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청년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16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년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인구사회학특성, 노동시장특성, 부모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0-15차년도(2015년-2020년) 자료...

      본 연구는 청년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인구사회학특성, 노동시장특성, 부모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0-15차년도(2015년-2020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10차년도 기준으로 19세 이상 34세 이하인 청년층 2,347명을 대상으로 불균형 패널을 구축하였다. 사회적 배제를 측정하기 위해 퍼지집합이론을 적용하였고, 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하여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특성에서는 연령이 많은 집단일 경우,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배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수준이 낮고, 가구원 수가 적으며, 월 평균 소득이 적고, 서울 거주는 비서울 거주에 비해 사회적 배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노동시장특성의 경우 취업형태에서는 상용직에 비해 임시직, 자영업, 실업자, 비경제활동이 사회적 배제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용직종에서는 전문관리직에 비해 서비스직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높은 반면, 기술직은 낮게 나타났다. 부모특성의 경우 부모 월 평균소득이 적을수록, 부모취업형태에서는 부모가 상용직에 비해 임시직, 자영업, 실업자인 경우 청년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년의 사회적 배제를 낮추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ivided in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and parental characteristic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ocial exclusion of youth. To this end, the data for the 10th-15th year (2015-2020) of the...

      This study was divided in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and parental characteristic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ocial exclusion of youth. To this end, the data for the 10th-15th year (2015-2020) of the Korea Welfare Panel was used. unbalanced panel was established for 2,347 youth aged 19 to 34 as of the 10th year. To measure social exclusion, the fuzzy set theory was applied, and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identified using the fixed effect model.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ively older group showed higher level social exclusion compared to those who were no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social exclusion was higher for level of education was low,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 was low, income was low, and for those living in Seoul compared to those living in non-Seoul. In terms of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temporary workers, self-employed, unemployed and inactive workers showed higher levels of social exclusion than regular workers. In addition, in employment, the level of social exclusion of service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of professional managers, while technical professions were lower. In terms of parental characteristics, the lower income of parents,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exclusion of youth when their parents were temporary workers, self-employed and unemployed compared to regular workers. Based on these results, effective policy measures were suggested to lower the social exclusion of you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방법
      • 4. 분석결과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방법
      • 4. 분석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정선, "해고근로자의 심리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1 (21): 355-376, 2015

      2 윤성호, "한국형 사회배제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8 (28): 53-95, 2012

      3 배경민, "한국의 주거복지 정책에 관한 연구 : 공공임대주택의 정책변천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16

      4 김안나, "한국의 사회적 배제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사회이론학회 (32) : 227-254, 2007

      5 김용회, "한국사회에 대한 청년인식의 잠재계층유형 : 경제적 지위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50 (50): 309-339, 2019

      6 이성균, "한국사회 청년층의 사회적 배제: 청년실업문제를 중심으로" 569-581, 2009

      7 김혜자, "한국복지패널(2005-2011)의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활용한 도시·농촌 간 빈곤 격차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5-51, 2014

      8 이승윤, "한국 청년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54) : 487-521, 2017

      9 송미영, "한국 여성노인의 빈곤 : 성인지적 사회적 배제 관점에서" 17 (17): 49-72, 2008

      10 임은선, "퍼지이론(Fuzzy Set Theory): 언어변수를 이용하여 애매모호한 집합문제 풀기" 322 : 110-119, 2008

      1 임정선, "해고근로자의 심리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1 (21): 355-376, 2015

      2 윤성호, "한국형 사회배제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8 (28): 53-95, 2012

      3 배경민, "한국의 주거복지 정책에 관한 연구 : 공공임대주택의 정책변천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16

      4 김안나, "한국의 사회적 배제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사회이론학회 (32) : 227-254, 2007

      5 김용회, "한국사회에 대한 청년인식의 잠재계층유형 : 경제적 지위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50 (50): 309-339, 2019

      6 이성균, "한국사회 청년층의 사회적 배제: 청년실업문제를 중심으로" 569-581, 2009

      7 김혜자, "한국복지패널(2005-2011)의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활용한 도시·농촌 간 빈곤 격차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5-51, 2014

      8 이승윤, "한국 청년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54) : 487-521, 2017

