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의료사고 피해구제제도에 대한 연구 :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분쟁해결제도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006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 의료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당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제도로는 소송적 분쟁해결제도(민사소송, 형사고소), 소송외적 분쟁해결제도(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분쟁조정, 조정중...

      우리나라에서 의료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당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제도로는 소송적 분쟁해결제도(민사소송, 형사고소), 소송외적 분쟁해결제도(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분쟁조정, 조정중재원의 의료분쟁조정, 민사조정법상 조정, 범죄피해자보호법상 조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의료분쟁해결제도인 민사소송,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분쟁조정, 조정중재원의 의료분쟁조정에 대한 제도이용 현황통계를 살펴본 결과, 조정중재원이 설립된 다음 해인 2013년부터 법원과 한국소비자원의 의료분쟁사건 수를 넘어서는 사건이 조정중재원에 접수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의료분쟁 당사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분쟁해결기관으로서 조정중재원이 자리를 잡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의료분쟁 당사자들이 조정중재원을 통한 분쟁해결을 선호하는 경향은 실제 의료사고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조정중재원을 선택한 피해자들은 조정중재원의 의료분쟁조정제도를 이용할 경우 민사소송보다 비용이 적게 드는 점, 사건이 신속하게 처리되는 점, 대불제도를 이용할 수 있는 점, 절차가 복잡하지 않은 점, 의료분쟁조정 과정에서 확보한 증거자료를 향후에 민사소송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점 등을 장점으로 들었다.

      위와 같이 살펴본 의료사고 피해자들의 인식과 제도이용실태를 종합할 때, 현재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의료분쟁해결제도는 조정중재원의 의료분쟁조정제도라고 판단되어, 본 연구는 위 제도를 중심으로 관련 법제와 현황을 평가하고, 외국의 의료분쟁해결제도와의 비교법적 고찰 등을 통해 조정중재원의 의료분쟁해결제도를 더욱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그 검토 결과를 다음과 같이 의료분쟁조정법령의 개정이 필요하거나 제도 운영상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조정중재원의 ‘감정제도’와 관련하여, ① 현재는 감정부가 감정서에 의료인의 ‘과실 및 인과관계의 유무’에 대한 판단 및 그 판단 근거와 이유를 기재하여야 하는데, 감정결과에 조정부가 기속되지 않는 조정제도 하에서 감정부와 조정부가 ‘과실 및 인과관계의 유무’에 대하여 서로 다른 판단을 함으로써 분쟁당사자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향후에는 감정부에서 ‘과실 및 인과관계의 유무’를 제외하고 ‘사실조사의 내용 및 결과’ 등을 중심으로 감정서를 작성하고 ‘과실과 인과관계의 유무’에 대한 법적인 판단은 조정부에서 하도록 의료분쟁조정법 제29조 제3항 등 관련 법령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② 현재는 의료사고로 인하여 후유장애가 발생했을 때 이를 진단하는 의료기관을 분쟁 당사자가 임의로 선택하고 있으나, 후유장애의 정도는 조정금액을 결정할 때 중요한 판단 요소이므로 분쟁 당사자와 연관성이 없는 중립적인 의료기관에서 신체검진과 후유장애 진단을 받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조정중재원이 신체검진을 실시할 협력병원들을 선정하고 그중에서 한 병원을 지정하여 환자로 하여금 그곳에서 후유장애 진단을 받도록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조정중재원에서 판단을 하는 것이 후유장애 판단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운영방안이다.

      ③ 의료분쟁조정법 제25조 제3항 제1호는 의료분쟁의 ‘조정 또는 중재에 필요한’ 사실조사를 감정단의 업무를 규정하여 조정이나 중재절차 진행을 전제로 감정부가 조사권을 발동할 수 있는 것처럼 규정되어 있으므로, 법원이나 수사기관 등에서 조정중재원에 감정을 의뢰한 수탁감정 사건에 대하여는 감정부에서 조사권을 행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감정을 위하여 자료 보완이 필요한 경우에는 감정을 의뢰한 기관으로부터 추가 자료를 제출받는 방식으로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 타당하다.

