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거주공간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  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idential Space Organization System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889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급속한 출산율 감소와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수명연장 등에 기인하여 2008년 상반기 현재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5,010,000명으로 전체인구의 10.3%에 달할 정도로 고령화가 세계에서 유래가 없는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치료의 목적보다는 노인을 돌볼 수 있는 가족이 없어 가족요양(돌봄)에도 한계를 느끼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거주공간에 대한 개념이 명확히 설정되어 있지 않고 건축계획 시 이를 적절히 고려하지 못해 거주공간 구성체계가 기능적이지 못하거나 시설 내 거주공간 규모가 적정한 규모로 계획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 내 거주공간의 구성체계를 파악하고 실내건축계획 시 적용 가능한 거주공간의 유형과 각 유형별 규모 및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급속한 출산율 감소와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수명연장 등에 기인하여 2008년 상반기 현재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5,010,000명으로 전체인구의 10.3%에 달할 정도로 고령화가 세계에...

      우리나라는 급속한 출산율 감소와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수명연장 등에 기인하여 2008년 상반기 현재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5,010,000명으로 전체인구의 10.3%에 달할 정도로 고령화가 세계에서 유래가 없는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치료의 목적보다는 노인을 돌볼 수 있는 가족이 없어 가족요양(돌봄)에도 한계를 느끼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거주공간에 대한 개념이 명확히 설정되어 있지 않고 건축계획 시 이를 적절히 고려하지 못해 거주공간 구성체계가 기능적이지 못하거나 시설 내 거주공간 규모가 적정한 규모로 계획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 내 거주공간의 구성체계를 파악하고 실내건축계획 시 적용 가능한 거주공간의 유형과 각 유형별 규모 및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prolonged life span by a sharp fall in birth rate an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ies, Korea has approximately five million population of older people more than 65 years old in the first half of 2008, representing 10.3% of Korea's total population and witnessing the fastest aging society in the world. Accordingly, we are facing difficulties and limits in caring the elderly because there are no families to take care of them rather than the purpose of treatment. Unfortunately, Korea has not clearly defined meanings on residential space so far and was not able to consider them when planning constructions, tending that neither the organization system is functional, nor area of residential space within facilities is planned appropriately. This study aims to fully understand residential space organization system with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and to analyze applicable types of residential space, scale by types and features when planing an interior design.
      번역하기

      Due to prolonged life span by a sharp fall in birth rate an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ies, Korea has approximately five million population of older people more than 65 years old in the first half of 2008, representing 10.3% of Korea's total pop...

      Due to prolonged life span by a sharp fall in birth rate an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ies, Korea has approximately five million population of older people more than 65 years old in the first half of 2008, representing 10.3% of Korea's total population and witnessing the fastest aging society in the world. Accordingly, we are facing difficulties and limits in caring the elderly because there are no families to take care of them rather than the purpose of treatment. Unfortunately, Korea has not clearly defined meanings on residential space so far and was not able to consider them when planning constructions, tending that neither the organization system is functional, nor area of residential space within facilities is planned appropriately. This study aims to fully understand residential space organization system with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and to analyze applicable types of residential space, scale by types and features when planing an interior desig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1 연구 배경과 목적
      •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노인요양시설의 일반적 고찰
      • 2.1 노인의 정의 및 특성
      • 1. 서론
      • 1.1 연구 배경과 목적
      •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노인요양시설의 일반적 고찰
      • 2.1 노인의 정의 및 특성
      • 2.2 노인을 위한 공간기준
      • 2.3 국내 노인요양시설의 현황
      • 2.4 충남지역 노인요양시설 사례조사
      • 2.5 국외 우수 노인요양시설 사례조사
      • 3. 노인요양시설의 거주공간 구성체계
      • 3.1 노인요양시설 거주공간 구성체계 분석
      • 3.2 선진사례조사를 통한 공간구성 제안
      • 4.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