      9 송미영, "한국 여성노인의 빈곤 : 성인지적 사회적 배제 관점에서" 17 (17): 49-72, 2008

      10 임은선, "퍼지이론(Fuzzy Set Theory): 언어변수를 이용하여 애매모호한 집합문제 풀기" 322 : 110-119, 2008

      11 보건복지부,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9"

      12 김현주, "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수준과 사회적 관계망과의 관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5 (5): 1-27, 2008

      13 변금선, "청년층의 삶의 질 격차에 관한 연구: 1988-1998년생 청년의 다중격차 실태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6 (46): 257-285, 2019

      14 문영만,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지역인재 유출요인 -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25 (25): 165-187, 2017

      15 변금선, "청년층의 근로빈곤 요인에 관한 연구 -고용불안정과 고용상태가 빈곤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257-279, 2012

      16 김재희, "청년의 성인초기 발달과업 성취유형이 사회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257-284, 2016

      17 김태완, "청년의 빈곤실태 : 청년, 누가 가난한가" 244 : 6-19, 2017

      18 안홍순, "청년세대를 위한 사회적 형평성 제고 방안"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3 (43): 59-83, 2016

      19 박지현, "청년세대 주거 빈곤 경험 대처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웰니스학회 15 (15): 143-159, 2020

      20 연합뉴스, "청년도 외롭다... 늘어나는 2030 고독사"

      21 홍진주, "청년니트의 사회적 배제" 이화여자대학교 2020

      22 박수명, "청년계층의 사회적 배제에 관하여:고용, 실업, 비정규직의 관점에서" 경인행정학회 13 (13): 113-131, 2013

      23 김비오, "청년가구의 주거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408-436, 2019

      24 김안나, "청년 빈곤 및 고용실태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9 (49): 93-124, 2018

      25 노혜진, "청년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71-102, 2018

      26 이수영,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이 청년 건강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서울대학교 2019

      27 국민건강보험공단, "질병통계"

      28 이순미, "지방 중소도시 청년들의 다차원적 빈곤과 행복의 역설" 한국사회학회 52 (52): 243-293, 2018

      29 박능후, "중고령자 사회적 배제의 다차원성과 역동성 분석" 사회과학연구소 25 (25): 325-354, 2014

      30 정세정, "정책 대상으로서의 청년, 무엇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370 : 2020

      31 신동환,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6 (16): 71-96, 2014

      32 김은하, "여성 가구주 가구의 사회적 배제 위험 양상" 한국사회보장학회 30 (30): 31-58, 2014

      33 라채린, "에코세대의 취업변화와 자살생각" 한국보건행정학회 23 (23): 369-375, 2013

      34 김소은, "아동의 사회적 배제의 영향요인"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8 (18): 1-23, 2016

      35 박혜경, "실업자의 실업기간별 심리적 변화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23-442, 2018

      36 통계청, "소득5분위별 가구주 특성(종사상지위별)"

      37 김지선, "서울시 주거빈곤 청년 1인 가구의 건강 문제와 대응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대학교 2020

      38 김안나, "사회통합을 위한사회적 배제계층 지원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39 김미희, "사회적 통합·배제 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 - 영구임대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19 (19): 95-104, 2008

      40 황선영, "사회적 통합 관점에서 본 사회적 배제가 인지적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세대 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3 (33): 31-61, 2019

      41 강신욱, "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42 김교성, "사회적 배제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퍼지 집합이론을 이용한 측정과 일반화선형모델 분석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4) : 133-162, 2008

      43 이정은, "사회적 배제 집단의 잠재적 유형 분류 및 성별과 학력에 따른 차이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79-103, 2009

      44 강현정, "사회적 배제 경험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333-358, 2010

      45 윤정향, "사회복지 배제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아세아문제연구원 48 (48): 145-171, 2005

      46 김수정, "비교국가적 관점에서 본 한국 청년 빈곤의 특수성" 한국인구학회 43 (43): 77-101, 2020

      47 장재윤, "대졸자들의 취업 여부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 25 (25): 65-87, 2006

      48 김정숙, "대졸 청년의 노동시장이행 수준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안암교육학회 24 (24): 93-117, 2018