      두 번째로, ‘조정제도’와 관련하여, 현재는 조정개시를 당사자의 의사에 따라 임의적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망이나 1개월 이상의 의식불명 등의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조정자동개시제도를 실시하고 있어 조정개시율이 50%에 미달하고 있다. 그러나, 조정중재원의 감정·조정절차가 당사자 일방의 이익에 치우쳐 있지 않아 피신청인의 동의없이 조정이 자동개시된다고 하더라도 피신청인에게 불리하다고 보기 어렵고, 조정중재원과 유사하게 의료분쟁해결제도로서 역할을 하는 한국소비자원의 조정절차도 피신청인의 동의를 요구하지 않는 점, 조정이 자동개시 되더라도 조정성립에는 당사자의 동의가 필요한 점 등을 종합할 때, 원칙적으로 조정이 자동으로 개시되도록 의료분쟁조정법 제27조 제8항을 개정하여 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할 필요성이 있다.

      세 번째로, ‘불가항력 의료사고보상제도’와 관련하여, ① 최근의 통계에 의하면 연평균 5건 정도로 미미한 제도이용실적을 보이고 있어, 의료사고의 위험을 환자로부터 사회로 분산하려는 제도의 도입취지가 제대로 실현된다고 보기 어렵고, 현재는 보상대상 진료과목이 산부인과에 한정되어 있으나 다른 진료과목에서도 보상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용 대상인 의료사고의 범위를 다른 진료과목으로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의료분쟁조정법 제46조 제1항에서는 불가항력 의료사고보상 대상사건의 범위를 ‘조정중재원의 조정·중재절차가 진행 중인 사건’으로 제한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동법 시행령 제24조 제1항에서 ‘의료분쟁의 조정 또는 중재 절차의 진행 중’ 이라는 문구를 통해 ‘조정중재원의 조정·중재절차가 진행 중인 사건’으로 보상금 지급대상 사건의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이는 시행령에서 모법의 위임이 없는 사항을 규정한 것으로서 위임의 범위를 일탈하였다고 볼 소지가 있으므로, 향후에 보상금 지급대상의 범위를 ‘조정중재원의 조정·중재절차가 진행 중인 사건’으로 제한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하여 논의하여 그 결과에 따라 법률에서 보상금 지급대상의 범위에 대하여 명확하게 근거를 두거나 법률이 구체적으로 범위를 정하여 하위법령에 위임할 필요가 있다.

      ③ 현재 조정중재원은 위 시행령 제24조 제1항에 따라 의료사고에서 보건의료인의 과실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취지의 ‘감정서가 제출된 경우’에 의료사고보상에 대한 절차를 진행하는데, 의료사고와 관련하여 법원이나 검찰에서 민사 또는 형사사건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조정중재원에 수탁감정을 의뢰하였고 그 결과 의료인의 과실이 없다는 취지의 감정서가 회신된 경우에는 보상 심의를 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의료사고와 관련하여 법원이나 검찰에서 민사 또는 형사사건이 진행될 때 법원 등이 조정중재원에 감정을 촉탁하여 과실이 없다는 회신을 받은 경우에도 위 시행령 제24조 제1항에서 정한 ‘감정서가 제출된 경우’로 볼 수 있으므로 향후에 이런 경우도 의료사고 보상 심의대상으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네 번째로, ‘손해배상금 대불제도’와 관련하여, 최근의 통계에 의하면 연평균 대불금 지급건수가 9건 정도로 대불제도가 남용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대불제도 적용대상 자체를 축소할 필요는 없다고 보인다.
      그러나, 조정중재원의 대불금 지급실태를 살펴본 결과 소수의 고액 사건에 대불재원이 소진되어 지속적인 제도 운영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손해배상 의무자가 기일 내에 미지급한 금액 전액을 대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의료분쟁조정법 제47조 제1항을 개정하여 대불금에 한도를 설정하고, 환자의 피해 정도, 예상되는 치료비 등을 감안하여 대불금 액수를 대불심의위원회에서 정하도록 관련 법령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다섯 번째로, ‘형사처벌특례제도’와 관련하여, ① 의료분쟁조정법은 형사처벌특례의 적용 범위에서 중과실치상죄를 제외하고 있으나, 검찰 실무에서 의료행위와 관련한 과실로 상해가 발생한 경우 경과실, 중과실의 구분이 곤란하여 의료과오사건을 업무상과실치상죄로 기소하고 있으므로 중과실치상죄를 제외한 실효성이 없고, 동일한 사안에서 검사가 업무상과실치상죄 또는 중과실치상죄 중 어느 하나의 죄명을 선택하여 적용함에 따라 형사처벌특례 적용여부가 달라지는 것은 불합리하므로, 의료분쟁조정법 제51조 제1항을 개정하여 중과실치상죄도 형사처벌특례 대상에 추가할 필요가 있다.

