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피아노와 근대 -초기 한국 피아노음악의 사회사 = Piano and the Moder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688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근대 피아노문화를 사회사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근대시기 피아노는 한국 근대음악의 표상으로 등장했고, 피아노음악은 문명화된 신문화로 뿌리내렸다. 피아...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근대 피아노문화를 사회사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근대시기 피아노는 한국 근대음악의 표상으로 등장했고, 피아노음악은 문명화된 신문화로 뿌리내렸다. 피아노는 1910년 경 근대식 학교를 통해 등장했는데, 초기 피아니스트로는 김영환 · 박경호 · 정애식 · 김메리 · 김원복 · 이애내 · 김영의 등이 존재했다. 이들은 주로 선교사들에 의해서 세워진 교회 및 근대식 학교를 통해 음악 입문 및 수학을 이루었고, 그 후에 본격적인 피아노 수학을 위해서 일본과 미국, 나아가 독일 유학을 감행했다. 이 시기 피아니스트들의 음악활동으로는 연주와 반주가 지배적이었다. 박경호 · 김영의 등이 독주회를 연 바 없지 않으나, 선교 · 음악 보급 · 단체 후원 · 기념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해서 옴니버스식의 연주회가 즐겨 이루어졌다. 또한 피아노는 성악 및 기악 연주회의 반주를 책임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것은 이 시기 피아노가 독주악기로서 보다 반주악기로서의 기능이 훨씬 더 우세했던 것을 반영한다. 피아노 독주를 위한 레퍼토리는 주로 서양의 고전 · 낭만시기에 한정되었다. 모차르트 · 베토벤 · 멘델스존 · 슈만 · 쇼팽 · 브람스 등의 작곡가들의 곡들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이들의 낭만적인 음악은 각종 콩쿠르의 지정곡으로 제시됨으로써 레퍼토리의 표준화를 강화시켰다. 낭만적인 음악은 물론, 낭만주의 미학관을 수용한 당대 피아니스트는 식민지 조선의 현실에도 불구하고, 이상적인 세계를 꿈꾸었다. 그러한 문명국에 대한 그들의 환상과 인식은 초기 서양 선교사들이 가졌던 오리엔탈리즘과도 무관하지 않다. 또한 근대시기는 문명적인 것, 곧 ‘깨끗하고 순수함’이 음악에서 순수음악주의를 낳았다. 김영환 · 김메리 · 김애리시 · 윤기성 · 박경호 등 많은 피아니스트들은 유행가나 재즈의 도덕 · 윤리적 저급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그들의 순수음악주의는 식민지 조선의 역사적 현실 앞에서는 둔감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n piano culture in Korea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e piano had emerged as a symbol of modern music and the piano music rooted as a civilized new culture in Korea in the early twentieth c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n piano culture in Korea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e piano had emerged as a symbol of modern music and the piano music rooted as a civilized new culture in Korea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piano was brought in through the modernized school around 1910 and the following pianists were representative of the pianist in the early stage: Young-Hwan Kim, Kyung-Ho Park, Ae-Sik Jung, Mery Kim, Won-Bok Kim, Ae-Nae Lee, and Yung-Eui Kim. The pianist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Korea mostly encountered and learned the Western music through the churches and modernized schools built by missionaries. For a full-fledged study, they took decisive actions to go abroad to Japan, America, and even to Germany. The dominant musical activities of the pianist in this era were performing as a soloist and playing as an accompanist. Even though some pianists such as Kyung-Ho Park and Young-Eui Kim performed piano solo recitals, omnibus style concerts were much more popular; there were lots of omnibus style concert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missionary, music distribution, group sponsor, and commemoration. In addition, many pianists had appeared as an accompanist for the vocal and instrumental concert in many occasions. It reflects the fact that the piano in this era functioned much more as an accompanying instrument than as a solo instrument. Solo piano repertoires in this era were limited in the Western Classical and Romantic period; such as the music of Mozart, Beethoven, Mendelssohn, Schumann, Chopin and Brahms. These composers` romantic music intensified the standardization of the repertoire by being presented as an assigned piece for various competitions. Pianists in this era, who embraced the romantic aesthetic as well as the romantic music, dreamed of an ideal world despite the reality of a colonial Chosun. Their illusion and recognition over a civilization has some kind of relationship to Orientalism, which the early Western missionaries had. In addition, the civilization of the modernity, “being clean and pure”, caused an attention to a “Pure Music” in the music. Many pianists including Young-Hwan Kim, Mery Kim, Ae-Lee-Si Kim, Ki-Sung Yun and Kyung-Ho Park raised a question over the low morality and ethicality of the popular songs and jazz music. However, their “Pure Music” was insensitive to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colonial Chosu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安東林, "梨花學堂" 1973