      49 최상미, "당사자의 목소리로부터의 빈곤 청년의 삶에 대한 탐색" 사회과학연구원 26 (26): 32-58, 2019

      50 김진현, "다차원적 사회적 배제가 비정규직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및 우울상태에 미치는 영향: 정규직 근로자와의 비교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398-432, 2017

      51 최민정, "농촌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경제적 불평등의 실증분석" 사회과학연구원 7 (7): 103-138, 2014

      52 박현주,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의 변화유형과 예측요인: 영국고령화패널(ELSA)분석" 한국노년학회 32 (32): 1063-1086, 2012

      53 최재성, "노인의 사회적 배제 결정요인 분석: 다중적 배제의 잠재집단 유형화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63 : 193-224, 2019

      54 장혜현, "기업규모와 조직화의 상관관계 및 비정규직 불평등의 원인: 사회보험으로부터의 배제를 중심으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47) : 109-157, 2015

      55 김왕배, "기업구조조정과 생존자들의 사회심리적 건강" 한국사회학회 39 (39): 70-100, 2005

      56 이원호, "광역대도시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사회적 배제의 형성 : 노동시장 변동의 지역성에 대한 이해" 한국경제지리학회 14 (14): 129-142, 2011

      57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58 박능후, "개인의 객관적 배제와 주관적 배제 격차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185-218, 2015

      59 권영국, "간접고용되는 노동자, 정리해고 당하는 삶 : 쌍용차와 현대차 사태를 통해 본 고용 불안의 현실과 제도 개선 방안" 24 : 178-190, 2014

      60 김영란, "가족계층에 따른 청년자녀세대의 성인기 이행 및 정책대응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61 김현숙, "가구주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1 : 281-309, 2015

      62 변금선, "가구 소득계층에 따른 청년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 취업 이행기간 및 임금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18 (18): 129-161, 2015

      63 권지영, "[현장비평] 당신의 어려움을 ‘와락’ 껴안는 와락센터의 기적― 평택 쌍용자동차 실직가족 심리치유센터 ‘와락’ 센터 건립사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8) : 211-234, 2012

      64 김주환, "[특집 벼랑 끝에 선 삶: 시장의 논리와 삶의 위기] 분열된 노동과 삶의 하청화를 넘어서" 48-66, 2011

      65 Penna, S., "What price social and health care? Commodities, competition and consumers" 4 (4): 217-231, 2006

      66 Cini, M., "Understanding European Union Institutions" Routledge 41-59, 2002

      67 Pierson, J., "Trackling Social Exclusion: Promoting Social Justice in Social Work" Routledge 2002

      68 Bradshaw, J.,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in Britain" 2000

      69 Levitas, R.,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University of Bristol 2007

      70 Atkinson, T., "Social indicators : The EU and social inclus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71 Silver, H., "Social exclusion: Comparative analysis of Europe and Middle East youth" Middle East Youth Initiative 1-50, 2007

      72 Jose, J. P., "Social exclusion of older persons : The role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42 (42): 447-465, 2017

      73 Burchardt, T., "Social exclusion in Britain 1991-1995" 33 (33): 227-244, 1999

      74 Silver, H., "Social exclusion and social solidarity : Three paradigms" 133 : 531-578, 1994

      75 Micklewright, J., "Social exclusion and children: A European view for a US debate" LSE STICERD 2002

      76 민인식, "STATA 고급 패널데이터분석" 지필미디어 2012

      77 Silver, H., "Policies to reinforce social cohesion in Europe, Research Series-International Institute For Labour Studies" 38-74, 1999

      78 Alkire, S., "Multidimensional Poverty Index 2014: Brief methodological note and results" OPHI 1-18, 2014

      79 Percy-Smith, J., "Introduction: the contours of social exclusion" 2001

      80 Qizilbash, M., "Fuzzy set approach to multidimensional poverty measurement"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9-28, 2006

      81 Chung, S.,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predictors of social exclusion among older Koreans : Exploring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social exclusion" 144 (144): 97-112, 2019

      82 Feng, Z., "A geographical multivariable multilevel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among older people in China : Evidence from the China Longitudinal Aging Social Survey ageing study" 184 (184): 413-428, 2018

      83 박미선, "1인 청년가구 주거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 방안" 1-8, 2017

      84 국토연구원, "1인 가구 연령대별 주거취약성 보완방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7 2.08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