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패션의 표현을 효과적이며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많은 매체 중 영화에서 패션 커뮤니케이, 연구의 결과로 패션은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체로 신분 , 교양, 개성, 감성과 바디이미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242669
2006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4(14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패션의 표현을 효과적이며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많은 매체 중 영화에서 패션 커뮤니케이, 연구의 결과로 패션은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체로 신분 , 교양, 개성, 감성과 바디이미지...
본 연구는 패션의 표현을 효과적이며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많은 매체 중 영화에서 패션 커뮤니케이, 연구의 결과로 패션은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체로 신분 , 교양, 개성, 감성과 바디이미지를 표현한다는 것을 알았다 . 영화 마이페어 레이디에서 나타나는 여주인공의 의상은 의복 자. 스크린에서 보여지는 의상을 통해서 여주인공의 위치와 상황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관객으로 하여금 옷을 통해서 표현되고 발휘되는 환상을 보여준다 . 이는 일방적이긴 하지만 옷을 매개로 한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이다. 또한 이는 여주인공의 몸짓 , 제스쳐, 표정들과 함께 영화의 구성을 완벽하게 한다 . 즉 “개인은 사회적 이상을 내면화 하면서 자신의 신체를 평가하고 , 이상적인 신체모습과 자신과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의복이 가진 기능을 통해 자신을 변화하고 향상시키도록 동기화 된다 .” . 따라서 사람들의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하여 무언의 커뮤니케이션을 방법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패션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어 갈 것으로 전망된다 . 이에 패션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극명하고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 영화의상을 매개로한 패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보다 나은 후속. 또한 분야별로 더욱 전문적인 관점에서의 심도 있는 패션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on an example of fashion communication in the movie among mass media which indicate an expression of fashion effectively and symbolically to us. A communication through the heroine's fashion in the move of "My Fair Lady" is not o...
This research focuses on an example of fashion communication in the movie among mass media which indicate an expression of fashion effectively and symbolically to us. A communication through the heroine's fashion in the move of "My Fair Lady" is not only an effective means but is not inferior to languages and letter to express and symbolize. The heroine in the movie reveals, covers and disguises her identification through fashion. And she adapts herself to and assimilates the society which is not appropriate to her status and role through fashion. The movie is very successful in that the fashion adopted in the movie makes two-way communication possible. Furthermore, fashion is communicated to the viewers very successfully. I verify the assumption that fashion as a way of communication is effective by analyzing the clothing in all the major scenes in the movie of "My Fair Lady". Fashion communication is an important means to express one's individuality and the scope of its expression is also widening.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we will put more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fashion communication in order to elevate an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by expressing one's individuality and ident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Craik, Jennifer, "패션의 얼굴" 푸른솔 2001
2 Lurie, Alison, "The Language of Clothes" New York: Random House 1981
3 Baudot, Francois, "Fashion The Twentieth Century" London: Thames & Hudson Ltd. 1999
4 Breward, Christopher, "Fashion"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5 Paek, S. L, "Effect of garment style on the perception of personal traits" 5 (5): 1986
6 McCracken, G, "Culture and Consumption: New Approaches to the Symbolic Character of Consumer Goods and Activities"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Indiana University Press 1990
7 Audrey Hepburn Children's Fund, "Biography of Audrey Hepburn"
8 이경희, "20세기의 모드" 교학연구사 2001
9 Bond, David, "20세기 패션" 경춘사 2000
1 Craik, Jennifer, "패션의 얼굴" 푸른솔 2001
2 Lurie, Alison, "The Language of Clothes" New York: Random House 1981
3 Baudot, Francois, "Fashion The Twentieth Century" London: Thames & Hudson Ltd. 1999
4 Breward, Christopher, "Fashion"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5 Paek, S. L, "Effect of garment style on the perception of personal traits" 5 (5): 1986
6 McCracken, G, "Culture and Consumption: New Approaches to the Symbolic Character of Consumer Goods and Activities"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Indiana University Press 1990
7 Audrey Hepburn Children's Fund, "Biography of Audrey Hepburn"
8 이경희, "20세기의 모드" 교학연구사 2001
9 Bond, David, "20세기 패션" 경춘사 2000
한국 창작무용 의상디자인의 변천과정 및 특징에 관한 고찰
광고를 위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연구 -가상브랜드[RacyBlueEye]를 중심으로
전통복식의 현대적 활용화를 위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09-2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Fashion Design | ![]() |
2016-09-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 |
2016-09-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2-09-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8-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 |
2007-04-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학회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1-1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1 | 1.41 | 1.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8 | 1.41 | 1.549 | 0.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