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마당놀이에 나타난 전통연희의 전승양상 연구 = The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traditional theatre Madang-no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480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dang-nori is the performance mode of 30 years which has popularized successfully through the acceptance and recreation of traditional performance. Since 1970s and 1980s, there were movements to create the archtype of Korean theatre overcoming the submissive acceptance of Western theatre. The theatre movements have begun to include the traditional elements in our theatre to show the concerns about the traditional theatre. Under the name of modern recreation of the tradition, many theatrical modes were produced based on the folk arts like shaman arts, mask dance, and pansori, but these modes couldn't carried through ten years.
      Considering those historical evidences, Madang-nori should be highly appraised in that it reinterprets the modes newly based on the traditional theatre, reconstructs them in contemporary sense to be the original mode of Korean musical, and keeps the tradition alive.
      I work over in this thesis to study the originality and the relevance with the traditional theatre of Madang-nori by the theoretical explication to show its evolutive succession of traditional theatre.
      Madang-nori mode makes the multi layered structure of the space by using open space. In Madang-nori, theatre space itself is able to make space in theatre, to become ordinary space or ritual space, and to show the space fusion synchronously. With the space change and the fusion whenever it is needed, Madang-nori mode constructs multi layered space to achieve the communal unity as the two way venue of festive understanding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layer. I compared it with the space of the Western theatre which separates the actors and the audience to the bottom to create the other spatial time from the real spatial time for the dramatic immersion.
      Since Madang-nori takes its material from the pansories and ancient stories, and its narrator goes between the stage and the audience to make an communal identity, Madang-nori is able to keep its whole description. Also because of its open playfulness, Madang-nori can enlarge the theatrical play to let the player and the audience watch the performance with objective and critical attitudes.
      Open acting in the open space produces realistic presence and impromptu reaction. This impromptu reaction with moveable dramaturgy ensures the active engagements of the audience to recognize the 'playfulness' of Madang-nori. The presence of the impromptu can be displayed quickly by the actors' understanding on the social issues and the whole flow of the performance. Jest and satire, the necessities of the traditional performer, can be shown theatrically by the complete training of the traditional acting and the traditional voices.
      Considering on its successive repertoire of every year from the <THE TALE OF HEUSAENG> in 1981 to < THE TALE OF KAEGUL> in 2007, Madang-nori should be read its theatrical import now.
      Because of the lack of the studies for Madang-nori, it has been treated as the same theatrical mode with Madang-Geuk and considered often as a corrupted commercial play. However, there are some similarities of these newly framed modes of Madang-nori and Madang-Geuk in the acceptance and recreation of traditional arts, but their theatrical view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Many attempts to modernize the traditional arts couldn't keep up more than ten years. It is because the Western logic of theatre couldn't solve the question how to accept the traditional arts, and how it is related with the contemporary theatre by the lack of professionalism for the theatrical mode. In the space of "Madang", Madan-nori is the theatrical mode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by jests, satire, and the critical view to interpret the ancient stories with modern viewpoint and to recreate the epic theatre structure of Mask dance, Pansori, and Daedong-Gut.
      번역하기

      Madang-nori is the performance mode of 30 years which has popularized successfully through the acceptance and recreation of traditional performance. Since 1970s and 1980s, there were movements to create the archtype of Korean theatre overcoming the su...

      Madang-nori is the performance mode of 30 years which has popularized successfully through the acceptance and recreation of traditional performance. Since 1970s and 1980s, there were movements to create the archtype of Korean theatre overcoming the submissive acceptance of Western theatre. The theatre movements have begun to include the traditional elements in our theatre to show the concerns about the traditional theatre. Under the name of modern recreation of the tradition, many theatrical modes were produced based on the folk arts like shaman arts, mask dance, and pansori, but these modes couldn't carried through ten years.
      Considering those historical evidences, Madang-nori should be highly appraised in that it reinterprets the modes newly based on the traditional theatre, reconstructs them in contemporary sense to be the original mode of Korean musical, and keeps the tradition alive.
