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한 시간이동 TV드라마 비교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최근 몇 년 사이에 중국과 한국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시간이동 TV드라마의 특징에 대한 비교연구이다. 중・한 시간이동 TV드라마의 비교를 위해 본고는 시간이동의 주체와 지...

      본 논문은 최근 몇 년 사이에 중국과 한국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시간이동 TV드라마의 특징에 대한 비교연구이다. 중・한 시간이동 TV드라마의 비교를 위해 본고는 시간이동의 주체와 지향성 및 인과성에 주목하여 작품을 비교분석하였다. 시간이동의 주체로서 중국 시간이동 드라마 속의 여성들은 가부장적인 질서 속에서도 많은 우수한 남성들의 흠모를 받는 동시에 여성의 주도적인 지위를 확고히 하고 자신만의 일을 인정받음으로써 사회적인 성취감을 느끼고 개혁의 주체로 서고자 한다. 반면에 한국의 시간이동 드라마에서는 여전히 신데렐라 이야기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가부장적 질서를 원경으로 배치하고 주요 시청자인 여성들을 포섭하기 위해 등장하는 남자주인공은 상업적인 특성상 이질적 이념간의 타협을 모색하는 서사전략을 기획하여 새롭게 부상하는 현대 한국 사회의 새로운 정서구조를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 시간이동 드라마의 뚜렷한 과거지향성은 중국의 급성장에 따른 부작용으로부터 그들의 자존감을 회복하는 근거를 중국의 찬란했던 과거 역사 속에서 발견함으로써 현재의 불안을 잠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의 시간이동 드라마의 현재지향성은 한국의 현대적인 발전과 능력에서 그들의 자존감을 찾으면서, 그 서사적 구성에 있어서도 중국의 시간이동 드라마와 다르게 역사적 객관성에 집착하기보다는 현실을 상상적으로 재구성하는 개방적인 특성을 지닌다.
      한편 중국의 시간이동 드라마가 보여주는 시간이동의 우연성은 과거와의 시간적 단절의식을 만들어냄으로써 과거와 현재는 철저히 분리되어 있고 어떠한 인과관계도 없음을 말하고 있다. 과거로 시간이동된 인물이 풀어야할 문제가 없기에 주인공이 과거의 역사를 바꾸거나 그러한 행동을 통해 현재의 역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반면에 한국의 시간이동드라마가 보여주는 시간이동의 필연성 및 그로 인한 시간적 연결의식은 한국인의 과거의 민족적 문제에 대한 현재 상황의 인과론적 연관성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의 시간이동드라마는 그 플롯에 있어서 철저히 문제해결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있으며, 인물들 간의 관계나 문제적 상황이 시간이동을 통해 묶이고 시작되고 또 해결된다. 이는 과거의 역사 속에서 나타난 문제들의 영향력이 오늘날에까지 미치게 되고, 이러한 민족적 문제를 해결해야만 주도적인 변화를 추구할 수 있다는 한국인들의 의식을 은연중에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comparison between the characters of time-travel-TVdrama in China and South Korea, which have received wide attention recently in both countries. One of the reason that the general public in both countries is attracted by this kind of...

      This research is comparison between the characters of time-travel-TVdrama in China and South Korea, which have received wide attention recently in both countries. One of the reason that the general public in both countries is attracted by this kind of genre today is because of the restoration of self-confidence.
      Both countries were modernized compulsively by the western civilization or westernized imperialism, but now they are willing to lead the change, that is, rule the time, even if they are still passively to do that - that is why most of time-travel-TV-drama in both countries are not the ‘time machine’ but the ‘time slip’. But, in spite of this common grou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about person, direction, and causality in the aspect of time-travel. Of course, their differences are originated from the expressional differences of their desire for ruling the time or leading the change.
      Now, if we really want to find the wisdom for sustainable co-existence and conversation in Northeast Asia, firstly we have to know and face up to the mutual desire in both countries. This research will be the first step for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중·한 시간이동 TV드라마의 전개양상
      • Ⅲ. 중국과 한국 시간이동 TV드라마 비교
      • Ⅳ. 중·한 시간이동 TV드라마의 출현이유와 그 의미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중·한 시간이동 TV드라마의 전개양상
      • Ⅲ. 중국과 한국 시간이동 TV드라마 비교
      • Ⅳ. 중·한 시간이동 TV드라마의 출현이유와 그 의미
      • Ⅴ. 맺음말
      • 參考文獻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