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 체육활동에 대한 학생 인식 및 만족도 분석 = An Analysis on Student`s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y in Free Semester System at Korean Middle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871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free semester system in Korean middle school. An investigation into student perception toward the various aspects of free semester system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revealed that, out of the three background variables(gender, region, school size), a difference in perception regarding physical education activity operation was found according to gender. Regarding the perception of preferred class hours, satisfaction and internal change, male students perceived them as many class hours, high satisfaction, and positive change in contrast to female students. This implies that the relative deprivation felt by the female students may take effect if the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maintains the contents, methods, and ambience of exist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refore, free semester system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must be operated in a way that allows all students to participate without creating a blind spot. Based on such results, the study was able to confirm differences in viewpoint from various aspects regarding free semester system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This can be the basis for a directional search aimed at the stable settlement of free semester system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nd requires a strategic discuss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from a wider perspectiv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free semester system in Korean middle school. An investigation into student perception toward the various aspects of free semester system physical 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free semester system in Korean middle school. An investigation into student perception toward the various aspects of free semester system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revealed that, out of the three background variables(gender, region, school size), a difference in perception regarding physical education activity operation was found according to gender. Regarding the perception of preferred class hours, satisfaction and internal change, male students perceived them as many class hours, high satisfaction, and positive change in contrast to female students. This implies that the relative deprivation felt by the female students may take effect if the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maintains the contents, methods, and ambience of exist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refore, free semester system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must be operated in a way that allows all students to participate without creating a blind spot. Based on such results, the study was able to confirm differences in viewpoint from various aspects regarding free semester system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This can be the basis for a directional search aimed at the stable settlement of free semester system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nd requires a strategic discuss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from a wider perspecti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정우, "한국 청소년의 체육수업 참여와 주관적 행복 인지의 연관성" 한국체육학회 54 (54): 219-230, 2015

      2 김창현, "학생과 교사 성별에 따른 중학교 체육 수업 재미거리 비교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0 (20): 27-41, 2015

      3 유정애,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통한 예술·체육활동 발전 방향 및 추진 전략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899-918, 2015

      4 신철균,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5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2013

      6 최순화, "제7차 선택중심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와 과학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 조사" 대한화학회 52 (52): 96-106, 2008

      7 변재연, "자유학기제를 적용한 수학수업의실제" 한국수학교육학회 1 : 415-419, 2014

      8 김성식, "자유학기제 정착을 위한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와 과제에 대한 토론" 한국교육개발원 63-66, 2014

      9 이재창,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8 (18): 1135-1161, 2014

      10 김미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14-241, 2014

      1 오정우, "한국 청소년의 체육수업 참여와 주관적 행복 인지의 연관성" 한국체육학회 54 (54): 219-230, 2015

      2 김창현, "학생과 교사 성별에 따른 중학교 체육 수업 재미거리 비교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0 (20): 27-41, 2015

      3 유정애,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통한 예술·체육활동 발전 방향 및 추진 전략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899-918, 2015

      4 신철균,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5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2013

      6 최순화, "제7차 선택중심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와 과학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 조사" 대한화학회 52 (52): 96-106, 2008

      7 변재연, "자유학기제를 적용한 수학수업의실제" 한국수학교육학회 1 : 415-419, 2014

      8 김성식, "자유학기제 정착을 위한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와 과제에 대한 토론" 한국교육개발원 63-66, 2014

      9 이재창,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8 (18): 1135-1161, 2014

      10 김미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14-241, 2014

      11 유정애,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중학교 체육진로교육의 방향과 과제탐색" 한국체육학회 53 (53): 235-246, 2014

      12 김은정,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용 방안- 가정 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5 (25): 105-121, 2013

      13 문민권, "자유학기제 도입과 학교체육의 변화 방향" 126 : 75-81, 2014

      14 이은영, "자유학기제 1차 연구학교의 가정교과 관련 운영 실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6 (26): 69-89, 2014

      15 이병환, "연구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활성화 방안 탐색" 교육연구소 21 (21): 51-74, 2015

      16 박은숙, "‘자유학기제’의 수학평가 실태 및 교사 인식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43-272, 2014

      17 Norris, R.,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training on psychological stress and well-being in an adolescent population" 36 (36): 55-65, 1992

      18 Biddle, S. J.,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reviews" 2011

      19 서동은, "GeoGebra를 활용한 자유학기제 수학과 선택효루 7램 개발 및 적용"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20 최상덕,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종합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1-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Asis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6-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스포츠과학연구소 -> 학교체육연구소
      영문명 : chungang university -> Physical Education Lab of Chung-Ang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