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장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신뢰 형성 근거와 결과 = The Grounds and Consequences of Trust Form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Princip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77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장에 대한 신뢰 근거는 무엇이며, 그 결과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2명의 초등학교 교사들과 면담을 했으며, 귀납적...

      이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장에 대한 신뢰 근거는 무엇이며, 그 결과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2명의 초등학교 교사들과 면담을 했으며, 귀납적 범주 구성 절차를 거쳐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장에 대한 신뢰 형성의 근거로는 교육적 철학을 공유하고 행동으로 보여주기, 불필요한 업무 조정, 공정한 권한 행사, 믿음을 전제한 소통, 교사에 대한 관심과 보호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장을 신뢰한 결과는 교사들이 자신을 방어하고 교장을 회피하는데 사용되었던 불필요한 에너지를 줄여주고, 개별 교실에 고립되었던 교사들의 힘을 함께 모으는 데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학교급, 학교 규모, 혁신학교의 유무 등 학교 배경 요인에 따른 교사의 교장에 대한 신뢰 경험을 볼 필요가 있으며, 같은 상황을 두고도 교장과 교사 간에 상호 신뢰에 대한 인식과 경험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한다면 깊이 있는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rounds and consequ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ust formation in their principal.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he data for research was gather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rounds and consequ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ust formation in their principal.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he data for research was gather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ter the inductive category formation procedure, the basis for building trust in the principal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nds of forming trust in the principa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found to affect the school principal's educational philosophy, his ability to coordinate work and fairness, communication based on faith, interest and protection for teachers. Second, the resul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ust in principals have affected teachers' defense, reducing unnecessary energy used to evade principals and gathering the power of teachers who had been isolated in individual classrooms.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trust experiences of teachers based on school background factors such as school level, size of school, and the type of school. In-depth interpretation would be possibl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experien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terpret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mutual trust between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 even under the same circumsta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영재, "한국 초등학교 교사문화의 특성과 교육 행정적 함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11-136, 2010

      2 최류미, "학생에 대한 교사의 신뢰 인식과 실천 -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축을 지향하며" 한국교육사상학회 30 (30): 177-197, 2016

      3 박상완, "학교행정가 전문성의 개념과 개발 방안"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61-87, 2019

      4 김성열, "학교장의 직무수행과 리더십 : 지향과 현실, 그리고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1-29, 2019

      5 허은정, "학교장의 리더십 행동 양상과 변화지향적 학교 풍토 간 구조적 관계 분석: ‘수업 지원 노력’과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59-383, 2018

      6 Gimbel, P. A., "학교경영과 신뢰-교장과 교사간 신뢰 증진 방안" 원미사 2010

      7 Fullan, M., "학교개혁은 왜 실패하는가" 21세기교육연구소 2017

      8 문지윤, "초임 공모교장(초빙형)의 적응과정에 대한질적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201-1231, 2018

      9 성낙돈, "초등학교장의 핵심 역량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325-348, 2008

      10 이기용, "초등학교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학교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1-22, 2017

      1 오영재, "한국 초등학교 교사문화의 특성과 교육 행정적 함의"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111-136, 2010

      2 최류미, "학생에 대한 교사의 신뢰 인식과 실천 -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축을 지향하며" 한국교육사상학회 30 (30): 177-197, 2016

      3 박상완, "학교행정가 전문성의 개념과 개발 방안"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61-87, 2019

      4 김성열, "학교장의 직무수행과 리더십 : 지향과 현실, 그리고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1-29, 2019

      5 허은정, "학교장의 리더십 행동 양상과 변화지향적 학교 풍토 간 구조적 관계 분석: ‘수업 지원 노력’과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59-383, 2018

      6 Gimbel, P. A., "학교경영과 신뢰-교장과 교사간 신뢰 증진 방안" 원미사 2010

      7 Fullan, M., "학교개혁은 왜 실패하는가" 21세기교육연구소 2017

      8 문지윤, "초임 공모교장(초빙형)의 적응과정에 대한질적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201-1231, 2018

      9 성낙돈, "초등학교장의 핵심 역량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325-348, 2008

      10 이기용, "초등학교장의 오센틱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학교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1-22, 2017

      11 김도기, "초등학교 학교장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437-462, 2016

      12 권동택, "초등학교 교장의 리더십이 교사의조직헌신 및 집단응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41-61, 2007

      13 류방란,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과 문화" 한국교육개발원 2002

      14 김대현, "초등학교 교사들의 동료에 대한 신뢰 형성의 근거와 결과" 교육발전연구소 26 (26): 63-81, 2016

      15 최윤정, "초등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교육과정리더십과 학교교육과정 질과의 관계" 14 (14): 179-195, 2007

      16 주영효,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의미 구조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31-62, 2019

      17 손성호, "지속가능한 혁신교육 확산을 위한 학교장의 역량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87-107, 2019

      18 김이경, "우수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325-350, 2008

      19 송은석, "신뢰중심의 조직관리" 탑북스 2012

      20 한홍진, "신뢰받는 학교의 7가지 미덕" 두남 2012

      21 김석우, "교육연구방법론" 학지사 2015

      22 주현준, "교육리더십 연구의 재조명"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25-45, 2016

      23 강경석, "교사의 학교장 신뢰와 동료교사 신뢰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3 (13): 35-64, 2007

      24 이숙정, "교사가 지각한 신뢰 척도의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119-137, 2005

      25 이쌍철, "교사-교장 신뢰가 교사의 사기 및 학교만족에 주는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43-63, 2011

      26 홍창남, "교사-교장 간 신뢰가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327-350, 2010

      27 이숙정, "‘관계적 신뢰’에 의한 도덕적 교육공동체 형성 가능성" 한국도덕교육학회 18 (18): 157-178, 2006

      28 Bryk, A, "Trust in School: : A Core Resource for Improvement" Russell Sage Foundation 2002

      29 Mayring, P,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1 (1): 1-10, 2000

      30 Tschannen-Moran, M., "Fostering Teacher Professionalism in Schools : The Role of Leadership Orientation and Trust" 45 (45): 217-247, 2009

      31 Hoy, W. K., "Five Faces of Trust : An Empirical Confirmation in Urban Elementary Schools" 9 (9): 184-208, 1999

      32 Tschannen-Moran, M., "Collaboration and the Need for Trust" 39 (39): 308-331,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6 1.39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