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베리아 과학자 김 파벨 가족의 구술 생애사 연구 = A study on the oral life history of siberian scientist Kim Pavel's fami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47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시베리아 고려인 과학자 김 파벨과 그의 가족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토대로 고려인 이주민사의 생생하며 역동적인 역사의 이면을 살펴보고 있다. 특히 김 파벨의 외삼촌인 노보시비...

      본 논문은 시베리아 고려인 과학자 김 파벨과 그의 가족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토대로 고려인 이주민사의 생생하며 역동적인 역사의 이면을 살펴보고 있다. 특히 김 파벨의 외삼촌인 노보시비르스크 시의 최고령 고려인 한 데멘티 가족과 그의 선조들은 140년 고려인 이주민 역사의 전 시대를 관통하는 길고 다난했던 가족사의 주인공들이며, 그들이 말하고 있는 과거에 대한 기억과 회상은 고려인 역사의 재구성에 중요한 단서가 되어주었다. 본 논문은 1937년 고려인 강제이주와 1957년 이후 등장한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신이주, 이 두 차례 이주를 계기로 고려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구술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본 논문의 주요 구술대상인 김 파벨 가족은 고려인 사회의 전형적이며 모범적인 역할 모델이었다. 그들은 선조의 역사를 밝히고 알리는데 적극적이었으며, 고려인으로서의 선대 조상의 역사에 대한 자부심도 매우 컸고, 고려인의 정신문화와 풍습을 보존하려고 애쓰는 특별하고도 아름다운 가족이었다. 특히 김 파벨 알렉세예비치가 작성한 가족 계보는 그의 가족 사랑과 민족애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한 데멘티 가족과의 구술 작업에서 우리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었다. 고려인 역사의 다사다난함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는 역사적인 한 가족과의 만남과 그리고 그들이 들려 준 과거의 기억들은 고려인 이주민 역사의 공백을 분명 채워 주리라 기대한다. 이번 작업을 통해 필자는 러시아 고려인의 삶과 정신에 대한 의구심과 궁금증이 더해갔다. 그들의 역사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다양한 스펙트럼을 갖는다. 우리가 알고 있던 그들의 삶과 정신은 일부에 불과했다. 이번 작업으로 채집된 구술과 영상 자료들은 고려인 역사의 알려지지 않은 단면을 해명하는데 일조하리라 믿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Данная работа рассматривает свежую и двигающую обратную сторону истории корейцев России в основе интервью со сибирского корейского ученого Ким Павела и его семьей. Особенно дядя Кима Павела Хан Дементий, который есть самый старейший корейцев в городе Новосибирск, и его семья и его предок - герои длинной и сложной семейной истории, которая охватывает 140-летнюю всю историю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И их памяти о прошлом стали важным ключом для перестройки истории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Данная работа осматривает, как изменилась жизнь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по поводу двух переселений, то есть насильственной депортации 1937 г. и нового переселения среднеазиазских корейцев после 1957 г. Наиболее обнару- жение новых фактов в истории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стало импулсом для пере-смотрения установившейся истории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Семья Ким Павела как основного обьекта исследования данной работы была стандартным и примерным ролью функции в обществе русских корейев. Она активна в освещении истории предка и имела большую самоуважаемость о семейной истории. А также она была красивой семьей, которая старает сохранить нациольную традицию и культуру. В частности, генеалогическая ветка, созданная Кимом Павлом Алесеевичом, показывает корейскую семей-ную любовь и национальную душу. Мы получили много нового в работе устной интервью со семьей Хана Дементия и считают, что встреча с исторической семье, хорошо отраженной историю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помогает дополнить белые пятна истории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При этой работой узналось то, что истоия корейцев в России имеет много- образные спектры. То есть их жизнь и душа, которые мы уже знали, была частью от всех. Мы желаем то, что данная работа исследования устной интервью будет освещать неизвестные стороны истории русских корейцев.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노보시비르스크 지역 고려인 사회 개관
      • Ⅲ. 노보시비르스크 시 원로 고려인 전문가에 대한 구술 자료 연구
      • Ⅳ.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노보시비르스크 지역 고려인 사회 개관
      • Ⅲ. 노보시비르스크 시 원로 고려인 전문가에 대한 구술 자료 연구
      • Ⅳ.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영상, "소련 해체 이후 고려인 사회의 변화와 한민족" 2005

      2 Корейцы республики Узбекистан, "история и современность"

      3 Доклад Чернышева от января, "г. - НКВД СССР Берия Л.П. // ГАРФ. Ф. Р-9479. Оп. 1. Ед.хр. 186. Л. 24"

      4 "Энциклопедия корейцев России" Москва 2003

      5 "РГИА ДВ. Ф. Р-236. Оп. 2. Д. 234. ЛЛ. 35-35об"

      6 Доклад Зам, "Председателя Совета НК УзССР Ковалева // ГАРФ. Ф. Р-5446. Оп. 29. Д. 51. Л. 31"

      7 "Правительственная телеграмма. гор. Москва. Совнарком СССР - Чубарьб // ГАРФ. Ф. Р-5446. Оп. 29. Д. 48. Л. 25"

      8 Пак Б., "Потомки страны белых аистов (Краткая история советских корейцев)" Ташкент 1990

      9 "Постановление № 1772-388сс СНК СССР // ГАРФ Ф. Р-5446. Оп. 1. Д. 497. Ед.хр. 29. Л. 40"

      10 "Письмо Чубаря Хабаровск Кра?исполком Ленконравову // ГАРФ Ф. Р-5446. Оп. 29. Д. 48. Л. 24"

      1 임영상, "소련 해체 이후 고려인 사회의 변화와 한민족" 2005

      2 Корейцы республики Узбекистан, "история и современность"

      3 Доклад Чернышева от января, "г. - НКВД СССР Берия Л.П. // ГАРФ. Ф. Р-9479. Оп. 1. Ед.хр. 186. Л. 24"

      4 "Энциклопедия корейцев России" Москва 2003

      5 "РГИА ДВ. Ф. Р-236. Оп. 2. Д. 234. ЛЛ. 35-35об"

      6 Доклад Зам, "Председателя Совета НК УзССР Ковалева // ГАРФ. Ф. Р-5446. Оп. 29. Д. 51. Л. 31"

      7 "Правительственная телеграмма. гор. Москва. Совнарком СССР - Чубарьб // ГАРФ. Ф. Р-5446. Оп. 29. Д. 48. Л. 25"

      8 Пак Б., "Потомки страны белых аистов (Краткая история советских корейцев)" Ташкент 1990

      9 "Постановление № 1772-388сс СНК СССР // ГАРФ Ф. Р-5446. Оп. 1. Д. 497. Ед.хр. 29. Л. 40"

      10 "Письмо Чубаря Хабаровск Кра?исполком Ленконравову // ГАРФ Ф. Р-5446. Оп. 29. Д. 48. Л. 24"

      11 Пак Б. Д., "Корейцы в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Иркутск 1994

      12 "История и культура корейцев Казахстана, Авторы-составители Ким? Г. Н., Мен Д. В., Алматы, 1995"

      13 "2006년 8월 25일 박 벤자민 알렉산드로비치 인터뷰"

      14 "2006년 8월 24~26일 김 파벨 인터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9 1.216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