      ② 현재는 조정중재원에서 조정이 성립할 것을 형사처벌특례의 적용 요건으로 하고 있으나, 법원이나 한국소비자원에서 조정이 성립된 경우를 형사처벌특례 대상에서 제외시키는데 대한 합리적인 차별의 근거가 없고, 법원이나 한국소비자원을 통해 조정이 성립한 경우에도 형사처벌특례제도를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회복적 사법의 취지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법원이나 한국소비자원에서 조정이 성립된 경우에도 형사처벌특례를 적용할 수 있도록 위 형사처벌특례 조항을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

      ③ 의료분쟁조정법은 중상해가 발생한 경우를 형사처벌특례 적용 범위에서 제외하고 있으나, 의료인이 동일한 주의의무로 의료행위를 한 경우에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중상해’가 발생하거나 ‘중상해가 아닌 상해’가 발생할 수 있고, 중상해가 발생한 경우를 형사처벌특례 대상에 포함한다고 하더라도 의료인이 향후 합의금 지급 등의 부담을 감수하고서도 주의의무를 게을리 하여 도덕적 해이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되지는 않으므로, 중상해가 발생한 의료사고에 대하여도 피해자의 처벌불원의사와 조정 성립을 전제로 하여 형사처벌특례를 적용할 수 있도록 위 조항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 논문 요약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 제2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제 4
      • 제1절 의료행위의 정의와 의료분쟁의 추세 4
      • 1. 의료행위의 정의와 특성 4
      • 2. 의료분쟁의 추세 8
      • 제2절 의료과실에 대한 법제 9
      • 1. 의료과실의 정의와 유형 9
      • 2. 민사책임 12
      • 3. 형사책임 22
      • 제3절 의료무과실에 대한 법제 29
      • 1.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이하 ‘의료분쟁조정법’이라 함)」상 불가항력 의료사고보상제도 29
      • 2.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감염병예방법’이라 함)」상 국가보상제도 30
      • 3. 약사법상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제도 31
      • 제3장 종래의 의료분쟁해결제도와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이하 ‘조정중재원’이라 함)의 분쟁해결제도에 대한 현황과 평가 33
      • 제1절 의료분쟁해결제도 전반에 대한 현황과 평가 33
      • 1. 소송적 분쟁해결제도 현황 33
      • 2. 소송외적 분쟁해결제도 현황 38
      • 3. 의료분쟁해결제도에 대한 설문조사 50
      • 4. 현황 및 설문조사결과에 대한 고찰 및 제언 54
      • 제2절 조정중재원의 분쟁해결제도에 대한 현황과 평가 61
      • 1. 의료분쟁조정법의 입법 경과와 특징 61
      • 2. 의료분쟁조정법의 분쟁해결제도에 대한 법제와 현황 70
      • 3. 현황에 대한 평가 117
      • 제4장 외국의 의료분쟁해결제도와 비교법적 고찰 120
      • 제1절 미국, 독일, 일본, 영국의 의료분쟁해결제도 120
      • 1. 미국 120
      • 2. 독일 123
      • 3. 일본 130
      • 4. 영국 134
      • 제2절 각국 제도의 장·단점과 우리나라 분쟁해결제도 발전을 위한 시사점 136
      • 1. 미국 136
      • 2. 독일 138
      • 3. 일본 139
      • 4. 영국 140
      • 제5장 조정중재원의 의료분쟁해결제도 활성화를 위한 제언 142
      • 제1절 감정·조정제도 개선 142
      • 1. 감정서를 사실관계 위주로 작성하여 감정과 조정의 영역을 구분 142
      • 2. 신체검진을 중립적인 기관이 담당하여 후유장애 감정의 객관성 확보 146
      • 3. 수탁감정사건의 충실한 검토를 위한 자료보완 148
      • 4. 예외적 조정자동개시제도를 원칙적 조정자동개시제도로 전환 150
      • 제2절 불가항력 의료사고보상제도 개선 154
      • 1. 보상대상 의료사고를 단계적으로 확대 154
      • 2. 보상금 지급대상을 조정중재원 사건으로 제한한 시행령을 개정 157
      • 제3절 손해배상금 대불제도 개선 162
      • 1. 대불제도 적용대상 축소 주장에 대한 반대 162
      • 2. 대불금에 상한액을 설정하여 지속적인 제도운영의 발판 마련 162
      • 제4절 형사처벌특례제도 개선 165
      • 1. 중과실치상죄도 특례 대상에 추가 165
      • 2. 법원이나 한국소비자원에서 조정이 성립된 경우도 특례 대상에 추가 171
      • 3. 중상해가 발생한 경우도 특례 대상에 추가 172
      • 4. 처벌불원의사를 조정결정서 등에 기재한 경우 조정실무상 제언 174
      • 제6장 결론 185
      • 부록 188
      • 참고문헌 195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2015, "형법총론", 홍문사, 법문사, 2017

