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660~662년 고구려와 신라 · 당의 전쟁 = The War Between Goguryeo and Silla Tang in 660~66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351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660.11, Goguryeo attacked Territory of Silla which named Chiljungseong Fortress[Paju-si Jeokseong-myeon in Gyeonggi-do]. Goguryeo occupied the Chiljungseong Fortress using the time Silla"s main force Subdued recovery of Baekjae. But Goguryeo Give u...

      In 660.11, Goguryeo attacked Territory of Silla which named Chiljungseong Fortress[Paju-si Jeokseong-myeon in Gyeonggi-do]. Goguryeo occupied the Chiljungseong Fortress using the time Silla"s main force Subdued recovery of Baekjae. But Goguryeo Give up sovereignty of Chiljungseong Fortress. Because There geographical conditions was disadvantageous to defense. In 661.5, Goguryeo reattacked Bukhansanseong Fortress [Gwanggin-gu in Seoul]. That Battle ended in a Victory for Silla.
      In 660.11~662.2, The second War broke out between Goguryeo and Tang. At this time Tang organized 6 Armed forces 35 Battalion. In 661.8, Su Dingfang"s army occupied the Wido. There was strategic position in Daeryeonggang and Cheongcheongang basin. After this, Su Dingfang"s army Into Pyeongyangseong and laid siege to go there. Yeon gaesomun dispatched main force to the Amnokgang. At this time, because Amnokgang was froze Tang"s army crossed the river. Finally Goguryeo"s 30,000 military suffered annihilation. By the way, Tang was withdrawn from the Amnokgang basin. Because unexpected riot of Cheolleuk had Tang. As time goes on, Su Dingfang"s army was isolated. Finally Su Dingfang"s army had to request for assistance from Silla.
      In 661.8, King Munmu(r. 661~681) went to the Wongjin Fortress with Troops for the relief of Tang"s army. In that process, Kim Yu-sin led the Battle of Ongsan Fortress[Boeun-gun Hoein in Chungcheongbuk-do] to victory. Also King Munmu spent the provisions to Su Dingfang"s army in Pyeongyangseong. Kim Yu-shin, assumed the mission. As a result, Su Dingfang"s army return to Tang saf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구려의 남방 진출과 신라의 대응
      • Ⅲ. 당의 고구려 침공과 신라의 대당 지원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구려의 남방 진출과 신라의 대응
      • Ⅲ. 당의 고구려 침공과 신라의 대당 지원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영일, "신라 육상교통로 연구" 학연문화사 1999

      2 서영교, "서울2천년사 7:신라의 삼국통일과 한주" 서울역사편찬원 2015

      3 노태돈, "삼국통일전쟁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4 강헌규, "백제의 雨述郡(/城)・甕山城 및 그 주변 지명과 고려 이후의 鷄足山(/城)에 대하여" 공주대 백제문화연구소 25 : 1996

      5 이상훈, "백제부흥군의 옹산성 주둔과 신라군의 대응" 역사교육학회 (57) : 111-144, 2015

      6 김병남, "백제 부흥전쟁기의 옹산성 전투와 그 의미" 전북사학회 (42) : 45-72, 2013

      7 손영종, "고구려사 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9

      8 장창은, "고구려 남방 진출사" 경인문화사 2014

      9 "高麗史"

      10 정원주, "高句麗 滅亡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3

      1 서영일, "신라 육상교통로 연구" 학연문화사 1999

      2 서영교, "서울2천년사 7:신라의 삼국통일과 한주" 서울역사편찬원 2015

      3 노태돈, "삼국통일전쟁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4 강헌규, "백제의 雨述郡(/城)・甕山城 및 그 주변 지명과 고려 이후의 鷄足山(/城)에 대하여" 공주대 백제문화연구소 25 : 1996

      5 이상훈, "백제부흥군의 옹산성 주둔과 신라군의 대응" 역사교육학회 (57) : 111-144, 2015

      6 김병남, "백제 부흥전쟁기의 옹산성 전투와 그 의미" 전북사학회 (42) : 45-72, 2013

      7 손영종, "고구려사 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9

      8 장창은, "고구려 남방 진출사" 경인문화사 2014

      9 "高麗史"

      10 정원주, "高句麗 滅亡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3

      11 "資治通鑑"

      12 "舊唐書"

      13 池內宏, "滿鮮史硏究, 上世 第二冊" 吉川弘文館 1960

      14 津田左右吉, "朝鮮歷史地理 上" 亞細亞文化社 1988

      15 "日本書紀"

      16 "新增東國輿地勝覽"

      17 "新唐書"

      18 土田純子, "大田 鷄足山城의 築造背景에 대한 考察- 출토 토기 분석을 통한 저수지의 활용과정을 중심으로 -" 백제연구소 (45) : 53-80, 2007

      19 "大東輿地圖"

      20 "三國史記"

      21 이현숙, "7세기 신라 통일전쟁과 전염병" 한국역사연구회 (47) : 117-147, 2003

      22 김주성, "7세기 삼국 고대 전투모습의 재현"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1) : 43-74, 2011

      23 이상훈, "662년 김유신의 군량 수송작전"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5 (55): 97-122, 2012

      24 김병곤, "661~662년 당 수군의평양 직공책의 전략과 한계" 고려사학회 (50) : 43-75, 2013

      25 김영관,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신라사학회 (20) : 93-152, 2010

      26 황보경, "603년 北漢山城 전투 고찰" 고려사학회 (58) : 33-64, 2015

      27 김용만, "2次 高句麗-唐 戰爭(661~662)의 進行過程과 意義" 한국고전번역원 27 :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