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하 ‘지방의회’ 회의록을 통해서 본 보통학교 재정 운용 양상 - 충남 공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데이터베이스에는 부협의회, 면협의회를 비롯해 일본인 학교조합과 조선인 학교평의회 회의 자료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학교평의회 관련 자료들은 그...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데이터베이스에는 부협의회, 면협의회를 비롯해 일본인 학교조합과 조선인 학교평의회 회의 자료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학교평의회 관련 자료들은 그동안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일제가 초등교육 확충 정책에 담긴 모순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제는 1920년대 이후 보통학교를 증설하는 것을 허용하면서도 그에 필요한 비용을 모두 각 지역 학교비 재정에서 염출하게 했다. 조선총독부는 그 일환으로 학교비 부과금의 부과제한율을 상향 조정했으며, 기부금을 ‘자발적으로 모금’하도록 했다. 그런데 기부금 징수에 대한 여론이 조금씩 나빠지자 학교비평의회가 학교비 특별부과금이나 제한외부과를 신청하는 모양새를 갖추어 학교비 세입을 늘려가게 했다. 그 과정에서 각 지역 학교평의회는 특별부과금을 자발적으로 결의하는 내용이 담긴 문서를 많이 만들어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번에 만들어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데이터베이스에는 그와 같은 정황이 잘 반영되어 있으며, 이를 잘 활용할 경우 관련 연구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atabase of “local counci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tains a number of data from meetings of the Japanese school council and the Korean school council, including the deputy council and the state council. In the process of promot...

      The database of “local counci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tains a number of data from meetings of the Japanese school council and the Korean school council, including the deputy council and the state council. I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so-called three-sided one-school policy in the 1920s, the Chosun Governor-General took the method of creating a school by collecting donations from residents of each side. This polic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he “first Korean primary education expansion plan” announced at the end of 1920 and the second and third plans that followed. The only thing that changed was that in the 1930s, the method of donating money was changed to a method of issuing school expenses or imposing a special levy on residents.
      In my view, the school counci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a kind of “cooperator” that could be usefully used when the Japanese rule passed on the expenses incurred by the policy to expand primary education to local residents. The school council was also a channel through which residents who sought to resolve educational issues could exude their desir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documents produced by the school council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re of a nature that cannot be interpreted and understood literally.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e material is less import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work, I believe that a more three-dimensional and multi-faceted analysis can be made on the impact of Japanese imperial education policies on local communities. The more relevant research results in the future, the deeper the understanding of the atmosphere of local communitie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ill beco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머리말
      • Ⅰ. 3면1교제의 실시에 따른 학교비 재정 확충 문제의 등장
      • Ⅱ. 초등교육 확대 정책의 추진과 학교비 부과금 증가와 지역 주민의 동향
      • 맺음말
      • 국문초록
      • 머리말
      • Ⅰ. 3면1교제의 실시에 따른 학교비 재정 확충 문제의 등장
      • Ⅱ. 초등교육 확대 정책의 추진과 학교비 부과금 증가와 지역 주민의 동향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백영, "패러독스를 통한 아이러니의 재현 윤해동, 식민지 근대의 패러독스" (64) : 2008

      2 최병택, "일제하 학교비 재정 운영의 성격 —호별할(戶別割)과 기부금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90) : 267-316, 2013

      3 임이랑, "일제시기 [문교의 조선(文敎の朝鮮)]에 나타난 조선총독부 학무관료의 조선교육론"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9) : 373-405, 2013

      4 윤현상, "일제 하 교육재정 국고보조금의 지급과 ‘국민교육’" 호서사학회 (86) : 1-32, 2018

      5 이명화, "일제 강제합병 이데올로기와 식민지교육정책"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9) : 77-126, 2011

      6 김소륜, "일제 강점기 초등교육과 ‘국민 만들기’-제3·4차 조선교육령기에 발행된 『普通學校朝鮮語讀本』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20 : 173-201, 2011

      7 김동명, "일본제국주의와 조선인의 지방정치참여 - 부(협의)회・도(평의)회 선거 결과를 중심으로 -" 한일관계사학회 (50) : 287-328, 2015

      8 양승실, "의무교육의 세계적 동향과 발전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1

      9 임삼조, "1920년대 조선인의 공립보통학교 설립운동" (17) : 2006

      10 최병택, "1920년대 부 학교평의회의 구성과 학교비(學校費) 논란: 경성부 학교평의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7) : 149-190, 2017

      1 김백영, "패러독스를 통한 아이러니의 재현 윤해동, 식민지 근대의 패러독스" (64) : 2008

      2 최병택, "일제하 학교비 재정 운영의 성격 —호별할(戶別割)과 기부금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90) : 267-316, 2013

      3 임이랑, "일제시기 [문교의 조선(文敎の朝鮮)]에 나타난 조선총독부 학무관료의 조선교육론"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9) : 373-405, 2013

      4 윤현상, "일제 하 교육재정 국고보조금의 지급과 ‘국민교육’" 호서사학회 (86) : 1-32, 2018

      5 이명화, "일제 강제합병 이데올로기와 식민지교육정책"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9) : 77-126, 2011

      6 김소륜, "일제 강점기 초등교육과 ‘국민 만들기’-제3·4차 조선교육령기에 발행된 『普通學校朝鮮語讀本』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20 : 173-201, 2011

      7 김동명, "일본제국주의와 조선인의 지방정치참여 - 부(협의)회・도(평의)회 선거 결과를 중심으로 -" 한일관계사학회 (50) : 287-328, 2015

      8 양승실, "의무교육의 세계적 동향과 발전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1

      9 임삼조, "1920년대 조선인의 공립보통학교 설립운동" (17) : 2006

      10 최병택, "1920년대 부 학교평의회의 구성과 학교비(學校費) 논란: 경성부 학교평의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7) : 149-190,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2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