      2 박영규, "형법총론", 경찰승진연구회, 박영사, 2011

      3 陈子平, "형법총론", 中国人民大学出版社, 박영사, 2009

      4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박영사, 2017

      5 김재윤, "의료분쟁과 법", 율곡, 율곡출판사, 2015

      6 정성근, 정준섭, "형법강의 총론", 박영사, 2016

      7 김나경, 이상돈, "의료법강의 제2판", 법문사, 2013

      8 곽윤직, "민법주해ⅩⅨ 채권(12)", 박영사, 2012

      9 곽윤직, "민법주해 제Ⅸ권 채권(2)", 박영사, 2013

      10 전병남, "의료분업과 신뢰의 원칙", 대한의료법학회, 의료법학, 2003

      1 2015, "형법총론", 홍문사, 법문사, 2017

      2 박영규, "형법총론", 경찰승진연구회, 박영사, 2011

      3 陈子平, "형법총론", 中国人民大学出版社, 박영사, 2009

      4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박영사, 2017

      5 김재윤, "의료분쟁과 법", 율곡, 율곡출판사, 2015

      6 정성근, 정준섭, "형법강의 총론", 박영사, 2016

      7 김나경, 이상돈, "의료법강의 제2판", 법문사, 2013

      8 곽윤직, "민법주해ⅩⅨ 채권(12)", 박영사, 2012

      9 곽윤직, "민법주해 제Ⅸ권 채권(2)", 박영사, 2013

      10 전병남, "의료분업과 신뢰의 원칙", 대한의료법학회, 의료법학, 2003

      11 곽윤직, "민법주해 제ⅩⅤ권 채권(8)", 박영사, 2009

      12 정현미, "의료과오의 형사법적 책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97-12, 1997

      13 곽윤직, "민법주해 제ⅩⅧ권 채권(11)", 박영사, 2012

      14 김덕은, "의료분쟁의 합리적 해결방안", 민사법연구 vol.16, 2008

      15 강준한, "의료분쟁의 합리적 해결 방안",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6 심영주, 백경희, "의료중과실에 대한 법적 고찰", 사법, 2017

      17 이인영, "의료행위의 현대적 의의와 과제", 한국법정책학회, 법과 정책연구 제7집 제1호, 2007

      18 박준수, "의료분쟁의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9 김한나, 이얼, "개정 의료분쟁조정법의 전망과 과제",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 소 연구보고서, 2017

      20 박영호, "의료감정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의료분 쟁해결을 위한 감정의 역할’ 세미나자료, 2015

      21 이재형, "의료사고의 피해자구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2 이백휴, 최진우, 이얼, "의료분쟁조정제도의 실효적 운영방안",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대한의사협회 의료 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2011

      23 이석배, 최민영, "의료사고에 대한 분쟁조정과 형사책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5-AA-06, 2015

      24 조민석, "의료과오소송에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한국법이론실무학회, 법이론실무연구 제4권 제2호, 2016

      25 장성환, "의료분쟁 조정강제개시 법제화의 문제점", 의료와 법 Vol.12 No.4, 2014

      26 전병남, "의료분쟁조정법안(약칭)의 민사법적 고찰", 대한의료법학회, 의료법학 제11권 제1호, 2010

      27 이얼, "2016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의 분석 및 과제",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이화여자대학교 법학논집 제21권 제3호, 2017, 2017

      28 김선중, 원선애, "의료과오의 유형적 분석-~2001 재판사례중심", 한국의료법 학회지, 2002, 2000

      29 서성운, "의료분쟁과 ADR-의료분쟁조정법을 중심으로-", 고려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0 이서영, "미국의 대체적 의료분쟁해결 관련 법제 분석", 비교법제 연구 12-20-②, 2012

