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인 최초 유도10단 석진경(石鎭慶)의 생애와 사상 = Lifetime and thought of seok jin-gyeong with the 10th dan in judo for the first tim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512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수많은 업적에도 불구하고 후학들에 의해 아직 조명 받지 못한 석진경의 업적과 사상을 밝힘으로서 그의 업적과 사상을 이해하고 석진경의 삶이 후학들에게 어떻게 전해지고...

      이 연구에서는 수많은 업적에도 불구하고 후학들에 의해 아직 조명 받지 못한 석진경의 업적과 사상을 밝힘으로서 그의 업적과 사상을 이해하고 석진경의 삶이 후학들에게 어떻게 전해지고 있는지를 기술하였다. 1912년에 출생한 석진경은 배재고보 4학년 당시 본격적인 유도 수련에 매진하게 된다. 배재고보 졸업이후 일본 릿츠메이칸 대학에 진학하여 그들의 리더로서 한민족자강의 수단으로 유도선수 활동을 한 석진경은 귀국이후 국내 지도자로 활동하면서 한국유도용어정립, 조선유도연맹 창설, 대한유도학교 설립, 동아대학교 유도부 창설 등 그가 유도를 통해 세상에 기여한 업적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한국유도는 석진경과 같은 헌신적인 인물의 노력으로 유도 강국의 반열에 올라섰으며 그의 지도아래 수많은 유도 명인들이 배출되었고 그의 후학들은 그의 사상과 유지를 이어받아 새로운 후학들에게 대물림하여 전해지고 있다. 물욕이 없는 삶, 유도를 통해 영웅이 되기보다는 성인이 되라는 그의 지도는 많은 후학들에게 귀감이 될 만하다. 유도를 통한 영웅들은 많이 나타났으며 앞으로도 많이 나타날 것이다. 하지만 진정으로 그가 원한 것은 유도를 통해 영웅이 되기보다는 유도 수행을 통해 자신을 희생할 수 있는 성인이 되라는 가르침일 것이다. 한국인 최초로 최고단자인 10단 유성(柔聖)의 경지에 오른 석진경의 삶은 계승 발전 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larified achievements and thought in Seok Jin-gyeong, who had failed to be illuminated yet by younger students in the face of numerous achievements, thereby having understood his achievements and idea and having described how Seok Jin-gyeo...

      This study clarified achievements and thought in Seok Jin-gyeong, who had failed to be illuminated yet by younger students in the face of numerous achievements, thereby having understood his achievements and idea and having described how Seok Jin-gyeong's life is being transmitted to younger students. Seok Jin-gyeong, who was born in 1912. comes to push on the substantially judo training at that time when he was in the 4th grade of Baejae school. As entering Ritsumeikan University in Japan after graduating from Baejae school, Seok Jin-gyeong comes to be active as a player as a means of self-impowerment in the Korean race. As being active as a domestic coach after returning home, he comes to feel keenly necessity for a new thought and spirit in judo in line with the situation of period in order to remove bad image in judo at that time. Joseon judo Association, establishment of Daehan Judo School, and establishment of judo division of Dong-A University. Korean judo rose to the rank of strong power in judo due to an effort of a devoted figure like Seok Jin-gyeong. Under his instruction, the numerously noted people in judo were produced. His younger students succeed to his thought and last wishes of being followed and inherited by new younger students. The life of Seok Jin-gyeong, who was granted the command of the 10th dan Yuseong(柔聖), which is the highest da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1990, by being recognized this meritorious service, will need to be succeeded and develop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용인대학교, "龍仁大學校四十年史"

      2 정삼현, "한국유도의 기원 및 그 발달에 관한 합목적적 연구" 동아대학교 1968

      3 이홍종, "한국유도사" 한강문화사 1984

      4 이학래, "한국유도발달사" 보경문화사 1990

      5 조용철, "한국 경기유도의 발달과정" 세종대학교대학원 2003

      6 하웅용, "최초 여자야구선수 안향미의 생애사" 한국체육학회 48 (48): 19-33, 2009

      7 Juhn W. creswell, "질적연구방법론" 학진사 2005

      8 손환, "이제황(李濟晃)의 생애와 유도(柔道)사상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 45 (45): 25-34, 2006

      9 김상철, "유도론" 교학연구사 2000

      10 김승일, "송범 생애사 관점에서 바라본 신무용 분석" 한국체육학회 42 (42): 621-632, 2003

      1 용인대학교, "龍仁大學校四十年史"

      2 정삼현, "한국유도의 기원 및 그 발달에 관한 합목적적 연구" 동아대학교 1968

      3 이홍종, "한국유도사" 한강문화사 1984

      4 이학래, "한국유도발달사" 보경문화사 1990

      5 조용철, "한국 경기유도의 발달과정" 세종대학교대학원 2003

      6 하웅용, "최초 여자야구선수 안향미의 생애사" 한국체육학회 48 (48): 19-33, 2009

      7 Juhn W. creswell, "질적연구방법론" 학진사 2005

      8 손환, "이제황(李濟晃)의 생애와 유도(柔道)사상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 45 (45): 25-34, 2006

      9 김상철, "유도론" 교학연구사 2000

      10 김승일, "송범 생애사 관점에서 바라본 신무용 분석" 한국체육학회 42 (42): 621-632, 2003

      11 박현철, "부산유도의 계보"

      12 김주연, "무도사(武道史)에서 구술자료의 활용" 한국체육학회 47 (47): 1-8, 2008

      13 김정행, "무도론" 대한미디어 1997

      14 동아대학교 유도부, "동아유도50년사" 동문출판사 2005

      15 박은지, "댄스스포츠지도가 삶의 생애사적 이해" 12 (12): 193-205, 2005

      16 編輯部, "대학, 고전삼도에 石鎭慶군 석패"

      17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18 정삼현, "개인면담"

      19 김종렬, "韓國體育七十年史" 대한체육회 1970

      20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30 : 60-61, 1981

      21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31 : 60-61, 1981

      22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32 : 60-61, 1981

      23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33 : 60-61, 1981

      24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34 : 60-61, 1981

      25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35 : 60-61, 1981

      26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25 : 60-61, 1981

      27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23 : 60-61, 1981

      28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22 : 60-61, 1981

      29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21 : 60-61, 1981

      30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29 : 60-61, 1981

      31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26 : 60-61, 1981

      32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27 : 60-61, 1981

      33 석진경, "韓國人物體育史" 128 : 60-61, 1981

      34 編輯部, "石鎭慶君柔道昇段, 武德會서는 처음"

      35 방영, "歐羅巴柔道紀行" 門昌社 1962

      36 編輯部, "柔道石鎭慶君不運 準決勝에 抽籤敗"

      37 김덕수, "柔道正鑑" 도서출판 판 1997

      38 編輯部, "柔道五段 石鎭慶氏祝賀會盛 況"

      39 編輯部, "半島人初有の柔道敎士"

      40 編輯部, "全朝鮮 柔道大會 中央靑年 優勝"

      41 編輯部, "京都大學高專柔道石鎭慶君 優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5 1.2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