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여성복식에 표현된 가슴의 패션 정체성  :  19세기 한국 · 프랑스를 중심으로 Focusing on Korea and France in the 19th Century = Fashion Identity of the Breast Expressed in Women's D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471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패션 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패션의 정체성을 보다 확실히 이해하고, 나아가 이를 디자인 발상의 연구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패션 ...

      본 연구는 패션 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패션의 정체성을 보다 확실히 이해하고, 나아가 이를 디자인 발상의 연구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패션 정체성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사례 제시를 위해 19세기로 연구 시대 범위를 한정했다. 또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 연구대상을 한국과 프랑스로 선정했다. 이러한 연구 범위 안에서 문헌 및 실증 자료들을 통해 패션과 문화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한국과 프랑스의 패션 정체성을 비교 연구한다. 특히, 여성의 가슴에 관한 두 나라의 인식의 차이가 어떻게 패션 디자인에 다르게 표현되었는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발전적인 디자인 발상을 통한 패션계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한국과 프랑스의 가슴의 패션 정체성을 비교해본 결과, 양국 모두 모성성, 관능성, 패션성이 공존했다. 단 이러한 가슴의 패션 정체성의 표현 방법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19C 한국과 프랑스 여성복식에 표현된 가슴의 패션 정체성은 '은폐/노출'이라는 양면성을 갖고 복식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양국 모두 가슴의 각 정체성 성격 마다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정체성 성향이 모두 나타났다. 그리고 '은폐/노출'이라는 양면적 성향에 있어서는 관능성에 있어서 대조적인 차이를 보이고 모성성에 있어서는 동일한 성향을 띠고 있다. 또한 패션성에 있어서는 프랑스는 은폐와 노출이 모두 나타난데 반해 한국은 은폐적 성향을 띠고 있다. 이것은 양국간의 가슴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곧 문화적 차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 패션과 문화사이의 밀접한 상호 관련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여성 패션에서 가슴의 패션 정체성과 복식문화의 상관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각기 다른 문화권이나 시대는 각각 고유한 패션 정체성을 갖는데, 이러한 상호 독립적이면서 상이한 패션의 상대성에 대한 존중은 넓은 시각에서 패션을 이해할 수 있게 하며 새로운 패션을 창출하는 원동력이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men's dress style in the 19th century in Korea and France is influenced by diffrent socio-cultural trend. The two fashion trends in Korea and France build diffrent fashion identity based on their cultural influences. It causes diffrent perceptio...

      The women's dress style in the 19th century in Korea and France is influenced by diffrent socio-cultural trend. The two fashion trends in Korea and France build diffrent fashion identity based on their cultural influences. It causes diffrent perceptions and expressions of the dress styles to women's breasts in the oriental and western society until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ashion identity more clearly based on the theorem of the fashion identity, also to prove the availability of using it as the groundwork for studying the design concept. This thesis focused on the 19th century to suggest a concrete example to explain the fashion identity. In addition, Korea and France are selected for the same reason.
      Korea and France fashion identity is compared each other in this study through various literature and actual proof based on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and the culture. Especially, the diffrence of cognition of the breasts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studi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it is expressed in the fashion design and to search the way of development of fashion world is seek for through more developing design concept on the basis of it.
      As the result of the fashion identity study about the breasts in Korea and France, the nature of motherhood, sexuality, and fashion was shown for two countries. Yet, the way the breasts fashion identity was expressed was different in two countries. This differentiation comes from the recognition of the breasts in the two countries, which means different culture of them.
      In other words, fashion and culture have a close relationship, and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breasts fashion identity and dress culture could be expected. In addition, different culture and time perio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fashion identity. Those are independent and relative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is is helpful in understanding fashion the role and meaning of it through the comparison analysis of the breasts fashion identity expressed in women's dress style in the 19th century in Korea and France. Also, it suggested the foregoing way of the future fashion identity of the present dress design through the comparison of old dress style.
      The fashion ident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aking the new fashion and approving a culture relativity in accordance to the global trend of the present fashion. The fashion identity forms the initial factor of the conception of fashion design. Pursuing one's own fashion with identity would make that fashion even more active and confid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