      I work over in this thesis to study the originality and the relevance with the traditional theatre of Madang-nori by the theoretical explication to show its evolutive succession of traditional theatre.
      Madang-nori mode makes the multi layered structure of the space by using open space. In Madang-nori, theatre space itself is able to make space in theatre, to become ordinary space or ritual space, and to show the space fusion synchronously. With the space change and the fusion whenever it is needed, Madang-nori mode constructs multi layered space to achieve the communal unity as the two way venue of festive understanding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layer. I compared it with the space of the Western theatre which separates the actors and the audience to the bottom to create the other spatial time from the real spatial time for the dramatic immersion.
      Since Madang-nori takes its material from the pansories and ancient stories, and its narrator goes between the stage and the audience to make an communal identity, Madang-nori is able to keep its whole description. Also because of its open playfulness, Madang-nori can enlarge the theatrical play to let the player and the audience watch the performance with objective and critical attitudes.
      Open acting in the open space produces realistic presence and impromptu reaction. This impromptu reaction with moveable dramaturgy ensures the active engagements of the audience to recognize the 'playfulness' of Madang-nori. The presence of the impromptu can be displayed quickly by the actors' understanding on the social issues and the whole flow of the performance. Jest and satire, the necessities of the traditional performer, can be shown theatrically by the complete training of the traditional acting and the traditional voices.
      Considering on its successive repertoire of every year from the <THE TALE OF HEUSAENG> in 1981 to < THE TALE OF KAEGUL> in 2007, Madang-nori should be read its theatrical import now.
      Because of the lack of the studies for Madang-nori, it has been treated as the same theatrical mode with Madang-Geuk and considered often as a corrupted commercial play. However, there are some similarities of these newly framed modes of Madang-nori and Madang-Geuk in the acceptance and recreation of traditional arts, but their theatrical view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Many attempts to modernize the traditional arts couldn't keep up more than ten years. It is because the Western logic of theatre couldn't solve the question how to accept the traditional arts, and how it is related with the contemporary theatre by the lack of professionalism for the theatrical mode. In the space of "Madang", Madan-nori is the theatrical mode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by jests, satire, and the critical view to interpret the ancient stories with modern viewpoint and to recreate the epic theatre structure of Mask dance, Pansori, and Daedong-Gu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마당놀이는 전통연희의 수용과 재창조 과정을 통해 전통의 현대화 작업이라는 명분으로 소통과 축제적 놀이성을 성공적으로 대중화하면서 30여 년 동안 지속되어온 공연양식이다. 1970~80년대에 서양연극의 일방적 답습에서 벗어나 우리 연극의 원형을 창조해보자는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전통연희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는 가운데 전통적 요소를 수용한 연극운동이 일어났다. 전통의 현대적 재창조라는 이름으로 소위 무속이라든가 탈춤, 판소리 민요 등 전통 민속을 소재로 다양한 극 양식들이 만들어졌지만 10년을 지속하지 못하고 시들해져 갔다.
      그런 역사적 사실을 감안할 때 마당놀이는 전통연희를 바탕으로 새롭게 작품을 해석하고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한국적 뮤지컬의 독보적인 존재로 자리 잡으며 전통의 현대화라는 명맥을 이어왔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이에 본고는 마당놀이가 전통의 편협하고 근시안적 계승에 멈춘 것이 아니라 마당놀이가 근거하고 있는 전통연희의 수용방법과 그것을 해명하는 이론의 근거를 모색하여 마당놀이 자체의 고유한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마당놀이의 공연형식은 열린 공간의 개방성으로 공간의 다층구조를 형성한다. 공간의 변화를 살펴보면 공연 장소의 전체가 극중 공간으로 형성되기도 하며 일상의 공간과 제의적인 공동체 공간으로 변하기도 하고 동시 진행의 공간결합을 볼 수 있다. 자유로운 공간의 이동과 결합은 관객과 연희자의 쌍방향적 만남의 축제적 소통의 공간으로 공동체적 합일을 이뤄 낼 수 있는 다층적 공간구조를 구성한다. 서구 근대극이 현실과 분리된 시공간을 창출해내며 극적 몰입을 위해 배우와 관객을 철저히 분리시키는 것과 대조적이라고 할 수 있다.
