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수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model considering learning styles of th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653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과대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과정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

      본 연구는 공과대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과정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수학학습태도를조사하여 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의존적이고 참여적인 성향이 강한 것으로 파악되었기 때문에, 이런 성향의 학습자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을 한 학기 공업수학 강좌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이 모형은 공과대학생들이 메타인지적으로 자기 학습과정을 진단하고 조정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데 도움이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학 학습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데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odel and suggest efficient methods for improving the learning abilities in mathematics of th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ir learning sty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odel and suggest efficient methods for improving the learning abilities in mathematics of th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ir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teaching-learning process,and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them. As a result, we found that participants had a disposition of being dependent and highly participating, so we made an effort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can make the students active and highly involved in.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odel to Engineering Mathematics class for one semester, we conducted survey of the participants` response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is model is very helpful for Engineering students to utilize a self-directed learning by diagnosing and adjusting their learning process in Meta-cognitive way. Also, it is confirmed that this model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in which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nd have positive attitude to Mathematics lear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성연, "현대 교수학습의 이해" 학지사 2007

      2 박경숙,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태도·학습습관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31 : 89-99, 1976

      3 任昌宰, "학습양식을 형성하는 가정환경의 과정변인 탐색" 世宗大學校 大學院 1994

      4 백희수, "수학학습양식 구성요인 탐색과 수학학습자 유형 분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5 박소현, "수학 학습양식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6 표용수, "수학 관련 교양교과목에 대한 교수-학습법 개선 및 교재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 2007 (2007): 483-497, 2007

      7 김영희, "수능 응시 영역에 따른 대학 교양 수학 성취도 분석" 20 (20): 523-535, 2006

      8 홍대기, "상명대학교 공과대학 수학교육 강화방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9 (9): 1479-1486, 2008

      9 심재동, "미분적분학 단계별 교육을 위한 교과내용 및 방법 연구" 19 (19): 633-647, 2005

      10 김광환, "대학수학교육의 현황과 7차교육과정세대의 효율적인 수학교육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23 (23): 255-277, 2009

      1 전성연, "현대 교수학습의 이해" 학지사 2007

      2 박경숙,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태도·학습습관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31 : 89-99, 1976

      3 任昌宰, "학습양식을 형성하는 가정환경의 과정변인 탐색" 世宗大學校 大學院 1994

      4 백희수, "수학학습양식 구성요인 탐색과 수학학습자 유형 분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5 박소현, "수학 학습양식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6 표용수, "수학 관련 교양교과목에 대한 교수-학습법 개선 및 교재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 2007 (2007): 483-497, 2007

      7 김영희, "수능 응시 영역에 따른 대학 교양 수학 성취도 분석" 20 (20): 523-535, 2006

      8 홍대기, "상명대학교 공과대학 수학교육 강화방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9 (9): 1479-1486, 2008

      9 심재동, "미분적분학 단계별 교육을 위한 교과내용 및 방법 연구" 19 (19): 633-647, 2005

      10 김광환, "대학수학교육의 현황과 7차교육과정세대의 효율적인 수학교육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23 (23): 255-277, 2009

      11 표용수,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지도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24 (24): 525-541, 2010

      12 표용수, "대학 기초수학 교과목에 대한 수준별 학습지도 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 21 (21): 87-103, 2011

      13 정수연, "대학 공업수학 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361-379, 2011

      1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 교육 평가 체제 연구(Ⅲ) -수학과 평가 도구 개발-, 연구보고서" 1992

      15 표용수, "교양수학 교과목에 대한 교수-학습지도 개선 방안 : 기초미적분학 교과목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3 (23): 823-848, 2009

      16 임창재, "교수효과 제고를 위한 전문대학생의 학습양식분석" 1984

      17 권낙원,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문음사 2009

      18 권낙원, "교사의 지시적 수업" 10 (10): 94-97, 1991

      19 Rayner, S., "Towards a categorization of cognitive style and learning style" 17 : 5-28, 1997

      20 Messick, S., "The Psychology of Educational Measurement" 21 (21): 215-237, 1984

      21 Dunn, R., "Survey of Research on Learning Styles" 47 : 50-58, 1989

      22 Grasha, A., "Student Learning Styles Questionnaire" University of Cincinnati Faculty Resource Center 1975

      23 Hunt, D., "Learning Styles and Inter-dependance of Practice and Theory" 62 (62): 647-, 1984

      24 Kolb, D.,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s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Prentice Hall 1984

      25 Borich, G. D., "Effective teaching method" Prentice-Hall 1996

      26 Riding, R. J., "Cognitive styles: An overview and integration" 11 (11): 193-215, 1991

      27 Thelen, H. A., "Classroom grouping of students" 67 (67): 60-78, 1959

      28 Ferrell, B. G., "A factor analytic comparison off our learning styles instruments" 75 (75): 33-39, 1983

      29 Riechmann, S. W., "A Rational approach to developing and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 student learning style Scales instrument" 87 : 213-223, 197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0.97 1.51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