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엽록체 DNA 변이에 기초한 가는기린초(Sedum aizoon)와 기린초(S. kamtschaticum)의 유전적 관계 =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Sedum aizoon and S. kamtschaticum based on Chloroplast DNA Vari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938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dum aizoon and S. kamtschaticum have been widely used as useful herbal medical plants, but the relatives have a taxonomic controversy due to their ambiguous morphological boundaries. Thus, at the genetic level, to clarify the taxonomic relationship ...

      Sedum aizoon and S. kamtschaticum have been widely used as useful herbal medical plants, but the relatives have a taxonomic controversy due to their ambiguous morphological boundaries. Thus, at the genetic level, to clarify the tax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e identified the chloroplast DNA haplotypes of 128 individuals from 6 popul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Analyses were based on sequence data from the trnLUAA-trnFGAA, psaI-accD, petN-psbM, and rpl32-trnLUAG regions. The S. aizoon has a total of two haplotypes, while the S. kamtschaticum has a total of five haplotypes. At the species level, S. kamtschaticum harbored relatively higher genetic variation. TCS analysis largely revealed two lineages formed according to each species. However, S. kamtschaticum's haplotype K1 of the Mt. Jiri population was included in S. aizoon lineage. The haplotype K1 was discussed in two aspects: morphological and genetic criteria in the statistical parsimony network. In this regard, we conclude that S. aizoon specialized for the local environment (Mt. Jiri) was convergent with the morphology of the S. kamtschaticum by ch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영호, "한국산 돌나물속 가는기린초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19 (19): 189-227, 1989

      2 이계분, "한국산 돌나물속 가는기린초아속 식물의 형태적 유연관계" 한국식물분류학회 33 (33): 1-15, 2003

      3 주정석, "한국산 景天科 식물에 관한 本草學的 연구" 대한본초학회 25 (25): 139-147, 2010

      4 김욱진, "천남성(天南星) 유전자 감별을 위한 DNA 바코드 분석 및 Marker Nucleotide 발굴" 대한본초학회 29 (29): 35-43, 2014

      5 박종희, "민간약 기린초의 생약학적 연구" 한국생약학회 39 (39): 137-141, 2008

      6 서부일, "독도의 식물 한약자원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 대한본초학회 27 (27): 17-24, 2012

      7 식품의약품안전처,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8 박종철,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수재 한약재 현황 검토" 한약정보연구회 4 (4): 9-35, 2016

      9 Taberlet, P., "Universal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three non-coding regions of chloroplast DNA" 17 (17): 1105-1109, 1991

      10 Oh, S, "The phytogeographical studies of family Crassulaceae in Korea" 1985

      1 정영호, "한국산 돌나물속 가는기린초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19 (19): 189-227, 1989

      2 이계분, "한국산 돌나물속 가는기린초아속 식물의 형태적 유연관계" 한국식물분류학회 33 (33): 1-15, 2003

      3 주정석, "한국산 景天科 식물에 관한 本草學的 연구" 대한본초학회 25 (25): 139-147, 2010

      4 김욱진, "천남성(天南星) 유전자 감별을 위한 DNA 바코드 분석 및 Marker Nucleotide 발굴" 대한본초학회 29 (29): 35-43, 2014

      5 박종희, "민간약 기린초의 생약학적 연구" 한국생약학회 39 (39): 137-141, 2008

      6 서부일, "독도의 식물 한약자원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 대한본초학회 27 (27): 17-24, 2012

      7 식품의약품안전처,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8 박종철,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수재 한약재 현황 검토" 한약정보연구회 4 (4): 9-35, 2016

      9 Taberlet, P., "Universal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three non-coding regions of chloroplast DNA" 17 (17): 1105-1109, 1991

      10 Oh, S, "The phytogeographical studies of family Crassulaceae in Korea" 1985

      11 Clement, M, "TCS: a computer program to estimate gene genealogies" 9 (9): 1657-1659, 2000

      12 Fröderström, H. A., "Sedum" 6 : 80-, 1931

      13 Lee, T. B.,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 Pub. Co 1980

      14 Fu, K., "Flora of China, Vol.8"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2001

      15 Rozas, J., "DnaSP, DNA polymorphism analy ses by the coalescent and other methods" 19 (19): 2496-2497, 2003

      16 Shaw, J., "Comparison of whol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to choose noncoding regions for phylogenetic studies in angiosperms: the tortoise and the hare III" 94 (94): 275-288, 2007

      17 Larkin, M. A., "Clustal W and Clustal X version 2.0" 23 (23): 2947-2948, 2007

      18 Moon, A. R., "A Phylogenetic Study of the Genus Sedum and Phedimus (Crassulaceae)in Korea" Kongju University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1-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Herbal Medicine Infomation -> The Society of Korean Herbal Medicine Information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