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도상국의 빈곤인구 대부분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며, 그들의 생계를 농업에 의존하며 살아간다. 또한 대부분 개발도상국의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농업의 발전이 국가의 발전을 주도하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997271
서울 : 건국대학교, 2016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 축산경영·유통경제학과 , 2016
2016
한국어
522.45 판사항(6)
334.683 판사항(23)
서울
vii, 81장 ; 26 cm
지도교수: 최승철
참고문헌: 장 75-7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개발도상국의 빈곤인구 대부분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며, 그들의 생계를 농업에 의존하며 살아간다. 또한 대부분 개발도상국의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농업의 발전이 국가의 발전을 주도하기 ...
개발도상국의 빈곤인구 대부분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며, 그들의 생계를 농업에 의존하며 살아간다. 또한 대부분 개발도상국의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농업의 발전이 국가의 발전을 주도하기 때문에 농업과 농촌지역의 발전·성장은 개발도상국의 빈곤인구 감소와 국가성장에 큰 영향을 준다.
전 세계의 빈곤인구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국제사회의 움직임과 함께 한국정부에서도 공적개발원조를 통하여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돕고 있다. 특히 농업분야에서는 한국형 농촌개발모델인 새마을운동을 개발도상국에 적용하는 연구와 사업이 진행 중이다. 한국의 새마을 운동 성공요인은 중앙정부의 주도와 농업협동조합의 협조 그리고 농촌지역 지도자와 농촌지역 주민조직의 자발적이며 적극적인 참여이다. 따라서 개발도상국 농촌종합개발사업 시에 먼저 시행되어야 할 사업은 농민조직의 활성화이다. 협동조합은 농민조직에 참여하는 농민들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고 지속가능한 모델로서, 지역의 농민조직을 협동조합 형태로 만드는 것이 농민들이 직접 조직을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방안이다.
농민조직의 활성화를 위한 첫 걸음을 소규모 농가의 협동조합 가입 독려로 판단하고 소규모농가의 협동조합 가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아프리카 3개국(가나, 우간다, 탄자니아) 소규모 농가의 농업협동조합(농민조합) 참여 속성을 분석결과 사회적 요인으로는 교육수준이 낮으며 나이가 많은 남성일수록 협동조합에 가입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요인으로는 농장크기가 작고 다양한 작물을 재배할수록, 판매요인은 수확물을 판매하는 농가에 비하여 판매하지 않는 농가일수록, 서비스요인은 대출을 이용하지 않으며 최근 농업관련 교육경험이 없는 농가일수록 협동조합 가입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장크기가 작으며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는, 나이가 많으며 교육수준이 낮은 남성 농민을 협동조합에 가입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대출을 이용하지 않으며 농업관련 교육이 없는 농가의 협동조합 가입 유인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ee over four poor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live in rural areas and depend on agriculture for their living. And agriculture is major industry of most developing country, so rural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impact on reduction of poverty and ...
Three over four poor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live in rural areas and depend on agriculture for their living. And agriculture is major industry of most developing country, so rural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impact on reduction of poverty and national economic growth.
Along with global movement to reduce the poor, Korean government has helped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ODA. Especially in field of agriculture, many researches and projects are in process to reply Saemaul movement to developing countries. Success factors of Saemaul movement in Korea are three: lead of central government, cooperation of cooperative society, and spontaneous participation of the leader and members in rural community association. Therefore, the first stage of rural develop project in a developing country is the activation of farmer association. Cooperative society is the model which can harden cohesion of farmers participating in community and be sustainable. It is effective way to manage community that change farmer association to cooperative society.
The first step of the activation of farmer association is encouragement of join of cooperative society to small farmers. The result for agricultural cooperative participation factor of smallholder farmers on three of countries in africa(Ghana, Uganda and Tanzania), older male farmer who has low level of education is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cooperative in social factor. In production factor, the more farmer has small farm, and grow many kind of crop, the less farmer participate in cooperative. Farmers group don't sell harvest crops tend to less participation in cooperative compare to farmer group sell harvest crops. Farmers who have not a experience about getting a loan and attending agricultural training a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cooperaiv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