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의 관계 : 한·중 청소년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709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의 상호 관련성과 국가(한국, 중국)에 따른 이들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안녕감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은 한국 중학생 474명, 중국 중학생 516명, 총 990명이었다.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의 상호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을 수행하였다. 국가(한국, 중국)에 따른 각 변인들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다변량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국가별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안녕감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선행 연구 고찰을 토대로 제안모형을 설정하여, 이에 대한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한국과 중국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본심리욕구는 안녕감과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은 중국 학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 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 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기본심리욕구를 거쳐 안녕감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에 비해 그들의 기본심리욕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중국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에 비해 그들의 기본심리욕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한·중 학생들의 안녕감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데 많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한국과 중국 학생들의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양국 학생들의 특성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모와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의 상호 관련성과 국가(한국, 중국)에 따른 이들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부모와 교사의 자...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의 상호 관련성과 국가(한국, 중국)에 따른 이들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안녕감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은 한국 중학생 474명, 중국 중학생 516명, 총 990명이었다.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의 상호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을 수행하였다. 국가(한국, 중국)에 따른 각 변인들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다변량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국가별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안녕감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선행 연구 고찰을 토대로 제안모형을 설정하여, 이에 대한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한국과 중국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본심리욕구는 안녕감과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은 중국 학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 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 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기본심리욕구를 거쳐 안녕감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에 비해 그들의 기본심리욕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중국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에 비해 그들의 기본심리욕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한·중 학생들의 안녕감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데 많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한국과 중국 학생들의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양국 학생들의 특성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모와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was to examine (a)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in Korea and China, (b) the differences on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between Korea and China, and (c)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The final samples consisted of 474 Korean and 516 Chinese students in middle schools.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lso,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on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between Korea and China. 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SEM) was used to tes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for Korea and China.
      (a) Pearson's correlations indicated that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b)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adolescents'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between countries(eg., Korea and China). It was found that Korean adolescents had higher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than Chinese adolescents.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s were shown that Korean and Chinese students' perceived parents' autonomy support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well-being, but teachers' autonomy support's influenced on adolescents' well-be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ir well-being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For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Korean students, the influence of perceived teachers' autonomy support's influence was higher than parents' autonomy support. In contrast, for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Chinese adolescents,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s' autonomy support was higher than teachers' autonomy support.
      The findings in this study add a new ingredient to the ongoing discussions about th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role of parents and teachers to help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improve their well-being. Implications of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examine (a)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in Korea and China, (b) the differences on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This study was to examine (a)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in Korea and China, (b) the differences on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between Korea and China, and (c)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The final samples consisted of 474 Korean and 516 Chinese students in middle schools.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lso,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on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between Korea and China. 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SEM) was used to tes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for Korea and China.
      (a) Pearson's correlations indicated that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b)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adolescents'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between countries(eg., Korea and China). It was found that Korean adolescents had higher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ll-being than Chinese adolescents.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s were shown that Korean and Chinese students' perceived parents' autonomy support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well-being, but teachers' autonomy support's influenced on adolescents' well-be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ir well-being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For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Korean students, the influence of perceived teachers' autonomy support's influence was higher than parents' autonomy support. In contrast, for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Chinese adolescents,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s' autonomy support was higher than teachers' autonomy support.
      The findings in this study add a new ingredient to the ongoing discussions about th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role of parents and teachers to help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improve their well-being. Implications of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 문제 8
      • C. 용어의 정의 9
      • Ⅱ. 이론적 배경 11
      • I. 서 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 문제 8
      • C. 용어의 정의 9
      • Ⅱ. 이론적 배경 11
      • A.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11
      • B. 기본심리욕구 14
      • C. 안녕감 16
      • D.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의 관계 18
      • 1.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기본심리욕구 간의 관계 18
      • 2.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안녕감 간의 관계 20
      • 3. 기본심리욕구와 안녕감 간의 관계 22
      • Ⅲ. 연구방법 25
      • A. 연구대상 25
      • B. 측정도구 27
      • 1. 자율성 지지 27
      • 2. 기본심리욕구 30
      • 3. 안녕감 31
      • C. 분석방법 32
      • Ⅳ. 연구결과 34
      • A. 변인 간 상호 상관 34
      • B. 국가에 따른 변인 간의 차이 37
      • C. 국가별(한중)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 구는 안녕감에 미치는 직간접 영향 39
      • Ⅴ. 결론 46
      • A. 요약 46
      • B. 논의 및 결론 47
      • C.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51
      • 참 고 문 헌 54
      • 부 록 64
      • 국 문 초 록 78
      • ABSTRACT 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