      31 백경희, "주사행위에서의 의료과실과 책임에 관한 연구", 홍익법학 제17권 제4호, 2016

      32 홍상범, "조정절차 자동개시에 대한 중환자 의사의 소고", 계간의료정책포럼, 제 14권 제4호, 2016

      33 김명엽, "의료분쟁조정법상의 문제점과 개선에 관한 고찰", 한국법이론실무학회, 법률실무연구 제1권 제2호, 2013

      34 정도희,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성균관법학 제22권 제3호, 2010

      35 최장섭, "일본,미국,독일의 대체적 의료분쟁해결제도 고찰", 연세의료 과학기술과 법 제4권 제2호, 2013

      36 정연숙, "의료사고감정단 감정성과와 감정업무에 관한 고찰", 고 려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6

      37 황만성, "허위진단서작성과 진료기록 허위기재의 법적 문제",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Vol.28 N0.1, 2011

      38 김용희, "의료행위의 형법적 성격 고찰, 법학논집 제32권 제2호", 청주대학교 법 학연구소, 2010

      39 최민영, "회복적 사법과 의료분쟁조정법상의 형사처벌특례제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제23권 제2호, 2012

      40 이백휴,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상 감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법과 정책연구 제11집 제4호, 2011

      41 한두희,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을 둘러싼 몇 가지 쟁점에 대한 고찰", 법조협회, 법조 Vol.675, 2012

      42 황만성, "「의료인과 환자간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적`제도적 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3-200, 2005

      43 박영호, "형사상 의료과실 및 인과관계 인정과 관련된 대법원 판례분석", 대한의료법학회, 의료법학 Vol.15. N0.2, 2014

      44 장영일, "의료중재원 감정 절차의 현황 및 개선 방안-신속성을 중심으로", 의료 분쟁조정제도 시행 3주년 세미나 자료집, 2015

      45 정영훈,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조정법에 관한 민사법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국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2

      46 문하영, 조민석, "의료분쟁에서 환자측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입증책임을 중심으 로-",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 제47집, 2016

      47 김기경, 손명세, 민혜영, "산부인과 의료사고배상의 합리적 방안- 유형별 구조분석을 중심하여", 한국의료법학회,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2권 제2호, 2004

      48 신현호, 김기영,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大韓辯護士協會, 인권과정의, 2017

      49 김성은,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자동조정절차개시제도 도입경과 및 개선방안",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50 신헌준, "의료소송의 지연사유와 그 개선방안-서울지방법원 의료전담부 판례 중심-", 연세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3

      51 이인영, "의료분쟁조정법의 입법과정에서의 의사배상책임보험제도의 도입에 관 한 논의", 연세법학회, 연세법학연구 Vol.7 No.1, 2000

      52 김영태, "전원의무 관련 쟁점 및 대법원판례 고찰-대법원 선고 2009 도7070판결을 중심으로-", 의료법학, 2013, 2010

      53 이인영, "무과실 의료사고의 피해자 구제제도를 위한 실태조사 및 인식도조사 에 관한 연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2003

      54 신은주,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조정등에 관한 법률에 있어서 조정제도 및 향후전망", 한국의료법학회,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9권 제1호, 2011

      55 손명세, "의료분쟁조정제도 실행방안 연구, 보건복지부장관 학술연구용역사업 최종결과보고서",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소, 2009

      56 황만성, "의료분쟁조정법상 형사처벌특례제도의 쟁점과 과제-의료형사 사건의 최근 경향과 쟁점", 대한의료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문, 2011

      57 김기영, "의료책임에 있어서 의사의 권한과 환자의 권리:진료과오와 설명의무의 문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경희법학 제47권 제2호, 2012

      58 박미라, "의료분쟁조정제도에 대한 연구-각 국의 입법 정책 및 의료분쟁조정법 상 제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59 류부곤, "의료분쟁에 대한 형법적 대처에 있어서 새로운 논의-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평가와 조정제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제23권 제1호, 2015

      60 최윤애,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연구-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과 한국소비자 원의 의료분쟁조정제도 비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1 박영호,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입증과 그 방법-대법원 1995.2.10.선고 93다52402 판결에 대한 연혁적 분석을 중심으로", 저 스티스, 2004

      62 백경희, 안법영, "의료사고 보상사업상 보상청구권의 법적 의미에 관한 일별-의 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46조에 관하여 -", 한국의료법학회,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9권 제2호, 2011

      63 백경희, "의료분쟁조정 신청절차에서의 입법적 개선방안에 대한 소고-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27조를 중심으로-", 법 제연구 제44호,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