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진폐진행정도에 따른 혈청내 구리와 아연 농도의 변동 = The Serum Copper and Zinc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of Pneumoconio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04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진폐증은 분진으로 인해 인체의 면역기전이 작용하여 폐섬유화가 진행되는 질환으로, 인체의 면역기전에 작용하는 구리와 아연은 진폐증의 병리적인 진행과정인 폐섬유화에 관여한...

      목 적 : 진폐증은 분진으로 인해 인체의 면역기전이 작용하여 폐섬유화가 진행되는 질환으로, 인체의 면역기전에 작용하는 구리와 아연은 진폐증의 병리적인 진행과정인 폐섬유화에 관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진폐증 유소견자와 진행된 진폐증 환자의 혈청 구리와 아연의 농도를 정상인과 비교함으로써 체내 구리와 아연의 농도가 진폐증의 섬유화의 진행정도에 따라 변동함을 밝히고, 이를 이용하여 폐섬유화의 진행정도를 추정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 법 : 진폐정밀기관에 내원한 초진내 원자 100명과 진폐요양기관에 입원한 진폐증 환자 100명을 선정한 후 흥부사진소견을 ILO 분류법의 진폐진행정도에 따라 각각 세 군(Stage Vl, V2, V3 & Stage Pl, P2, P3)으로 구분한 후 각 군의 혈청구리와 아연의 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대조군으로는 폐결핵, 심근경색, 뇌경색을 경험한 적이 없는 일반인 100명을 선정하였다.
      결 과 : 초진내 원자군의 혈청 구리농도는 섬유화의 진행단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Stage V3에서 가장 높았다. 입원환자군에서는 혈청 구리농도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데 (p=0, 152), 이는 입원환자의 불량한 영양상태와 건강상태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초진내원자군과 입원환자군의 혈청 아연농도는 섬유화의 진행에 따라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Stage V2와 Stage P2, P3에서 각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혈청 아연과 구리농도의 비또한 양군에서 섬유화의 진행에 따라 의미있게 높았는데, 섬유화가 현저히 진행된 단계 (Stage V3, Stage P2, P3)에서 대조군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초진내 원자와 입원환자의 혈청 Cu/zrl 비는 섬유화의 진행정도가 현저할수록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진폐증 환자들의 혈청 Cu/zn 비는 진폐증의 폐섬유화의 진행정도를 추정함에 있어 상당히 유용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며, 폐섬유화의 진행과정에서의 혈청 구리와 아연의 작용기전을 이용한 치료방법의 마련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Copper and Zinc, the trace elements of a living body, take a part in immunologic mechanism and induce the pulmonary fibrosis which is the pathologic progress of pneumoconiosi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ist the identification of the ...

      Objectives : Copper and Zinc, the trace elements of a living body, take a part in immunologic mechanism and induce the pulmonary fibrosis which is the pathologic progress of pneumoconiosi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ist the identification of the pathologic process of pulmonary fibrosis in pneumoconiosis.
      Methods : The subjects of thls study was 200 diagnosed persons as pneumoconiosis, of whom 700 persons was the visitors in the outpatients departments of pneumoconiosis and 100 admissive pneumoconiosis patients. The serum copper and zinc are measured and compared.
      Results : The mean serum copper concentration of visitor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that of stage V3 subgroup of visitor group was highest because of their advanced fibrosis. But, there was not the difference of serum copper concentration between patient and control group. We thought that the reason was poor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patient. The mean of serum zinc concentration of visitor and patient control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s the degree of pulmonary fibrosis was more severe from stage Vl, V2, V3 of visitor to stage Pl, P2, P3 of patient, the mean of serum zinc concentration was lower. The ratio of serum copper/zinc of visitor and patient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and that of patient was higher than that of visitor. Those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 of serum copper/zlnc ratio more greatly expressed the degree of progression of pneumoconiosis than only copper or zinc concentration by adjustment of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patient.
      Conclusions : As above study results, the degree of pulmonary fibrosis of pneumoconiosis could be estimated by means of serum copper/zinc rati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1.연구대상
      • 2.연구방법
      • 결과
      • 서론
      • 대상 및 방법
      • 1.연구대상
      • 2.연구방법
      • 결과
      • 1.일반적인 특성
      • 2.연령과 흡연과 혈청 구리와 아연의 농도의 상관분석
      • 3.초진내원자군, 입원환자군과 대조군의 혈청내 구리와 아연의 평균농도
      • 4.초진내원자군내 세부군들의 혈청 구리와 아연의 농도
      • 5.입원환자내 세부군들의 혈청 구리와 아연의 농도
      • 고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