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의 주석 부분에 앞으로 보완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본 것이다. 초기백제가 하북위례성에서 하남위례성으로 천도하였을 때 최초의 중심지는 풍납토성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50312
2013
Korean
하북위례성 ; 하남위례성 ; 십제 ; 백제 ; 삼중環濠 ; 前秦 ; 烝土築城 ; 沙乇氏 王后 ; 폐하 ; 舍利奉安記 ; 虎符 ; Habukwirye Castle ; Hanamwirye Castle ; Sipje ; Baekje ; triple enclosed lake(三重環)濠 ; Jeonjin ; Jeungtochukseong ; the queen from the Sataek Clan ; his Royal Highness ; Saribongangi ; hobu
911
KCI등재
학술저널
33-69(37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의 주석 부분에 앞으로 보완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본 것이다. 초기백제가 하북위례성에서 하남위례성으로 천도하였을 때 최초의 중심지는 풍납토성 ...
본 논문은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의 주석 부분에 앞으로 보완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본 것이다. 초기백제가 하북위례성에서 하남위례성으로 천도하였을 때 최초의 중심지는 풍납토성 내부에서 발굴된 3중 環濠에 비정할 수 있다. 이때 백제의 국호는 十濟에서 百濟로 바뀌었다. 伯濟國과 百濟國은 동일체로서 표기상의 차이이지 발전단계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삼국사기≫에는 백제와 前秦과의 교섭 기사가 없다. 그러나 <百濟王 銅虎符>, 左賢王·右賢王, 烝土築城 기사는 백제와 전진과의 교섭과 교류를 보여준다. 따라서 백제와 전진과의 교섭은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륵사지사리봉안기>를 통해 백제 무왕에게는 의자왕을 낳은 부인, 선화공주, 沙乇氏 왕후 등 복수의 왕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大王陛下`는 백제왕이 국내에서는 황제와 같은 존재로 군림하였음을 보여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rranged the supplement points in the part of footnotes to 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改正增補譯詿 三國史記). When the capital of Baekje transferred from Habukwirye Castle(河北慰禮城...
This thesis arranged the supplement points in the part of footnotes to 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改正增補譯詿 三國史記). When the capital of Baekje transferred from Habukwirye Castle(河北慰禮城) to Hanamwirye Castle(河南慰禮城), the first central place was a triple enclosed lake, excavated in the inside of Poongnamtoseong(風納土城). Henceforward the name of Baekje was changed from Sipje to Baeje. And there were two meanings about Baek. The one was the first, the other was a hundred. But the expressions were the declared difference, not a stage of development.
There were not the article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Baekje and Jeonjin(前秦) in Sanguksaki. But the articles about the Jwahyeon King(左賢王), the Uhyeon King(右賢王), and Jeungtochukseong(增土築城) demonstrated a negotiation and an exchange between Baekje and Jeonjin in `Baekjewangdonghobu(百濟王銅虎符)`.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exchange relations between Baekje and Jeonjin.
It was showed that the queen of the Mu King was born from the Sataek Clan in `Mireuksajisaribongangi(彌勒寺舍址利奉安記)`. But there were three queens on the basis of the existence of the Seonhwa Princess(善花公主) and the giving birth to a son Uija(義慈) before the accession of the MuKing(武王). And that the King of Baekje was called the Great King(大王) and his Royal Highness means that the King reigned as the emperor at hom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후한서"
2 김정기, "황룡사 가람변천에 관한 고찰, In 황룡사 Ⅱ" 문화재관리국・문화재연구소 371-376, 1983
3 "한서"
4 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491-497, 1976
5 "태평어람"
6 梅原末治, "진솔선예백장 동인" 78 : 1967
7 "진서"
8 "일본서기"
9 김현숙, "웅진시대 백제와 고구려의 관계, In 고대 동아세아와 백제" 서경 2003
10 방선주, "예, 백제관계 호부에 대하여" 17・18 : 1973
1 "후한서"
2 김정기, "황룡사 가람변천에 관한 고찰, In 황룡사 Ⅱ" 문화재관리국・문화재연구소 371-376, 1983
3 "한서"
4 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491-497, 1976
5 "태평어람"
6 梅原末治, "진솔선예백장 동인" 78 : 1967
7 "진서"
8 "일본서기"
9 김현숙, "웅진시대 백제와 고구려의 관계, In 고대 동아세아와 백제" 서경 2003
10 방선주, "예, 백제관계 호부에 대하여" 17・18 : 1973
11 정구복, "역주 삼국사기4 주석편 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12 이병도, "서동설화에 대한 신고찰, In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535-542, 1976
13 천관우, "삼한의 국가형성(하)" 일지사 3 : 1976
14 노중국, "삼국유사 무왕조의 재검토-사비시대후기 백제 지배체제와 관련하여-" 2 : 1986
15 "삼국사기"
16 "사기"
17 송기호, "부여융 묘지명, In 역구 한국고대금석문 Ⅰ"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18 노중국, "백제정치사연구" 일조각 1988
19 김영관, "백제의 웅진천도 배경과 한성경영" 11·12 : 79-82, 2000
20 노중국, "백제의 수리(水利)시설과 김제 벽골제" 백제학회 (4) : 27-41, 2010
21 국립부여박물관, "백제의 문자" 22-, 2002
22 노중국, "백제의 문서행정과 관인제, In 백제와 주변제국" 진인진 53-57, 2012
23 박순발, "백제의 도성" 충남대학교출판부 121-, 2010
24 노중국,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 지식산업사 2012
25 노중국, "백제사회사상사" 지식산업사 420-421, 2010
26 노중국, "백제부흥운동사" 일조각 57-, 1933
27 권오영, "백제국에서 백제로의 전환" 40 : 2011
28 양기석, "백제, 언제 세웠나-문헌학적 측면-, In 백제, 언제 누가 세웠나" 한성백제박물관 2012
29 권덕영, "백제 유민 禰氏 一族 묘지명에 대한 斷想" 한국사학회 (105) : 1-36, 2012
30 박찬규, "백제 웅진초기 북경문제" 24 : 61-63, 1991
31 김병남, "백제 웅진시대의 북방 영역" 64 : 2002
32 양기석, "백제 부여융 묘지명에 대한 검토" 62 : 1995
33 김수태, "백제 무왕대의 대신라 관계, In 대발견 사리장엄 미륵사의 재조명"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백제학회 63-73, 2009
34 노중국, "백제 무왕과 지명법사" 107 : 1999
35 김상현, "미륵사 서탑 사리봉안기의 기초적 검토, In 대발견 사리장엄 미륵사의 재조명"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백제학회 145-148, 2009
36 정구복,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위례성 2012
37 崔鍾澤, "紅蓮峰 第2堡壘 1次 發掘調査報告書" 高麗大學校考古環境硏究所 273-274, 2007
38 심광주, "漢城百濟의 ‘烝土築城’에 대한 硏究"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76) : 41-92, 2010
39 최종택, "南韓地域 高句麗 土器의 編年 硏究" 한국고대학회 (24) : 283-299, 2006
40 김영관, "中國 發見 百濟 遺民 祢氏 家族 墓誌銘 檢討" 신라사학회 (24) : 89-158, 2012
41 한욱, "6~8世紀 百濟·新갥建築의基礎部比較硏究 寺刹遺蹟을 中心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42 (42): 110-133, 2009
42 양기석, "5~6세기 백제의 북계-475~551 백제의 한강유역 영유문제를 중심으로-" 20 : 48-, 200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8 | 0.981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