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소아청소년암 환자의 문제행동 및 주관적 기분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78030

      • 저자
      • 발행사항

        천안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15.85 판사항(23)

      • 기타서명

        The effect of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for problems behavior and subjective mood of childhood cancer patients

      • 형태사항

        vi, 118 장 : 표 ;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숙
        참고문헌: 66-73 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소아청소년암 생존율은 1995년 54.6%에서 2013년 80.5%로 증가하고 있다. 소아청소년암 환자들은 성인에 비해 성장발달 과정 중이어서 생존기간이 길고, 적극적인 치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투병과정이 신체적, 인지적, 심리·사회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교육적 기능에도 영향을 주므로 소아청소년암 환자의 심리·사회적 발달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질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암 환자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심리·사회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소아청소년암 환자 회복관리를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소아청소년암으로 진단받고, 3개시의 H협회로 방문하며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8명,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5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미국판 CBCL/4-18(Achenbach와 Edelbrock, 1983)을 토대로 국내에서 표준화(오경자 등, 1997)된 한국판 부모보고형 아동 청소년 행동 평가척도 K-CBCL(Korean-Child Behavior Check List)에서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를 사용하였고, Beck(1967)의 성인용 우울 척도를 Kovacs와 Beck(1977)이 아동의 연령에 맞게 변형시킨 척도를 한유진(1993)이 번안한 우울 척도, Reynold와 Richmond(1978)가 제작한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를 최진숙과 조수철(1990)이 한국형으로 번안하여 표준화한 불안 척도,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 SES)를 전병제(1974)가 번안하고, 윤미숙(1999)이 수정·보완한 자아존중감 척도, James A. Russell 등(1990)에 의해 개발된 감정지도(A single-item scale)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Mann-Whitney U-test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 집단 간 동질성 검정과 실시 후 사후 값의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고,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내에서 사전, 사후 평균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실험군의 집단 내 전체 회기 누적 값의 사전, 사후 평균을 비교분석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한 집단임이 검증되었다. 프로그램 후에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문제행동 증후군의 하위영역인 사회적 미성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9). 집단 내에서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 있어 문제행동 증후군의 하위영역인 신체증상(p=0.039)은 실시 전 2.13점에서, 실시 후 1.13점으로, 사회적 미성숙(p=0.017)은 실시 전 2.63점에서, 실시 후 1.00점으로, 주의집중문제(p=0.026)은 실시 전 2.50점에서, 실시 후 1.25점으로, 총 문제행동(p=0.034)은 실시 전 18.50점에서, 실시 후 9.6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전체 회기 누적 값의 주관적 기분(p=0.000)은 실시 전 6.99점에서 실시 후 7.8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우울, 불안은 전체적으로 점수는 낮아졌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자아존중감은 점수는 높아졌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번역하기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소아청소년암 생존율은 1995년 54.6%에서 2013년 80.5%로 증가하고 있다. 소아청소년암 환자들은 성인에 비해 성장발달 과정 중이어서 생존기간이 길고, 적극적인 ...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소아청소년암 생존율은 1995년 54.6%에서 2013년 80.5%로 증가하고 있다. 소아청소년암 환자들은 성인에 비해 성장발달 과정 중이어서 생존기간이 길고, 적극적인 치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투병과정이 신체적, 인지적, 심리·사회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교육적 기능에도 영향을 주므로 소아청소년암 환자의 심리·사회적 발달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질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암 환자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심리·사회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소아청소년암 환자 회복관리를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소아청소년암으로 진단받고, 3개시의 H협회로 방문하며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8명,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5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미국판 CBCL/4-18(Achenbach와 Edelbrock, 1983)을 토대로 국내에서 표준화(오경자 등, 1997)된 한국판 부모보고형 아동 청소년 행동 평가척도 K-CBCL(Korean-Child Behavior Check List)에서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를 사용하였고, Beck(1967)의 성인용 우울 척도를 Kovacs와 Beck(1977)이 아동의 연령에 맞게 변형시킨 척도를 한유진(1993)이 번안한 우울 척도, Reynold와 Richmond(1978)가 제작한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를 최진숙과 조수철(1990)이 한국형으로 번안하여 표준화한 불안 척도,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 SES)를 전병제(1974)가 번안하고, 윤미숙(1999)이 수정·보완한 자아존중감 척도, James A. Russell 등(1990)에 의해 개발된 감정지도(A single-item scale)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Mann-Whitney U-test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 집단 간 동질성 검정과 실시 후 사후 값의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고,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내에서 사전, 사후 평균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실험군의 집단 내 전체 회기 누적 값의 사전, 사후 평균을 비교분석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한 집단임이 검증되었다. 프로그램 후에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문제행동 증후군의 하위영역인 사회적 미성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9). 집단 내에서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 있어 문제행동 증후군의 하위영역인 신체증상(p=0.039)은 실시 전 2.13점에서, 실시 후 1.13점으로, 사회적 미성숙(p=0.017)은 실시 전 2.63점에서, 실시 후 1.00점으로, 주의집중문제(p=0.026)은 실시 전 2.50점에서, 실시 후 1.25점으로, 총 문제행동(p=0.034)은 실시 전 18.50점에서, 실시 후 9.6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전체 회기 누적 값의 주관적 기분(p=0.000)은 실시 전 6.99점에서 실시 후 7.8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우울, 불안은 전체적으로 점수는 낮아졌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자아존중감은 점수는 높아졌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소아청소년암 6
      • 2. 소아청소년암의 문제행동 9
      • 3. 주관적 기분 11
      • 4. 원예치료 13
      • 5. 소아청소년암 환자와 관련한 다양한 치료법의 선행연구 14
      • Ⅲ. 연구방법 17
      • 1. 연구설계 17
      • 2. 연구대상 18
      • 3. 연구도구 19
      • 4. 측정도구 32
      • 5. 분석방법 38
      • 6. 연구의 제한점 38
      • Ⅳ. 연구결과 및 고찰 39
      • 1. 연구결과 39
      • 1.1 사전 동질성 검증 39
      • 1.2 집단 간 사후 평균비교 43
      • 1.3 집단 내 사전-사후 평균비교 47
      • 2. 고찰 59
      • Ⅴ. 논의 및 결론 60
      • Ⅵ. 제언 65
      • 참고문헌 66
      • 부 록 74
      • 영문요약 1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