칭호" 두산동아백과사전연구소 15 : 639-, 2002

      16 "국역 通文館志 Ⅰ. 卷六. 彼地宴享 (중략) 使以下具公服 (후략)" 1998

      17 "通文館志. 卷六 交隣 下, 通信使行. (중략) 使一員文官堂上結銜吏曹參議 副使一員文官堂下正三品結銜典翰 從事官一員文官五六品結銜弘文校理 (후략)" 1998

      18 "通文館志 卷六 交隣 下, 傳命儀" 1998

      19 "光海君日記. 태백산본 2년 5월 19일 癸亥 기사에 의하면 예조가 아뢰기를 오례의 의 흑단령 은 상복 이라고도 하고 시복 이라고도 하는데 비록 정확히는 알지 못하겠으나 알성할 때에 이른바 유생들의 상복과 중국 사신이 올 때의 이른바 백관의 상복은 분명 흑단령입니다 하여 1610년을 기점으로 ‘홍단령-상복-일상 집무복/ 흑단령-시복-의례복’의 개념이 ‘홍단령-시복-일상 집무복/ 흑단령-상복-의례복’으로 바뀌므로 1601년 기사 중 시복은 예복으로서 흑단령이라 할 수 있다."

      20 "京都司所代의 중국식 명칭. 직할지인 京都를 다스리는 장관으로 경윤 이라고도 한다. 서경은 이른바 일본 천황의 도읍으로 에도의 서쪽에 있으므로 이렇게 부른다. 민족문화추진회" 119-, 1977

      21 "事體未安. 姑以時服入參" 면 :

      22 "18세기에 통신사는 4차례 파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본문에 언급한 사행록 6편과 함께 1711년 부사 이 쓴 동사일기 와 1764년 군관 가 쓴 사록 도 조사하였으나 관복에 대한 언급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제외하였다."

      23 "1711년 조선통신사 복식에 관한 연구" 11 (11): 541-550, 2003

      24 ". 위의 책" 173-189, 1982

      25 ". 앞의 책. 海游錄 九月十一日庚辰 今日當宿倭皇京 使臣以下當着紅團領云" 1977a

      26 ". 앞의 책. 海游錄 九月二十七日 丙申 三使臣着紅團領 余及上通事醫官亦以紅團領." 1977a

      27 ". 앞의 책. 海日記. 改着紅團領 員役官服 軍官戎服 以其將入西京之故耳." 1977c

      28 ". 앞의 책. 海日記 四 甲申年 二月 十六日 戊戌 陰雨 午後入江戶館所于實相寺 飯後三使着紅團領員役時服" 1977c

      29 ". 앞의 책. 海日記 三月 初七日 戊午 . 앞의 책. 日觀記 三月 初七日 戊午 三使以下具公服" 1977c

      30 ". 앞의 책. 海日記" 1977c

      31 ". 앞의 책. 日觀記 甲申二月十六日 戊戌 三使以下皆具公服."

      32 ". 앞의 책. 日觀記 三 自此入倭都例改服而行三使以下皆具公服"

      33 ". 앞의 책. 奉使日本時聞見錄 . 앞의 책. 隨日錄 二十一日 到江戶" 1977b2001

      34 ". 앞의 책. 乘錄 甲申二月十六日 戊戌 에도 입성"

      35 ". 앞의 책. 乘錄 甲申 3/5 에도 별연"

      36 ". 앞의 책. 乘錄 三月 初七日 三使相團領皆時服而三書記不與"

      37 ". 앞의 책 . 앞의 책" 40-, 1982pp.185-186;이은주2005

      38 ". 乘錄. 고려대 육당문고 소장본."

      39 "(五月) 初二日 (중략) 例三使臣及役皆着紅團領以其將過倭京也" 동국대학교 출판부 59 : 389-, 2001

      40 "(三月) 十一日島主設宴午後三使具公服紅團領帽帶乘肩輿" 동국대학교 출판부 59 : 298-299,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5 0.79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