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복분자 분말 첨가 장어 소스의 이화학적 성분 및 품질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652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eel sauce added with bokbunja powder were evaluated,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rude fiber contents increased in eel sauce with increasing amount of bokbunja powder, The lowest pH and salinity were observed in eel sauce added with 80% bokbunja powder, whereas the solid content, titratable acidity, and viscosity were the highest. Regarding Hunter’s color results, lightness Land redness a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bokbunja, and the red col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ch sample. In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the color, bokbunja flavor, bokbunja taste, salty taste, and moistnes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amount of bokbunja powder. Overall acceptability from 80%<60%<40%<0%<20% sequence supplemented with 20% in group symbols 7.08 to higher. Eel sauce added with 20% bokbunja powder produced the most desirabl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amounts of added bokbunja powder.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eel sauce added with bokbunja powder were evaluated,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rude fiber contents increased in eel sauce with increasing amount of bokbunja powder, The ...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eel sauce added with bokbunja powder were evaluated,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rude fiber contents increased in eel sauce with increasing amount of bokbunja powder, The lowest pH and salinity were observed in eel sauce added with 80% bokbunja powder, whereas the solid content, titratable acidity, and viscosity were the highest. Regarding Hunter’s color results, lightness Land redness a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bokbunja, and the red col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ch sample. In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the color, bokbunja flavor, bokbunja taste, salty taste, and moistnes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amount of bokbunja powder. Overall acceptability from 80%<60%<40%<0%<20% sequence supplemented with 20% in group symbols 7.08 to higher. Eel sauce added with 20% bokbunja powder produced the most desirabl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amounts of added bokbunja powd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수산과학원, "한국수산물성분표"

      2 김정상, "식품영양실험핸드북(세포배양)" 효일 293-297, 2000

      3 김우정, "식품관능검사법" 효일출판사 33-, 2001

      4 최수근, "소스의이론과 실체" 형설출판사 21-60, 2004

      5 조선일보, "소스를 바꿨더니 손님이 줄선다. 외식창업‘소스전쟁’"

      6 조영, "석류와 천년초 분말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134-142, 2009

      7 전순실, "석류 외피 분말을 첨가한 우리 생면의 조리 특성" 한국조리학회 15 (15): 128-136, 2009

      8 신길만, "석류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492-498, 2008

      9 성기협, "석류 농축액을 첨가한 장어 데리야끼 소스의 개발"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439-444, 2010

      10 김현덕, "서양요리의 이용실태 및 소스(Sauce)가 음식품질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2 (12): 307-317, 2002

      1 국립수산과학원, "한국수산물성분표"

      2 김정상, "식품영양실험핸드북(세포배양)" 효일 293-297, 2000

      3 김우정, "식품관능검사법" 효일출판사 33-, 2001

      4 최수근, "소스의이론과 실체" 형설출판사 21-60, 2004

      5 조선일보, "소스를 바꿨더니 손님이 줄선다. 외식창업‘소스전쟁’"

      6 조영, "석류와 천년초 분말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134-142, 2009

      7 전순실, "석류 외피 분말을 첨가한 우리 생면의 조리 특성" 한국조리학회 15 (15): 128-136, 2009

      8 신길만, "석류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492-498, 2008

      9 성기협, "석류 농축액을 첨가한 장어 데리야끼 소스의 개발"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439-444, 2010

      10 김현덕, "서양요리의 이용실태 및 소스(Sauce)가 음식품질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2 (12): 307-317, 2002

      11 서경미, "부산 지역 여성 소비자의 소스제품 구매 현황 및 광고매체 유형의 신뢰도 조사" 한국조리학회 13 (13): 87-98, 2007

      12 박영서, "복분자의 유산발효와 생리활성 평가"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6 (46): 367-375, 2003

      13 차연수, "복분자를 첨가한 초콜릿의 최적 배합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193-1197, 2007

      14 정수지, "복분자(Rubus coreanum Miquel) 즙을 이용한 드레싱 제조의 재료 혼합 비율의 최적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497-504, 2008

      15 조은자, "복분자 첨가 설기떡의 저장 중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6 (16): 458-467, 2006

      16 권경순, "복분자 착즙액을 참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17 (17): 272-277, 2004

      17 농촌진흥청, "복분자 및 머루를 이용한 과실주 개발" 2003

      18 한국농어민신문, "복분자 가공식품 봇물" 한국농어민신문사 2006

      19 오세욱, "두부에 저장성에 미치는 복분자, 가자육, 오배자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4 (34): 746-749, 2002

      20 박미란, "데리야끼(Teriyaki) 조미액을 이용한 송이 데리야끼 절임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7 (17): 72-80, 2007

      21 박효남, "데리야끼 소스의 제품응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111-121, 2006

      22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통계연보"

      23 정창호, "국내 시판 블루베리와 라즈베리의 영양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375-1381, 2008

      24 배종진, "건강을 지키는 22가지 토종약초" H & Book 12-, 2007

      25 김용식, "가열시간에 따른 Chicken Consomme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4 (14): 387-396, 2004

      26 김용식, "가열시간에 따른 Beef Consomm 조리법의 기호도 및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9 (19): 271-279, 2003

      27 Oh HS, "Studies on the making of teriyaki sauce using Korean soy sauce" 9 : 102-113, 2003

      28 Park WB, "Studies on the flavor of chicken teriyaki sauce with different soy sauce" Kyunghee University 2001

      29 Cousminer JJ, "Savory fruit-based salsas" 50 : 70-, 1996

      30 SAS, "SAS User's Guide Statistics"

      31 Thorner Manning, "Quality control in food service" Chapman& Hall Co 157-159, 1983

      32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31-, 1999

      33 Jeong JS, "Encyclopedia of oriental medical" Young Rim Publishing Co. Ltd 461-, 1996

      34 Heo J, "Donguibogam1-5" Yeogang Publishing Co 62-, 1994

      35 Korea Alcohol Liquor Industry Association, "Alcohol Beverage New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외국어명 :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2 1.47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