      마당놀이의 내용은 판소리계 소설과 고대소설 작품을 소재로 하기 때문에 진행자의 존재방식과 역할은 이쪽에 서기도 하고 저쪽에 서기도 하며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공동체적 정체성을 만들기 때문에 연극적 놀이기능을 확대하여 자유자재로 놀다가도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 전체적인 서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들며, 연희자나 관객이 모두 극의 내용을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도록 만드는 역할을 한다.
      열린 공간에서의 열린 연기는 현장성과 즉흥성을 만들며 즉흥성은 가변적 극작술로 관객의 적극적인 극 개입의 통로를 확보하며 마당놀이가 ‘놀이’라는 개념을 관객에게 인식시킨다. 즉흥 연기의 현장성은 배우에게 사회적 인식과 극 전체를 관망할 줄 아는 순발력을 요구하며 전통적 광대의 모습으로 철저한 놀이정신을 담은 해학과 풍자는 그것을 연극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우리 몸짓, 우리 소리에 대한 훈련이 되어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1981년 허생전을 시작으로 2007년 쾌걸 박씨에 이르기까지 매년 공연 때마다 대중의 사랑을 받으며 지속되어 왔다는 것은 연극사적으로 의미 있는 일이다. 마당놀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다보니 마당극과 마당놀이를 같은 연극적 양식으로 보면서도 마당극에 비해 가치를 폄하하고 상업극으로 치부해 버리곤 했다. 전통연희의 수용과 재창조 과정에서 새롭게 정립된 양식에서는 비슷하게 볼 수 있지만 지향하는 연극적 세계관은 다른 것이다.
      그동안 시도되었던 전통의 현대화 작업을 10년 이상 지속시키지 못한 것은 극 양식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전통연희를 어떻게 수용해야 할지, 그리고 동 시대의 극 안에 어떻게 연결할지의 문제가 서구적 논리의 한계에서 부딪치기 때문이다.
      마당놀이는 우리 전통연희의 탈춤, 판소리, 대동굿 등에서 볼 수 있는 서사극적 구조의 형식을 지금의 ‘마당’이라는 공간에서 현대적 시각으로 고전을 해석해 내고 재창조하면서 해학과 풍자와 비판정신으로 관객과의 소통을 이뤄내는 극 양식이라 할 수 있겠다.
      번역하기

      마당놀이는 전통연희의 수용과 재창조 과정을 통해 전통의 현대화 작업이라는 명분으로 소통과 축제적 놀이성을 성공적으로 대중화하면서 30여 년 동안 지속되어온 공연양식이다. 1970~80년...

      마당놀이는 전통연희의 수용과 재창조 과정을 통해 전통의 현대화 작업이라는 명분으로 소통과 축제적 놀이성을 성공적으로 대중화하면서 30여 년 동안 지속되어온 공연양식이다. 1970~80년대에 서양연극의 일방적 답습에서 벗어나 우리 연극의 원형을 창조해보자는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전통연희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는 가운데 전통적 요소를 수용한 연극운동이 일어났다. 전통의 현대적 재창조라는 이름으로 소위 무속이라든가 탈춤, 판소리 민요 등 전통 민속을 소재로 다양한 극 양식들이 만들어졌지만 10년을 지속하지 못하고 시들해져 갔다.
      그런 역사적 사실을 감안할 때 마당놀이는 전통연희를 바탕으로 새롭게 작품을 해석하고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한국적 뮤지컬의 독보적인 존재로 자리 잡으며 전통의 현대화라는 명맥을 이어왔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이에 본고는 마당놀이가 전통의 편협하고 근시안적 계승에 멈춘 것이 아니라 마당놀이가 근거하고 있는 전통연희의 수용방법과 그것을 해명하는 이론의 근거를 모색하여 마당놀이 자체의 고유한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마당놀이의 공연형식은 열린 공간의 개방성으로 공간의 다층구조를 형성한다. 공간의 변화를 살펴보면 공연 장소의 전체가 극중 공간으로 형성되기도 하며 일상의 공간과 제의적인 공동체 공간으로 변하기도 하고 동시 진행의 공간결합을 볼 수 있다. 자유로운 공간의 이동과 결합은 관객과 연희자의 쌍방향적 만남의 축제적 소통의 공간으로 공동체적 합일을 이뤄 낼 수 있는 다층적 공간구조를 구성한다. 서구 근대극이 현실과 분리된 시공간을 창출해내며 극적 몰입을 위해 배우와 관객을 철저히 분리시키는 것과 대조적이라고 할 수 있다.