      2 金允植, "李箱硏究" 문학사상사 1997

      3 홍영후, "流行歌是非-해는 잇슬지언정 리익은 업습니다." 6 : 48-, 1924

      4 김영환, "流行歌是非-학교당국을 책망하시오." 6 : 47-, 1924

      5 김애리시, "流行歌是非-갓득이나 탕일한 음악엿는데" 6 : 51-, 1924

      6 윤기선, "流行歌是非-趣味가低級한것을表白하는것이외다." 6 : 52-, 1924

      7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 2004

      8 고미숙,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민족 ・ 섹슈얼리티 ・ 병리학" 책세상 2009

      9 송방송, "한국근대음악인사전" 보고사 2009

      10 서우선, "피아노 도입기 수용계층의 특성과 피아노의 사회문화적 의미" 민족음악학회 (33) : 135-160, 2007

      1 安東林, "梨花學堂" 1973

      2 金允植, "李箱硏究" 문학사상사 1997

      3 홍영후, "流行歌是非-해는 잇슬지언정 리익은 업습니다." 6 : 48-, 1924

      4 김영환, "流行歌是非-학교당국을 책망하시오." 6 : 47-, 1924

      5 김애리시, "流行歌是非-갓득이나 탕일한 음악엿는데" 6 : 51-, 1924

      6 윤기선, "流行歌是非-趣味가低級한것을表白하는것이외다." 6 : 52-, 1924

      7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 2004

      8 고미숙,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민족 ・ 섹슈얼리티 ・ 병리학" 책세상 2009

      9 송방송, "한국근대음악인사전" 보고사 2009

      10 서우선, "피아노 도입기 수용계층의 특성과 피아노의 사회문화적 의미" 민족음악학회 (33) : 135-160, 2007

      11 김미옥, "특집: 한국 초기 작곡가들의 피아노음악" 민족음악학회 (40) : 47-90, 2010

      12 朴慶浩, "콩쿨 審査後感. 1935년 10월 4일자"

      13 민경찬,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양악편" 두리미디어 2006

      14 김메리, "째스나 流行曲이 一般家庭에 끼치는 影響-남의집애라도 귀막어 주고 싶다" 33-, 1935

      15 박경호, "째스나 流行曲이 一般家庭에 끼치는 影響-道德的價値가 없다." 52-, 1935

      16 슈미드, 앙드레, "제국 그 사이의 한국 1895-1919" 휴머니스트 2009

      17 노동은, "제3전환기 선언. in: 한국민족음악 현단계" 세광음악출판사 1989

      18 노동은, "일제하 음악인들의 친일논리와 단체 in: 굴욕의 노래 친일음악" 민족문제연구소 2002

      19 노동은, "일제하 음악사회의 성격. in: 민족음악론" 한길사 1991

      20 나운영, "우리나라 피아노 교육의 발자취"

      21 이강숙, "우리 양악 100년" 현암사 2001

      22 사이드, 에드워드,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7

      23 새문안 85년사 편찬위원회, "새문안 85년사" 새문안교회 1973

      24 손태룡, "사진으로 읽는 음악사" 영남대출판부 2007

      25 金管, "바이올린 音樂小論 : 桂貞植氏 獨奏會를 압두고. 1935년 5월 14일자"

      26 김메리, "미쓰朝鮮의 世界:音樂과 美의 歌-피아니스트 金메리씨의 世界" 12 : 29-30, 1936

      27 李慶熙, "나의 愛奏曲" 72-, 1940

      28 한상우, "기억하고 싶은 선구자들" 지식산업사 2003

      29 홍선표, "근대의 첫 경험" 이화여대 출판부 2006

      30 이장직, "개화기 음악의 사회사. in: 음악과 사회" 청하 1990

      31 "音樂結婚 安柄玿 李愛內氏 新家庭訪問記" 5 : 106-113, 1941

      32 朴慶浩, "音樂時評: 桂貞植氏의 提琴獨奏會를 듯고. 1935년 5월 19일자"

      33 朝鮮日報, "第三回 全朝鮮 男女音樂콩쿨. 1937년 6월 19일자"

      34 金水鄕, "白高山 少年의 提琴獨奏會를 듣고: 君의 將來를 爲하야 苦言一二(1-4) 1936년 8월 18-21일자"

      35 朴容九, "渡美 音樂家論. in: 音樂과 現實" 民敎社 1949

      36 홍난파, "洋樂 朝鮮의 搖籃時代." 46 : 125-, 1939

      37 孫泰龍, "每日申報音樂記事總索引" 민속원 2001

      38 洪蘭坡, "東西音樂의 比較" 65-, 1936

      39 "本社主催 第四回音樂콩쿨曲目決定" 43 : 226-, 1939

      40 金南天, "朝鮮 人氣 女人藝術家 群像: 金元福 鄭勳謨" 16-17, 1937

      41 "新進音樂家巡禮-피아니스트 金信德孃" 35 : 269-, 1938

      42 김인식, "新文化 들어오던 때." 68 : 128-129, 1941

      43 "外國大學生 生活 座談會" 36-, 1939

      44 "伯林서 音樂修業 五年間 피아니스트 李愛內孃" 38-, 1938

      45 "三女子專門學校 解剖" 82-83, 1939

      46 每日申報, "1915년 8월 28일자-1945년 3월 31일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7 0.5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