      마당놀이의 내용은 판소리계 소설과 고대소설 작품을 소재로 하기 때문에 진행자의 존재방식과 역할은 이쪽에 서기도 하고 저쪽에 서기도 하며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공동체적 정체성을 만들기 때문에 연극적 놀이기능을 확대하여 자유자재로 놀다가도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 전체적인 서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들며, 연희자나 관객이 모두 극의 내용을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도록 만드는 역할을 한다.
      열린 공간에서의 열린 연기는 현장성과 즉흥성을 만들며 즉흥성은 가변적 극작술로 관객의 적극적인 극 개입의 통로를 확보하며 마당놀이가 ‘놀이’라는 개념을 관객에게 인식시킨다. 즉흥 연기의 현장성은 배우에게 사회적 인식과 극 전체를 관망할 줄 아는 순발력을 요구하며 전통적 광대의 모습으로 철저한 놀이정신을 담은 해학과 풍자는 그것을 연극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우리 몸짓, 우리 소리에 대한 훈련이 되어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1981년 허생전을 시작으로 2007년 쾌걸 박씨에 이르기까지 매년 공연 때마다 대중의 사랑을 받으며 지속되어 왔다는 것은 연극사적으로 의미 있는 일이다. 마당놀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다보니 마당극과 마당놀이를 같은 연극적 양식으로 보면서도 마당극에 비해 가치를 폄하하고 상업극으로 치부해 버리곤 했다. 전통연희의 수용과 재창조 과정에서 새롭게 정립된 양식에서는 비슷하게 볼 수 있지만 지향하는 연극적 세계관은 다른 것이다.
      그동안 시도되었던 전통의 현대화 작업을 10년 이상 지속시키지 못한 것은 극 양식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전통연희를 어떻게 수용해야 할지, 그리고 동 시대의 극 안에 어떻게 연결할지의 문제가 서구적 논리의 한계에서 부딪치기 때문이다.
      마당놀이는 우리 전통연희의 탈춤, 판소리, 대동굿 등에서 볼 수 있는 서사극적 구조의 형식을 지금의 ‘마당’이라는 공간에서 현대적 시각으로 고전을 해석해 내고 재창조하면서 해학과 풍자와 비판정신으로 관객과의 소통을 이뤄내는 극 양식이라 할 수 있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목적 = 1
      • 2. 연구사검토 및 연구방법 = 3
      • Ⅱ. 마당놀이의 형성과 전개과정 = 8
      • Ⅲ. 마당놀이 연출에 나타난 전통연희의 전승양상 = 15
      • Ⅰ. 서론 = 1
      • 1. 연구목적 = 1
      • 2. 연구사검토 및 연구방법 = 3
      • Ⅱ. 마당놀이의 형성과 전개과정 = 8
      • Ⅲ. 마당놀이 연출에 나타난 전통연희의 전승양상 = 15
      • 1-1. 공간분할과 결합구조 = 15
      • 1-2. 서사적 자아의 존재방식과 역할 = 43
      • Ⅳ. 마당놀이 연기에 나타난 전통연희의 전승양상 = 59
      • 1-1. 즉흥연기의 현장성ㆍ즉흥성 = 59
      • 1-2. 사회인식의 표출 = 71
      • Ⅴ. 마당놀이의 소통과 축제성 = 79
      • Ⅵ. 결론 = 86
      • 참고문헌 = 90
      • 국문초록 = 95
      • ABSTRACT = 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